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인적자원개발 거버넌스와 협의회의 설계 = Governance approach of designing the HRD Council at regional le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8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consist of HRD council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HRD supporting center at the local government in Korea.
      In the era of governance, it is necessary to mobilize the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between multi actors in the pursuit of designing the system of HRD policy implementation which is reflected from local context.
      Therefor this paper, as one of exploration studies, attempts to design the collaboration device in the field of HRD at the local level. this is local council of HRD.
      In addition to the building local HRD council,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ystem of lifelong learning is very useful as HRD system and some considerations to get a feasibility of HRD council at the municipality level.
      번역하기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consist of HRD council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HRD supporting center at the local government in Korea. In the era of governance, it is necessary to mobilize the collaboration and pa...

      The implementation system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consist of HRD council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HRD supporting center at the local government in Korea.
      In the era of governance, it is necessary to mobilize the collaboration and participation between multi actors in the pursuit of designing the system of HRD policy implementation which is reflected from local context.
      Therefor this paper, as one of exploration studies, attempts to design the collaboration device in the field of HRD at the local level. this is local council of HRD.
      In addition to the building local HRD council,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system of lifelong learning is very useful as HRD system and some considerations to get a feasibility of HRD council at the municipality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추진기제는 국가인적자원개발회의와 광역단위의 지역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거버넌스시대 지역인적자원개발을 보다 지역실정에 맞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다양한 자원간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 다자간 참여와 협력이 작동되게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이 글은 지역인적자원개발에 있어서 지역자원의 참여와 협력기제로서 협의회를 어떻게 하면 작동가능한 기제로 구상할 것인가에 대한 탐색적 시도이다.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인적자원개발추진체계를 국가, 광역, 기초단위까지 검토하였고, 지역의 협의회와 관련한 다양한 유사기제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초단위의 평생학습체제를 활용하는 것과 실행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협의회기능요건들을 협력이론과 정책환경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추진기제는 국가인적자원개발회의와 광역단위의 지역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거버넌스시대 지역인적자원개발을 보다 지역실정에 맞게 설계하...

      인적자원개발정책의 추진기제는 국가인적자원개발회의와 광역단위의 지역인적자원개발지원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거버넌스시대 지역인적자원개발을 보다 지역실정에 맞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다양한 자원간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 다자간 참여와 협력이 작동되게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이 글은 지역인적자원개발에 있어서 지역자원의 참여와 협력기제로서 협의회를 어떻게 하면 작동가능한 기제로 구상할 것인가에 대한 탐색적 시도이다.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인적자원개발추진체계를 국가, 광역, 기초단위까지 검토하였고, 지역의 협의회와 관련한 다양한 유사기제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초단위의 평생학습체제를 활용하는 것과 실행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협의회기능요건들을 협력이론과 정책환경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평생학습지원 추진기구 혁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2 "짧은 성공과 긴 좌절: 한국 노사정위원회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 점" 13 (13): 2003

      3 "지역인적자원개발 추진체계구축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1

      4 "지역인적자원개발 거버넌스체제 구축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5 "지역복지공동체형성에 있어 다자간 협력이론의 적용: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가능성" 9 (9): 2005

      6 "지방행정의 새로운 접근방법: 통치양식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1997

      7 "정부인가 거버넌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39 (39): 2005

      8 "인적자원정책의 전개" 서울:법문사 2005

      9 "인적자원개발과 평생학습 추진체제 관련 검토" 교육인적자원부 2006

      10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쉽" 서울:법문사 2005

      1 "평생학습지원 추진기구 혁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2 "짧은 성공과 긴 좌절: 한국 노사정위원회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 점" 13 (13): 2003

      3 "지역인적자원개발 추진체계구축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1

      4 "지역인적자원개발 거버넌스체제 구축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5 "지역복지공동체형성에 있어 다자간 협력이론의 적용: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가능성" 9 (9): 2005

      6 "지방행정의 새로운 접근방법: 통치양식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1997

      7 "정부인가 거버넌스인가? 계층제인가 네트워크인가?" 39 (39): 2005

      8 "인적자원정책의 전개" 서울:법문사 2005

      9 "인적자원개발과 평생학습 추진체제 관련 검토" 교육인적자원부 2006

      10 "인적자원개발 파트너쉽" 서울:법문사 2005

      11 "아일랜드 발전모델: 사회협약과 경쟁적 조합주의" 39 (39): 2005

      12 "스위스 협의체 민주주의 모델과 한국적 의미" 9 : 1996

      13 "미래의 국정관리" 서울: 법문사 1999

      14 "국가인적자원비전(안)" 2005

      15 "각국의 사회적 협의기구:네덜란드의 사회협약과 사회적 협의기구" 4 (4): 2006

      16 "The well-being of nations - The role of human and social capital (Paris: OECD)" 2001

      17 "Principl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1989

      18 "Partners in Public Service: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 Press 1995

      19 "Governance Without Government? Rethinking Public Administration" 8 (8): 223-243, 1998

      20 "Getting Agencies to Work Together"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1998

      21 "Community as a Policy Instrument: A Comparative Analysis" 26 (26): 1998

      22 "Asset Building & Community Development" London: Sage Publications 2002

      23 "21세기 국가역할의 변화와 국정관리"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1 1.11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