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機張의 人文 位相과 인물 = An introduction for the Humanities status of County Gijang[機張郡] and that’s typical Individu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96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essay I introduce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County Gijang[機張郡] in Korea, and introduced some major historical characters in that area.
      First, I pointed out that Chaseong[車城] the old name of County Gijang[機張郡] have derived from Temple Chwijeongsa[鷲井寺]. Next, I pointed out th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County Gijang was reportedly very frugal and hardworking as that appears in many old books and documents. Gim-Banghan[金邦翰], Sin-Oh[辛澳], Sim-Nosung[沈魯崇], Sin-Gwangho[辛光浩], Gim-Bonghui[金鳳喜] and other important figures are included in there. Next I introduced several figures who lived in that area. Finally, to define the loc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unty Gijang[機張郡], we need more close collection of literature in there.
      번역하기

      In this essay I introduce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County Gijang[機張郡] in Korea, and introduced some major historical characters in that area. First, I pointed out that Chaseong[車城] the old name of County Gijang[機...

      In this essay I introduced, historical geographical and cultural identity of County Gijang[機張郡] in Korea, and introduced some major historical characters in that area.
      First, I pointed out that Chaseong[車城] the old name of County Gijang[機張郡] have derived from Temple Chwijeongsa[鷲井寺]. Next, I pointed out th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County Gijang was reportedly very frugal and hardworking as that appears in many old books and documents. Gim-Banghan[金邦翰], Sin-Oh[辛澳], Sim-Nosung[沈魯崇], Sin-Gwangho[辛光浩], Gim-Bonghui[金鳳喜] and other important figures are included in there. Next I introduced several figures who lived in that area. Finally, to define the loc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unty Gijang[機張郡], we need more close collection of literature in the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장은 예로부터 고을의 규모가 작아 기장에 관련된 문헌 기록은 다른 고을에 비하여 매우 엉성하다. 이 글에서는 기장의 인문 사적, 특히 기장 출신의 인물과 관련된 몇 가지 문헌 자료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기장 문화의 한 특성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삼국사기』의 거도(居道) 일화의 장토야(張吐野)와, 『삼국유사』의 영취사(靈鷲寺) 일화에 나오는 굴정현(屈井縣)이 기장의 옛 지명일 가능성이 있으며, 차성(車城)과 기장(機張) 및 갑화량곡(甲火良谷)이 여기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에 편찬된 기장읍지의 기록으로 보면, 기장의 사회 경제적 조건이 동남 지역 다른 고을에 비하여 그리 나은 편은 아니지만, 근검 질박한 풍속으로 독득한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 기장에서는 17세기의 학자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에 연원을 두고 월천(月泉) 신오(辛澳)와 그 문도들로 이어지는 하나의 학맥이 있었으며, 그 학문과 문학의 기풍이 19세기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오정일고』와 『월천일고』 및 심노숭(沈魯崇)의 『남천일록』과 신광호(辛光浩)의 『풍월축』 및 김봉희(金鳳喜)의 『碧梧集』 등의 문헌으로 확인하고 연관된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장의 독특한 인문 정신과 그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대적인 문헌 발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 토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번역하기

      기장은 예로부터 고을의 규모가 작아 기장에 관련된 문헌 기록은 다른 고을에 비하여 매우 엉성하다. 이 글에서는 기장의 인문 사적, 특히 기장 출신의 인물과 관련된 몇 가지 문헌 자료를 ...

      기장은 예로부터 고을의 규모가 작아 기장에 관련된 문헌 기록은 다른 고을에 비하여 매우 엉성하다. 이 글에서는 기장의 인문 사적, 특히 기장 출신의 인물과 관련된 몇 가지 문헌 자료를 간략하게 소개함으로써 기장 문화의 한 특성을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먼저 『삼국사기』의 거도(居道) 일화의 장토야(張吐野)와, 『삼국유사』의 영취사(靈鷲寺) 일화에 나오는 굴정현(屈井縣)이 기장의 옛 지명일 가능성이 있으며, 차성(車城)과 기장(機張) 및 갑화량곡(甲火良谷)이 여기에서 유래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에 편찬된 기장읍지의 기록으로 보면, 기장의 사회 경제적 조건이 동남 지역 다른 고을에 비하여 그리 나은 편은 아니지만, 근검 질박한 풍속으로 독득한 지역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 조선 후기 기장에서는 17세기의 학자 오정(鰲亭) 김방한(金邦翰)에 연원을 두고 월천(月泉) 신오(辛澳)와 그 문도들로 이어지는 하나의 학맥이 있었으며, 그 학문과 문학의 기풍이 19세기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었음을, 『오정일고』와 『월천일고』 및 심노숭(沈魯崇)의 『남천일록』과 신광호(辛光浩)의 『풍월축』 및 김봉희(金鳳喜)의 『碧梧集』 등의 문헌으로 확인하고 연관된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장의 독특한 인문 정신과 그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대적인 문헌 발굴과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 토론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邦翰, "鰲亭先生逸稿"

      2 辛光浩, "風月軸(筆寫稿本)"

      3 "韓國地理志叢書 邑誌⒇ 慶尙道④" 아세아문화사 1987

      4 朴苾彩, "秋湖遺稿 (筆寫稿本)"

      5 金鳳喜, "碧塢集"

      6 鄭寅準, "珈山集(筆寫稿本)"

      7 金馹孫, "濯纓先生文集"

      8 "機張郡誌"

      9 朴昌宇, "槐泉集"

      10 辛澳, "月泉先生逸稿"

      1 金邦翰, "鰲亭先生逸稿"

      2 辛光浩, "風月軸(筆寫稿本)"

      3 "韓國地理志叢書 邑誌⒇ 慶尙道④" 아세아문화사 1987

      4 朴苾彩, "秋湖遺稿 (筆寫稿本)"

      5 金鳳喜, "碧塢集"

      6 鄭寅準, "珈山集(筆寫稿本)"

      7 金馹孫, "濯纓先生文集"

      8 "機張郡誌"

      9 朴昌宇, "槐泉集"

      10 辛澳, "月泉先生逸稿"

      11 "新增東國輿地勝覽"

      12 沈魯崇, "南遷日錄(筆寫稿本)"

      13 "三國遺事"

      14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