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은 미중 간의 심각한 무역 불균형을 명분으로 대중국 경제적 압박 조치를 강화했고, 이에 대항해 중국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현재 미중 무역전쟁이 진행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93043
2019
Korean
학술저널
2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은 미중 간의 심각한 무역 불균형을 명분으로 대중국 경제적 압박 조치를 강화했고, 이에 대항해 중국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현재 미중 무역전쟁이 진행 ...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은 미중 간의 심각한 무역 불균형을 명분으로 대중국 경제적 압박 조치를 강화했고, 이에 대항해 중국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현재 미중 무역전쟁이 진행 중이다. 패권전이 이론의 시각에서 보면, 현재 진행 중 인 미중 간 무역전쟁은 여전히 세계 최대의 경제력을 보유한 패권국 미국이 짧은 시간 안에 세계 2대 경제력을 가진 신흥 강대국으로 급부상한 중국의 굴기를 견제하려는 의사를 분명히 한 사건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문은 미중 양국의 무역전쟁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하여 무역전쟁의 전개 과정을 간단히 살펴본 후, 미중 무역전쟁이 중국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전망과 현재까지 경제 지표에서 나타나는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중국이 향후 미중 무역전쟁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중국의 견해를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한국의 미국과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고려했을 때 미중 무역전쟁은 한국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일 뿐 아니라, 그 전개 과정과 결과에 따라 한국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위치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 이슈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