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과 지구별 집단의 위계 변동으로 본 사로국의 진한 통합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조사로 볼 때, 대략 2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반기 동안 사로국의 국읍으로 추정되는 경주 도심 지구의 지배자 무덤 자료는 사실상 공백 상태에 가깝다. 이것이 사로국 ...

      현재까지의 고고학적 조사로 볼 때, 대략 2세기 후반에서 4세기 전반기 동안 사로국의 국읍으로 추정되는 경주 도심 지구의 지배자 무덤 자료는 사실상 공백 상태에 가깝다. 이것이 사로국 고고학을 연구하는 가장 큰 걸림돌이기는 하나, 적어도 3세기 후반 이후 진한 지역의 모든 무덤군에서 위계가 급락하고 있다는 사실은 역으로 사로국 국읍의 성장과 진한 소국의 통합을 말해주는 요소로 볼 수 있다. 진한과 사로국의 관계에서 시간적 관점(거시적 관점)에서 바라본 무덤 위계 변동의 큰 분기점은 3세기 후반과 4세기 후반이었다. 3세기 후반은 진한 중심지역의 대부분 집단에서 위계가 급락하기 시작하는 시점이고, 4세기 후반은 경주 도심 지구의 경우는 최상위(R, S, A그룹) 위계 무덤을 축조한 반면 그 나머지 집단은 B그룹 이하의 무덤을 아주 제한적으로 축조하였다. 한편, 진한과 사로국에 속한 집단의 관점에서 바라본 무덤 위계 변동의 큰 분기점은 2세기 후반(목곽묘 등장기)과 4세기 전후(이혈주부곽식목곽묘 등장기)였다. 2세기 후반은 후기 목관묘 단계에서 중심세력을 형성하였던 경산과 경주 지역의 일부 집단(사라리와 황성동 집단)이 세력이 급락한 반면 중산리와 옥성리집단은 세력이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4세기에는 세장방형목곽묘 축조를 주도한 집단(하삼정Ⅰ·Ⅱ유형 집단)이 몰락하고, 이혈주부곽식목곽묘 축조를 주도한 집단(옥성리·마산리유형 집단)이 급성장하거나 일시적으로 세력을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무덤 위계가 급락한 예로는 경주 덕천리, 울산 하삼정Ⅰ·Ⅱ 및 중산리집단 등이 해당하고, 그 반대인 예로는 경산 임당동·조영동, 경주 사라리, 포항 마산리와 남성리집단 등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로국은 3세기 후반에 들어 진한 소국에서 독립적인 수장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A그룹의 무덤을 제한하기 시작했으며, 4세기 후반에는 사로국 국읍의 A그룹 무덤 중 일부는 위계가 격상되어 S그룹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하여 4세기 후반 사로국의 국읍에서는 최고 위계(R, S, A그룹)의 무덤이 집중된 반면 진한 중심지역의 소국에서는 B그룹 이하의 무덤만을 축조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사로국은 진한 통합을 마무리하고 초기 관료제를 갖춘 중앙정부를 구성하는 수준을 갖추는 등 질적인 변화를 도모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Jinhan area, the second half of the third century witnessed the rise of two formats, each of which gained popularity at different times. The first to become popular was the Hasamjeong I/II type, followed by the Okseong-ri/Masan-ri type toward t...

      In the Jinhan area, the second half of the third century witnessed the rise of two formats, each of which gained popularity at different times. The first to become popular was the Hasamjeong I/II type, followed by the Okseong-ri/Masan-ri type toward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which then spread into nearby regions. The wooden chamber tomb that emerged in the mid-second century was promoted by groups that followed the Hasamjeong I/II burial culture, resulting in the downfall of the central power group that built wooden coffin tombs. The Sarari and Hwangseongdong groups of Gyeongsan and Gyeongju, respectively, which were the central groups in power during the latter wooden coffin tomb period, both declined rapidly in the early second century, which is when the wooden chamber tomb first emerged. The stone-mounted coffin tomb, which emerged in the latter half of the third century, was adopted by the groups that followed the Okseong-ri/Masan-ri burial culture, resulting in the downfall of the Hasamjeong I/II group. The Deokcheon-ri group did not build any tombs around the beginning of the fourth century, while the Hasamjeong I/II group failed to build tombs that exceeded the quality of those of Group B between the late third century and early fourth century, with only one Group B tomb being constructed in the late fourth century. In this time, the Hwangseongdong group appears to have temporarily recovered its power thanks to a support of the Okseong-ri/Masan-ri group. Starting in the late third century, Saroguk enforced restrictions on the tombs of Group A, which is believed to have played an independent leadership role for the former “petty states” that existed at the time in the Yeongnam region. In the late fourth century, Group B tombs also deteriorated in quality with the emergence of Group S. Considering the fact that in the second half of the fourth century, tombs of all three groups (R, S, A) were built in high concentrations in prime towns, Saroguk seems to have bee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central government based on an early-stage bureaucracy and trying to expedite qualitative cha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 연구의 범위
      • 2. 연구의 방법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 연구의 범위
      • 2. 연구의 방법
      • Ⅲ. 경주 지역 지구별 집단의 위계 변동
      • 1. 경주 도심지구
      • 2. 서부지구
      • 3. 북부지구
      • 4. 동남지구
      • 5. 남부지구
      • Ⅳ. 경주 지역과 주변 지역집단의 위계 변동
      • 1. 경산 지역(표 5)
      • 2. 포항 지역(표 6)
      • 3. 울산, 부산 지역
      • Ⅴ. 사로국의 진한 통합
      • 1. 황성동유형 집단(목관묘 축조 중심집단)
      • 2. 하삼정Ⅰ·Ⅱ유형 집단(세장방형목곽묘 축조집단)
      • 3. 옥성리·마산리유형 집단(이혈주부곽식목곽묘 축조집단)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준,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영남고고학회 (58) : 35-77, 2011

      2 김은진, "포항지역 목곽묘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대환, "진한 ‘國’의 형성과 발전: 사로국에 대한 고고학적 논의, In 弁·辰韓 ‘國’의 形成과 發展" 嶺南考古學會 2016

      4 이형우, "진·변한사연구" 경상북도·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2

      5 최병현, "원삼국시기 경주지역의 목관묘·목곽묘 전개와 사로국" 중앙문화재연구원 (27) : 29-104, 2018

      6 김용성, "영남지방 목관묘와 사로국" 한국고대사학회 (82) : 7-44, 2016

      7 이희준,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07

      8 최병현, "신라 조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내부의 통합과정" 한국고고학회 (95) : 102-159, 2015

      9 우선정, "신라 마립간시대의 성립과 전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10 李熙濬,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취락 분포 정형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會 43 : 2000

      1 이희준, "한반도 남부 청동기~원삼국시대 수장의 권력 기반과 그 변천" 영남고고학회 (58) : 35-77, 2011

      2 김은진, "포항지역 목곽묘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3 김대환, "진한 ‘國’의 형성과 발전: 사로국에 대한 고고학적 논의, In 弁·辰韓 ‘國’의 形成과 發展" 嶺南考古學會 2016

      4 이형우, "진·변한사연구" 경상북도·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2

      5 최병현, "원삼국시기 경주지역의 목관묘·목곽묘 전개와 사로국" 중앙문화재연구원 (27) : 29-104, 2018

      6 김용성, "영남지방 목관묘와 사로국" 한국고대사학회 (82) : 7-44, 2016

      7 이희준,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07

      8 최병현, "신라 조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내부의 통합과정" 한국고고학회 (95) : 102-159, 2015

      9 우선정, "신라 마립간시대의 성립과 전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10 李熙濬,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취락 분포 정형을 중심으로" 韓國考古學會 43 : 2000

      11 이청규, "사로국 형성에 대한 고고학적 검토" 26 : 2005

      12 장기명, "경주지역 원삼국시대 분묘의 철기부장유형과 위계" 한국고고학회 (92) : 80-123, 2014

      13 이주헌, "경주지역 목관·목곽묘의 전개와 사로국"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106-130, 2009

      14 이희준, "경주 황성동유적으로 본 서기전 1세기~서기 3세기 사로국" 신라문화연구소 38 : 137-186, 2011

      15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천북 동산리 401번지 일원 아파트건립부지 내 慶州東山里遺蹟Ⅱ-삼국시대"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0

      16 윤온식, "경주 지역 목관묘와 목곽묘의 조사와 연구, In 신라고분 조사 현황과 전망" 경주문화재연구소 2017

      17 전덕재, "경주 사라리고분군 축조 집단의 정치적 성격과 그 변천" 한국상고사학회 56 (56): 143-166, 2007

      18 박형열, "경주 덕천리유적 목곽묘단계의 시・공간적 특징으로 본 집단과 계층" 한국고고학회 (100) : 86-133, 2016

      19 李熙濬, "경산 지역 고대 정치체의 성립과 변천" 영남고고학회 (34) : 1-3, 2004

      20 李盛周, "王權에 대한 考古學的 論議, In 한일지역 고대왕권과 국가의 형성" 영남고고학회 2012

      21 權志瑛, "木棺墓에서 木槨墓로의 轉換樣相에 대한 檢討" 영남고고학회 (38) : 83-104, 2006

      22 權五榮, "斯盧六村의 위치문제와 首長의 성격"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14 : 1997

      23 中央文化財硏究院, "慶州 德泉里古墳群" 中央文化財硏究院·慶州市 2005

      24 신라문화유산연구원, "慶州 士方里 古墳群-慶州 士方里 996-1番地 遺蹟"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10

      25 全德在, "上古期 新羅 六部의 性格에 대한 考察" 東國大學校 新羅文化硏究所 12 : 1995

      26 김영민, "三韓後期 辰韓勢力의 成長過程硏究" 신라문화연구소 (23) : 33-70, 2004

      27 이한상, "4세기 전후 신라의 지방통제방식-분묘자료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37 : 2000

      28 윤온식, "3세기대 동해 남부 지역 토기 양식의 형성과 변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29 윤온식, "2∼4세기 경주지역 목곽묘의 位階와 時空的 변화"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6) : 39-74, 2016

      30 윤온식, "2~4세기 동해남부지역 목곽묘의 유형과 전개" 중앙문화재연구원 (20) : 25-72, 2016

      31 이진혁, "2-4세기 포항 옥성리 일대 고분군의 양상과 그 집단의 동향" 한국고고학회 (111) : 152-193,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22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