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tirement Life and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he Teaching Staff of Second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8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tirement life and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eaching staff in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on 745pre-retirement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8 regions all over the country by using questionnaires on retirement life and pre-retirement demands,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activities,and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in all individual, social, and economic expectancies. The retirement life demands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in age, school class, income level.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tirement life demands. The less than 40s age, the more than 60s age and the lower income level, the higher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expectance and economic expectance, the more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eaching staff of secondary schools increase. Consequently, the activation of teaching staff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s need of efforts to raise their participation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through letter, guidebook, pension paper, magazine and mail. In particular, the detailed ways such as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various activity programs, job creation and policy support for pre-retirement teaching staffs who meet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will have to be come up with and prepa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tirement life and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eaching staff in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on 745pre-retirement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l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tirement life and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eaching staff in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on 745pre-retirement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located in 8 regions all over the country by using questionnaires on retirement life and pre-retirement demands,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activities,and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in all individual, social, and economic expectancies. The retirement life demands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in age, school class, income level.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after retirement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tirement life demands. The less than 40s age, the more than 60s age and the lower income level, the higher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eaching staffs in secondary school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higher participation expectancies of social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expectance and economic expectance, the more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of teaching staff of secondary schools increase. Consequently, the activation of teaching staff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has need of efforts to raise their participation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through letter, guidebook, pension paper, magazine and mail. In particular, the detailed ways such as systematic education programs, various activity programs, job creation and policy support for pre-retirement teaching staffs who meet pre-retirement education demands will have to be come up with and prepa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갖고 전국 8개 권역에 근무 중인 퇴직예정 교원 745명을 대상으로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요구, 사회활동참여 영역, 사회활동참여 기대에 관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실증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중등교원의 퇴직 후 사회활동참여 기대는 개인적 기대, 사회적 기대, 경제적 기대에 대해서 모두 인구통계학적 특성 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들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요구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간의 차이는 연령, 학교급, 수입정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개인특성과 퇴직 후 사회활동참여는 퇴직생활 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0대 이하와 60대 이상에서 수입정도가 낮을수록 퇴직준비교육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인적 기대와 경제적 기대 등의 사회활동참여에 대한 기대감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결과는 퇴직교원의 사회활동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서신, 안내서, 연금지, 잡지, 메일 등을 통한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퇴직 전 퇴직준비교육 요구에 부응한 퇴직교원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마련과 지원 등 퇴직교원에게 맞는 일자리 창출과 퇴직교원을 위한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들이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준비되어야 할 것을 시사해 주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갖고 전국 8개 권역에 근무 중인 퇴직예정 교원 745명을 대상으로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요구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갖고 전국 8개 권역에 근무 중인 퇴직예정 교원 745명을 대상으로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및 퇴직준비교육요구, 사회활동참여 영역, 사회활동참여 기대에 관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실증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중등교원의 퇴직 후 사회활동참여 기대는 개인적 기대, 사회적 기대, 경제적 기대에 대해서 모두 인구통계학적 특성 간의 차이를 나타냈다. 이들 중등교원의 퇴직생활 요구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간의 차이는 연령, 학교급, 수입정도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개인특성과 퇴직 후 사회활동참여는 퇴직생활 요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0대 이하와 60대 이상에서 수입정도가 낮을수록 퇴직준비교육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개인적 기대와 경제적 기대 등의 사회활동참여에 대한 기대감이 그만큼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결과는 퇴직교원의 사회활동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서신, 안내서, 연금지, 잡지, 메일 등을 통한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퇴직 전 퇴직준비교육 요구에 부응한 퇴직교원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마련과 지원 등 퇴직교원에게 맞는 일자리 창출과 퇴직교원을 위한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들이 구체적으로 마련되고 준비되어야 할 것을 시사해 주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삼근, "한국 평생교육의 사회철학적 과제" 집문당 2005

      2 박표진, "퇴직준비교육이 퇴직교원의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3 배사학, "퇴직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달청 퇴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4 권복술, "퇴직기 교원의 사회참여 의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김희정, "퇴직교원의 자원봉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6 김신일, "퇴직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7 김희수,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8 김희수,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2

      9 홍기형, "퇴직교원의 교육요구에관한 기초연구" 8 : 187-209, 2000

      10 조영제, "퇴직교원 평생학습사회 교육요원화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1

      1 곽삼근, "한국 평생교육의 사회철학적 과제" 집문당 2005

      2 박표진, "퇴직준비교육이 퇴직교원의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3 배사학, "퇴직노인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조달청 퇴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4 권복술, "퇴직기 교원의 사회참여 의식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5 김희정, "퇴직교원의 자원봉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6 김신일, "퇴직교원의 노후준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1999

      7 김희수,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1

      8 김희수, "퇴직교원의 교육활동 참여 방안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2002

      9 홍기형, "퇴직교원의 교육요구에관한 기초연구" 8 : 187-209, 2000

      10 조영제, "퇴직교원 평생학습사회 교육요원화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2001

      11 신재홍, "퇴직교원 인력활용을 위한 1·3 세대간 교육 요구 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12 박지영, "초등학교 퇴직교원의 평생교육 경험에 따른 사회활동참여 및 생활만족도 : 서울·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3 김지영, "진로의사결정 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14 지현진, "중상층 연소 퇴직교원들의 시간활용 유형과 삶의 만족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15 중앙고용정보관리소, "워크넷"

      16 김우진, "연금의 활용을 통한 은퇴설계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5

      17 이복희, "대도시 노인의 교육요구 분석 : 서울지역 구립 노인종합복지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18 윤종주, "노인과 사회참여 : 그 현황과 전망" 한국 노년학회 14 (14): 169-178, 1994

      19 辛銀珠, "노인 자원봉사인력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정년퇴직 교원을 중심으로"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5

      20 기영화, "기업규모와 퇴직준비교육경험에 따른 중ㆍ고령 생산직 근로자들의 퇴직준비교육요구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8): 127-146, 2005

      21 金定烈, "국내 이동전화 서비스의 수요전망에 관한 연구" 韓南大學校 中小企業大學院 1997

      22 한정란, "교육 노년학" 학지사 2000

      23 吳重弘, "교원의 정년퇴직에 대한 인식과 준비활동이 퇴직전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6

      24 許政茂, "교원의 정년퇴직 준비과정과 퇴직후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4

      25 송기창, "교원 퇴직준비교육 요구와 필요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6 송기창, "교원 퇴직준비교육 요구와 필요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7 김경숙, "공무원의 퇴직준비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재직 및 퇴직공무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6

      28 송화진, "고학력 노인의 노인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29 조성남, "고령화사회와중산층 노인의 사회활동" 집문당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