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정보 매체 선호 및 가독성 분석 = An analysis of the youths' readability according to the media providing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80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직업정보 매체와 직업정보 매체의 가독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4개교에서 각 학교별 4개 반, 총 16 개 반의 학생 5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2년 5~6월이다. 연구 집단에게 큐레이터의 직업정보를 동영상, 인터넷, 만화, 인쇄 등의 4개 매체를 통하여 제공하였다. 조사도구는 매체별 선호 구조, 매체 이용 선호도, 가독성, 큐레이터에 대한 가독성 효과 등 4종이며, 각 조사도구는 신뢰도는 .595~.859, 타당도는 .458~.858 등의 범위에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직업정보 탐색에 있어 청소년이 선호하는 정보구조와 매체에 대해 조사결과, 직업정보구조에 대하여 ‘되는 길’이 ‘근무조건’보다 높게 선호하고 선호매체는 인터넷이다. 둘째, 직업정보 제공프로그램의 가독성 효과 검증 결과, 직업정보 4개 매체 모두에서 효과가 검증되었고, 매체별 가독성에대한 효과분석결과 매체별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가독성요인(정확성, 신속성, 오락성, 이해편이성, 다양성)이 직업정보제공매체별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동영상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인터넷, 만화, 인쇄물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직업정보 매체와 직업정보 매체의 가독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4개교에서 각 학교별 4개 반, 총 16 개 반의 학생 543명을 대상으...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선호하는 직업정보 매체와 직업정보 매체의 가독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고등학교 4개교에서 각 학교별 4개 반, 총 16 개 반의 학생 5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2년 5~6월이다. 연구 집단에게 큐레이터의 직업정보를 동영상, 인터넷, 만화, 인쇄 등의 4개 매체를 통하여 제공하였다. 조사도구는 매체별 선호 구조, 매체 이용 선호도, 가독성, 큐레이터에 대한 가독성 효과 등 4종이며, 각 조사도구는 신뢰도는 .595~.859, 타당도는 .458~.858 등의 범위에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직업정보 탐색에 있어 청소년이 선호하는 정보구조와 매체에 대해 조사결과, 직업정보구조에 대하여 ‘되는 길’이 ‘근무조건’보다 높게 선호하고 선호매체는 인터넷이다. 둘째, 직업정보 제공프로그램의 가독성 효과 검증 결과, 직업정보 4개 매체 모두에서 효과가 검증되었고, 매체별 가독성에대한 효과분석결과 매체별 차이는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가독성요인(정확성, 신속성, 오락성, 이해편이성, 다양성)이 직업정보제공매체별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동영상의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인터넷, 만화, 인쇄물은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structure which was preferred by youth and the reada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different media of youth. For this study, four different high schools' 257 male and 273 female students were surveyed from May to June in 2012.
      Under the purpose of shedding light on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information readability.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provided through the 4 different media, such as Video, documen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printed information and printed cartoons and the occupation that was introduced in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a curator. The tool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eference structure of media, preference of the use of media, readability, and effectiveness of readability of curator. Each tool of the survey was verified by the reliability .595∼.859 and the validity .458∼.858. As a resul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having analyzing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structure,youth prefer the information about path of becoming to the information about work condition. Secondly,when putting weight on the program which was providing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effectiveness was verified. Whe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readability of four different media, the difference of effectiveness of them was not verified. Thirdly, when analyzing the influence of readability factors toward the readability of the 4 different media, the influence toward the internet, cartoon and printed information was verified but the influence toward video was not verified.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structure which was preferred by youth and the reada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different media of youth. For this study, four different high schools' 257 male and 273 female stu...

      This study analyzes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structure which was preferred by youth and the readability of occupationa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different media of youth. For this study, four different high schools' 257 male and 273 female students were surveyed from May to June in 2012.
      Under the purpose of shedding light on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information readability.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provided through the 4 different media, such as Video, document information on the internet, printed information and printed cartoons and the occupation that was introduced in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a curator. The tool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reference structure of media, preference of the use of media, readability, and effectiveness of readability of curator. Each tool of the survey was verified by the reliability .595∼.859 and the validity .458∼.858. As a resul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hen having analyzing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structure,youth prefer the information about path of becoming to the information about work condition. Secondly,when putting weight on the program which was providing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effectiveness was verified. When analyzing the effectiveness of readability of four different media, the difference of effectiveness of them was not verified. Thirdly, when analyzing the influence of readability factors toward the readability of the 4 different media, the influence toward the internet, cartoon and printed information was verified but the influence toward video was not verifi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지홍, "표준직업정보의 가독성 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2 박숙희, "통합교육과정에서의 미디어교육" 5 (5): 19-38, 1999

      3 명계수, "타이포그래피와 가독성에 관한연구" 37 (37): 239-252, 1993

      4 김병숙, "청소년의 진로신화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2007

      5 이영선, "청소년의 직업정보 요구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6 김병숙,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유형 및 직업정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7 (17): 20-38, 2004

      7 김희수, "직접교수에서 학습전략과 메타인지 및 단계별 멀티 미디어 활용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15 (15): 133-150, 1999

      8 맹영임, "중학생의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100-150, 2001

      9 "위키백과"

      10 이정현, "웹 동영상의 특성과 표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 장지홍, "표준직업정보의 가독성 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2 박숙희, "통합교육과정에서의 미디어교육" 5 (5): 19-38, 1999

      3 명계수, "타이포그래피와 가독성에 관한연구" 37 (37): 239-252, 1993

      4 김병숙, "청소년의 진로신화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2007

      5 이영선, "청소년의 직업정보 요구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6 김병숙,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유형 및 직업정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17 (17): 20-38, 2004

      7 김희수, "직접교수에서 학습전략과 메타인지 및 단계별 멀티 미디어 활용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15 (15): 133-150, 1999

      8 맹영임, "중학생의 진로탐색을 위한 현장체험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100-150, 2001

      9 "위키백과"

      10 이정현, "웹 동영상의 특성과 표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1 이수경, "애니메이션과 인지양식이 과학적 이해와 파지에 미치는 영향" 14 (14): 69-102, 1998

      12 변숙영, "실고생의 멀티미디어 매체활용 교육에 있어서 인지양식과 정보제시유형의 관계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6): 133-170, 2003

      13 임도헌, "사용자를 위한 웹사이트 디자인하기" 9 : 192-, 2000

      14 정성재, "배열과 색대배를 고려한 표제용 글자 인식에 관한 연구" 18 (18): 71-82, 1995

      15 이정모, "멀티미디어타이틀의 내용구조에 따른 학습행동의 분석" 9 (9): 1-16, 1998

      16 황상미, "멀티미디어 매체의 특성과 학습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14 (14): 209-225, 1998

      17 주창현, "그림동화책 본문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 弘益大學校 大學院 1987

      18 한국출판연구소, "국민 독서실태 조사" 문화관광부 115-156, 2002

      19 Mayer, R. E, "When is an illustration worth ten thousand words?" 82 : 715-726, 1990

      20 Farradane, J., "The Nature of Information" 13-18, 1997

      21 Gottfredson, L. S., "The Assessment of Career Status With the Career Attitudes and Strategies Inventory" 4 (4): 363-382, 1996

      22 Ernst, Sandra B., "The ABC's of Typography" Art Direction Book co 133-139, 1977

      23 유진영, "TV프로그램 시청이 중학생의 직업관과 진로선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24 Blake, T., "Motion in instructional media. Some subject-disject-display mode interactions" 44 : 975-985, 1977

      25 Bodden, J., "Influenc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giving on cognitive complexity" 23 : 280-282, 2000

      26 Vannoy. J., "Generality of cognitive complexity-simplicity as a personality construct" 27 (27): 23-56, 1965

      27 Lawlis, G., "Cognitive differentiation in women and pioneertraditional occupational choices" 27 (27): 123-135, 1975

      28 Pavlak, Stephen A., "Classroom activities for correcting specific reading problems" Parker Pub. Co 140-170, 1985

      29 Brown. Duane, "Career information. career counselling and career development" Allyn and Bacon 125-250,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6 2.86 2.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1 2.47 3.62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