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유아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과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0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기간
      을 제한하지 않고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포함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KISS,
      DBPIA, RISS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유아 행복’, ‘유아 웰빙’, ‘유아 삶의 질’, ‘유아 삶
      의 만족’으로 검색을 시행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2,166편이었으며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
      한 검색 전략으로 최종 선정된 논문은 14편이었고 그중 12편의 논문이 메타분석에 사용되었
      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들은 2010년대 이후에 대부분 발표되었으며 만4세와 만5세 유아 학
      급을 단위로 연구자와 담임교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중재방법으로는 자연?신체 활동과 그림
      책 활용의 활동들이 이루어졌다. 둘째, 모든 연구물이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특히 자연?신체 활동 프로그램들이 높은 효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아 행복감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기간 을 제한하지 않고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포함하여 체계적 ...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한 것으로 기간
      을 제한하지 않고 국내에서 발간된 학위논문 및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를 포함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의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KISS,
      DBPIA, RISS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유아 행복’, ‘유아 웰빙’, ‘유아 삶의 질’, ‘유아 삶
      의 만족’으로 검색을 시행하였다. 최초 검색된 논문은 2,166편이었으며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
      한 검색 전략으로 최종 선정된 논문은 14편이었고 그중 12편의 논문이 메타분석에 사용되었
      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들은 2010년대 이후에 대부분 발표되었으며 만4세와 만5세 유아 학
      급을 단위로 연구자와 담임교사에 의해 시행되었다. 중재방법으로는 자연?신체 활동과 그림
      책 활용의 활동들이 이루어졌다. 둘째, 모든 연구물이 유아의 행복감 증진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보고하였으며 특히 자연?신체 활동 프로그램들이 높은 효과를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유아 행복감 프로그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 의
      • 서 론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 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은숙, "행복한 학교를 위한 교육적 성찰" 한국도덕교육학회 24 (24): 241-265, 2012

      2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교과서 : 청소년들의 행복수업을 위한 첫걸음" 주니어김영사 2013

      3 류칠선, "행복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10 (10): 5-22, 2014

      4 김상돈, "행복과 도덕교육의 관계에 기초한 도덕과 교육 활성화 방안 -도덕과교육의 과학화를 지향하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4) : 81-114, 2011

      5 신득렬, "행복과 교육" 18 : 191-208, 2000

      6 김선,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7 강영하,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1, 2012

      8 박명희, "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복개념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술・가정교과에서 행복역량강화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117-132, 2012

      9 김정원,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93-114, 2014

      10 이정화,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 홍은숙, "행복한 학교를 위한 교육적 성찰" 한국도덕교육학회 24 (24): 241-265, 2012

      2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 "행복교과서 : 청소년들의 행복수업을 위한 첫걸음" 주니어김영사 2013

      3 류칠선, "행복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10 (10): 5-22, 2014

      4 김상돈, "행복과 도덕교육의 관계에 기초한 도덕과 교육 활성화 방안 -도덕과교육의 과학화를 지향하며"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34) : 81-114, 2011

      5 신득렬, "행복과 교육" 18 : 191-208, 2000

      6 김선, "행복과 교육" 학이당 2008

      7 강영하, "행복 연구가 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초등교육학회 25 (25): 1-21, 2012

      8 박명희, "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복개념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술・가정교과에서 행복역량강화를 중심으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117-132, 2012

      9 김정원, "타샤 튜더의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의 행복감 향상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93-114, 2014

      10 이정화, "초등학생의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진봉희,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3

      12 정영희, "자연친화적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275-290, 2011

      13 박점희, "자연산책활동이 유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침례신학대학교 2014

      14 최민수, "유치원에서의 꽃과 채소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 281-309, 2012

      15 이은주, "유아행복척도 개발연구 :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6 이경민, "유아행복교육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8 (8): 165-181, 2009

      17 김도란, "유아의 행복감과 부모의 행복감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8 최윤정, "유아교사의 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강점계발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95-415, 2012

      19 황미숙, "유아 행복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동의대학교 2015

      20 현정희,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언어구성요인별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121-141, 2014

      21 황성동,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22 전미경, "아동의 행복감 발달에 대한 종단적 연구" 대한가정학회 47 (47): 103-118, 2009

      23 이경민, "아동의 이타성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4 유미숙, "아동 및 청소년의 행복에 대한 자녀와 어머니의 인식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20 (20): 81-104, 2013

      25 최수경, "숲에서의 자유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181-198, 2013

      26 정용교, "사회과 행복교육의 요청과 실천" 교과교육연구소 14 (14): 335-356, 2010

      27 문정애, "사토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와 행복교육 탐구" 한국일본교육학회 16 (16): 31-48, 2011

      28 황해익, "만 5세 유아가 인식한 행복한 상황과 행복의 조건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2 (12): 93-122, 2013

      29 Seligman, M., "마틴 셀리그만의 긍정심리학" 물푸레 2011

      30 서현, "나눔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나눔 교육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또래 놀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1-31, 2014

      31 이혜민,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실외신체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2015

      32 Fredrickson, B., "긍정의 발견" 21세기북스 2009

      33 김광수,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상담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원 22 (22): 129-152, 2011

      34 유선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행복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복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5 홍지명, "그림책을 활용한 나눔교육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3 (13): 29-50, 2014

      36 최은지,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 및 행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2015

      37 장덕호, "교육학 연구방법으로서 메타분석(Meta-analysis)의 발전과정 고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309-332, 2011

      38 정진혜, "감각 경험에 기초한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2014

      39 Kahneman, D.,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Russell Sage Foundation 1999

      40 Hills, P.,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33 (33): 1073-1082, 2002

      41 Burckhardt, C. S., "The impact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34 : 11-16, 1985

      42 Lyubomirsky, S.,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Penguin Press 2008

      43 Snyder, C. R., "The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4 Pillemer, D. B., "Synthesizing outcomes : How to use research evidence from many studies" 50 (50): 176-195, 1980

      45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1967 to 1997" 125 : 276-302, 1999

      46 김수영,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신의료기술평가사업팀 2011

      47 Martin, P., "Making Happy People" Fourth Estate 2005

      48 Ryff, C., "Know theyself and become what you are : A eudaimonic approach to psychological well-being" 9 : 13-39, 2008

      49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Basic 1997

      50 Beeson, P., "Evaluating single-subject treatment research : Lessons learned from the aphasia literature" 16 : 161-169, 2006

      51 Lietz, P., "A meta-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reading achievement at the secondary school level" 32 : 317-344, 2006

      52 Lyubomirsky S.,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46 (46): 137-155, 1999

      53 Michael Borenstein, "A basic introduction to fixed-effect and random-effects models for meta-analysis" Wiley-Blackwell 1 (1): 97-111,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7-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인지발달지원학회 -> 인지발달중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 Mediation -> The Society for Cognitive Enhancement and Interven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 1.298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