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ase Study on the Practices of Transversal Competence in Korean Music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94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와 중-고등 학교의 음악 수업에서 인지적 영역 외에 태도와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횡단적 역량의 반영 여부를 조사하는 사례 연구이다. 연구 대상인 4개 학교의 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교는 행복하고 평화로운 환경을 조성하여 학생들의 창의력과 미래 글로벌 리더 및 인성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다양한 그룹 활동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인터넷 또는 기타 ICT 관련
      자료를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며, 토론과 평가를 통하여 횡단적 역량을 함양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안내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학생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횡단적 역량을 반영한 프로그램은 1) 여러 교과의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융합, 재구성하는 방법, 2)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가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여 학습하는 방법, 3) 체험활동과 교과를 융합하여 체험 속에서 관련 교과의
      학습 요소를 학습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와 중-고등 학교의 음악 수업에서 인지적 영역 외에 태도와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횡단적 역량의 반영 여부를 조사하는 사례 연구이다. 연구 대상인 4개 학교의 수...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와 중-고등 학교의 음악 수업에서 인지적 영역 외에 태도와 가치를 포함하고 있는 횡단적 역량의 반영 여부를 조사하는 사례 연구이다. 연구 대상인 4개 학교의 수업을 관찰하고 심층 면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학교는 행복하고 평화로운 환경을 조성하여 학생들의 창의력과 미래 글로벌 리더 및 인성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다양한 그룹 활동을 통해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고, 인터넷 또는 기타 ICT 관련
      자료를 사용하여 정보를 수집하며, 토론과 평가를 통하여 횡단적 역량을 함양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안내자로서 역할을 수행하여 학생중심의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횡단적 역량을 반영한 프로그램은 1) 여러 교과의 공통 요소를 추출하여 하나의 교육과정으로 융합, 재구성하는 방법, 2)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가 관련되는 내용을 추출하여 학습하는 방법, 3) 체험활동과 교과를 융합하여 체험 속에서 관련 교과의
      학습 요소를 학습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es of integrating transversal competenc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by utilizing case study approach for analyz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lasses and
      programs.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chool mottos and philosophies mostly fostered creativity, future global leaders, and character development by creating happy and peaceful environments. Second, the classes were designed for students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hrough a variety of group activities, gathering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or other ICT-related resources to employ and enhance their transversal competencies. Third, changing the instructor’s role from knowledge transmitter into facilitators or coach was designed to promot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students oriented classes. Fourth, the integrated transversal competency program consists of a teaching method which 1) integrates commonly shared elements of various subjects to reconstruct curriculum as a whole, 2) identifies the contents related to various courses based on specific topics, 3) contains relevant subject elements in combining activities and subjects together for students to be able to experi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es of integrating transversal competenc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by utilizing case study approach for analyz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lasses and programs. Findings of the p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actices of integrating transversal competenc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by utilizing case study approach for analyz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usic classes and
      programs.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chool mottos and philosophies mostly fostered creativity, future global leaders, and character development by creating happy and peaceful environments. Second, the classes were designed for students to solve their own problems through a variety of group activities, gathering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or other ICT-related resources to employ and enhance their transversal competencies. Third, changing the instructor’s role from knowledge transmitter into facilitators or coach was designed to promot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students oriented classes. Fourth, the integrated transversal competency program consists of a teaching method which 1) integrates commonly shared elements of various subjects to reconstruct curriculum as a whole, 2) identifies the contents related to various courses based on specific topics, 3) contains relevant subject elements in combining activities and subjects together for students to be able to exper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Introduction
      • II. Literature Reviews
      • III. Research Design and Data Collection
      • IV. Findings and Discussions
      • V. Conclusion
      • I. Introduction
      • II. Literature Reviews
      • III. Research Design and Data Collection
      • IV. Findings and Discussions
      • V. Conclusion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NESCO, "Transversal Competencies in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Phase I): Regional Synthesis Report" UNESCO

      2 Barry, Margaret, "The Galway Consensus Conferenc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for Health Promotion and Health Education" 16 (16): 5-11, 2005

      3 Mang, Esther,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Language on Children’s Singing Competency" 23 (23): 161-174, 2006

      4 Sharon Moynihan, "Teacher Competencies in Health Education: Results of a Delph Study" 10 (10): 469-448, 2015

      5 Visquez-Moreno, Diani, "Identification of Transversal Competences for Curriculum Reforms: The Case of Multiculturalism" 19 (19): 2015

      6 Leonni, Richardo, "Graduate employment and Development of Competencies. The Incomplete Reform of the “Bologna Process.”" 35 (35): 469-448, 2014

      7 Bosch Princep, Manuela, "Evaluation of Transverse Competencies: Pilot Project in a Maths Course for First Year Business" 2013

      8 Earnhart, Jeremy, "Competencies of the Public School Music Administrator: Texas Music Administrator Perspectives" Dallas Baptist University 2015

      9 Fautley, Martin, "Baseline Assessment of Pupil Composing Competencies on Entry to Secondary School: A Pilot Study" 22 (22): 156-166, 2005

      1 UNESCO, "Transversal Competencies in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Phase I): Regional Synthesis Report" UNESCO

      2 Barry, Margaret, "The Galway Consensus Conference: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for Health Promotion and Health Education" 16 (16): 5-11, 2005

      3 Mang, Esther, "The Effects of Age, Gender and Language on Children’s Singing Competency" 23 (23): 161-174, 2006

      4 Sharon Moynihan, "Teacher Competencies in Health Education: Results of a Delph Study" 10 (10): 469-448, 2015

      5 Visquez-Moreno, Diani, "Identification of Transversal Competences for Curriculum Reforms: The Case of Multiculturalism" 19 (19): 2015

      6 Leonni, Richardo, "Graduate employment and Development of Competencies. The Incomplete Reform of the “Bologna Process.”" 35 (35): 469-448, 2014

      7 Bosch Princep, Manuela, "Evaluation of Transverse Competencies: Pilot Project in a Maths Course for First Year Business" 2013

      8 Earnhart, Jeremy, "Competencies of the Public School Music Administrator: Texas Music Administrator Perspectives" Dallas Baptist University 2015

      9 Fautley, Martin, "Baseline Assessment of Pupil Composing Competencies on Entry to Secondary School: A Pilot Study" 22 (22): 156-16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10-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Music Educational Technology ->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KCI등재후보
      2008-10-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컴퓨터음악교육학회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mputer Music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Society of Music Education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0.785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