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레귀돈黎貴惇의 기철학과 인도관 연구 ─ 『운대류어芸臺類語』, 「이기理氣」 편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Philosophy of Qi(氣) and the View of Human way(人道) of the Vietnamese Confucian scholar Lê Quý Đôn(黎貴惇)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y of Qi(기, 氣) and the view of Human way(人道) of the great Confucian scholar Lê Quý Đôn(레귀돈, 黎貴惇, 1726~1784) of the Later Lê Dynasty of Vietnam, focusing on the “Li-Qi(리기, 理氣)” section of 『芸臺類語』(Vân đài loại ngữ, the Classified Discourses from Vân Terrace).
      Lê Quý Đôn denied the preexistence of the Principle(理, Li),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existing worldview, and argued for the preexistence of Qi(氣). He also emphasized that the one Qi of TaiJi(太極一氣) is the first original Energy(元氣) among the things that exist in the universe, and that the world of non-existence(無) does not exist. He also argued that the movement of heaven and earth encompasses both movement and stillness, and that this is the reality of the world of existence(有).
      Through his selective sentences, we can glimpse his thought system of Qi-philosophy and the political, socio-cultural reality of 18th-century in Vietnam. This period in Vietnam was a time when political division, Western invasion, and the infiltr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religion,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new cultures, had a shocking and realistic impact. While Joseon Korea society at the same time was a time when it indirectly encountered Western learning and discussed it only theoretically, Vietnam was experiencing the new world firsthand.
      The Human way(人道) he advocates is not an abstract or transcendental principle like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of Neo Confucianism, but something practical and realistic, and is always related to political concerns. Namely, it is defined as ‘reverence’(敬) for heaven, ‘sincerity’(誠) for spirits, and ‘filial piety’(孝) for ancestors.
      His reverence was directed toward heaven, sincerity was directed toward spirits, and filial piety was directed toward ancestors; it was a one-sided upward course, but it ultimately emphasized individual practice and was the goal and method of moral practice.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y of Qi(기, 氣) and the view of Human way(人道) of the great Confucian scholar Lê Quý Đôn(레귀돈, 黎貴惇, 1726~1784) of the Later Lê Dynasty of Vietnam, focusing on the “Li-Qi(리기, 理氣)” secti...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y of Qi(기, 氣) and the view of Human way(人道) of the great Confucian scholar Lê Quý Đôn(레귀돈, 黎貴惇, 1726~1784) of the Later Lê Dynasty of Vietnam, focusing on the “Li-Qi(리기, 理氣)” section of 『芸臺類語』(Vân đài loại ngữ, the Classified Discourses from Vân Terrace).
      Lê Quý Đôn denied the preexistence of the Principle(理, Li),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existing worldview, and argued for the preexistence of Qi(氣). He also emphasized that the one Qi of TaiJi(太極一氣) is the first original Energy(元氣) among the things that exist in the universe, and that the world of non-existence(無) does not exist. He also argued that the movement of heaven and earth encompasses both movement and stillness, and that this is the reality of the world of existence(有).
      Through his selective sentences, we can glimpse his thought system of Qi-philosophy and the political, socio-cultural reality of 18th-century in Vietnam. This period in Vietnam was a time when political division, Western invasion, and the infiltr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d religion,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new cultures, had a shocking and realistic impact. While Joseon Korea society at the same time was a time when it indirectly encountered Western learning and discussed it only theoretically, Vietnam was experiencing the new world firsthand.
      The Human way(人道) he advocates is not an abstract or transcendental principle like the Five Constant Virtues(五常) of Neo Confucianism, but something practical and realistic, and is always related to political concerns. Namely, it is defined as ‘reverence’(敬) for heaven, ‘sincerity’(誠) for spirits, and ‘filial piety’(孝) for ancestors.
      His reverence was directed toward heaven, sincerity was directed toward spirits, and filial piety was directed toward ancestors; it was a one-sided upward course, but it ultimately emphasized individual practice and was the goal and method of moral pract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베트남 후 레 왕조기(後黎朝)의 대유학자 레귀돈黎貴惇(Lê Quý Đôn, 1726~1784)의 여러 저작 가운데 『운대류어芸臺類語』의 「이기理氣」 편을 중심으로 그의 기철학과 인도관을 검토한 글이다.
      레귀돈은 기존 세계관의 특성인 원리(理)의 선재성을 부정하고 기의선재성을 논하였다. 또한 태극이라는 일기一氣가 우주 안에 존재하는것들 가운데 최초의 원기元氣로서 없음(無)의 세계는 없는 것임을 강조했다. 여기에 천지의 운동성은 움직임과 고요함을 동시에 포괄하는 것으로서 있음(有)의 세계가 갖는 실상임을 주장했다.
      우리는 그의 선택적인 문장을 통해 그의 기철학의 사유체계와 18세기베트남의 정치사회문화적 현실을 엿볼 수 있다. 베트남의 18세기는 정치적 분열과 서구의 침탈, 서구문명과 종교의 침투 등 변화된 세계상과새로운 문물에 대한 경험이 충격적으로 또 현실적으로 영향을 미치던시기였다. 동시기 조선사회가 간접적으로 서학을 접하고 이론적으로만논하던 시기였다면 베트남은 새로운 세계를 몸소 피부로 느끼던 시기였다.
      그가 말하는 인도人道는 정주 성리학의 오상五常과 같은 추상적이거나 초월적인 원리가 아니라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것들이었고, 늘 정치적 관심사와 관련되어 있었다. 곧 하늘에 대한 ‘공경(敬)’, 귀신에 대한‘정성(誠)’, 조상에 대한 ‘효도(孝)’로 규정된다. 그의 경敬은 천을 대상으로 하고, 성誠은 귀신을 대상으로 하고, 효孝는 조상을 대상으로 하는 일방 상향의 도리였지만, 결국 개인의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고, 도덕실천의 목표이자 방법이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베트남 후 레 왕조기(後黎朝)의 대유학자 레귀돈黎貴惇(Lê Quý Đôn, 1726~1784)의 여러 저작 가운데 『운대류어芸臺類語』의 「이기理氣」 편을 중심으로 그의 기철학과 인도관을 �...

      이 논문은 베트남 후 레 왕조기(後黎朝)의 대유학자 레귀돈黎貴惇(Lê Quý Đôn, 1726~1784)의 여러 저작 가운데 『운대류어芸臺類語』의 「이기理氣」 편을 중심으로 그의 기철학과 인도관을 검토한 글이다.
      레귀돈은 기존 세계관의 특성인 원리(理)의 선재성을 부정하고 기의선재성을 논하였다. 또한 태극이라는 일기一氣가 우주 안에 존재하는것들 가운데 최초의 원기元氣로서 없음(無)의 세계는 없는 것임을 강조했다. 여기에 천지의 운동성은 움직임과 고요함을 동시에 포괄하는 것으로서 있음(有)의 세계가 갖는 실상임을 주장했다.
      우리는 그의 선택적인 문장을 통해 그의 기철학의 사유체계와 18세기베트남의 정치사회문화적 현실을 엿볼 수 있다. 베트남의 18세기는 정치적 분열과 서구의 침탈, 서구문명과 종교의 침투 등 변화된 세계상과새로운 문물에 대한 경험이 충격적으로 또 현실적으로 영향을 미치던시기였다. 동시기 조선사회가 간접적으로 서학을 접하고 이론적으로만논하던 시기였다면 베트남은 새로운 세계를 몸소 피부로 느끼던 시기였다.
      그가 말하는 인도人道는 정주 성리학의 오상五常과 같은 추상적이거나 초월적인 원리가 아니라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것들이었고, 늘 정치적 관심사와 관련되어 있었다. 곧 하늘에 대한 ‘공경(敬)’, 귀신에 대한‘정성(誠)’, 조상에 대한 ‘효도(孝)’로 규정된다. 그의 경敬은 천을 대상으로 하고, 성誠은 귀신을 대상으로 하고, 효孝는 조상을 대상으로 하는 일방 상향의 도리였지만, 결국 개인의 실천을 강조하는 것이고, 도덕실천의 목표이자 방법이었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