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일회담과 문화재 반환 교섭 = 일본 정부의 반환 문화재 목록 작성과정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06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일회담 문화재 반환 교섭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의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전체 교섭의 시각에서 문화재위원회를 평가해야 하는지, 아니면 협상자를 중심으로 ...

      이 글은 한일회담 문화재 반환 교섭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의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전체 교섭의 시각에서 문화재위원회를 평가해야 하는지, 아니면 협상자를 중심으로 평가해야 하는지, 기준에 따라 문화재 교섭에 대한 평가는 다를 것이다.
      오늘날 시점으로 50년 전의 반환 교섭을 바라본다면 한계가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당시 국제사회의 문화재에 대한 인식, 한일 양국의 문화재 인식이 협상과정에 영향을 미친 것은 당연하다.
      한일외교문서를 통해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은 문화재 교섭을 부수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지 않았다. 한국은 한일 과거사 문제 처리의 일환으로 문화재 문제를 인식했는데 그것은 대일 8항목 중 1항목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 『대일배상요구조서』에서 조사한 약탈 문화재 범주를 갖고 엉성하게 한일회담 초기 협상을 시작하였지만, 협상이 진행될수록 부수적·소극적으로 일관하는 일본에 별도로 문화재위원회의 개최를 요청하는 등 적극적인 태도로 일본을 압박해 나갔다. 반면 일본은 영토분리 차원에서 문화재 문제를 처리하고자 했기 때문에 철저하게 제국주의적 논리로 문화재 문제에 접근했다.
      문화재 교섭은 한국 외무부(현 외교부)와 일본 외무성이 실질적 교섭 당사자였으나 일본은 문화재 문제에 있어 문부성, 문화재보호위원회,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반환 목록을 작성하였다. 일본 외무성은 첫 번째 한일회담에서 조사한 국제사례를 한국에 적용시켰다. 즉 한국과 일본은 교전국 간의 배상이 아니기 때문에 문화재를 ‘반환’할 의무가 없으며 사유문화재는 돌려줄 수 없다는 논리였다. 문부성과 문화재보호위원회의 주장은 일본 외무성의 주장을 더욱 지지해주는 결과를 가져다주었을 뿐 일본 외무성이 한국과의 교섭에서 더 적극적인 교섭으로 문화재를 반환하고자 한 의지도 없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소극적이고 부수적인 교섭으로 일관하던 일본 측의 자세를 변화시킨 것은 한국의 전문가들이었다. 처음부터 반환 문화재 목록을 확대하지 않으려는 일본의 전략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문화재전문가위원회를 통해 방대한 양의 일본 반출 목록을 제출해 상세한 설명과 함께 반출경위를 설명하였다. 기존의 교섭에서 일본은 소장처를 알 수 없다는 태도와 침묵으로 일관하였으나 한국의 상세한 보고와 설명으로 더 이상 소극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로써 문화재전문가위원회 개최는 당초 일본이 생각했던 문화재 반환 목록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대일배상요구조서』 와 ‘약탈 문화재’
      • Ⅲ. 한일회담 시기 문화재 교섭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Ⅰ. 머리말
      • Ⅱ. 『대일배상요구조서』 와 ‘약탈 문화재’
      • Ⅲ. 한일회담 시기 문화재 교섭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 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충현, "해외유출불법반출문화재반환의 국제법적 규제" 30 : 1989

      2 동북아역사재단, "한일회담관련 일본측 공문서 상세목록"

      3 국성하, "한일회담 문화재 반환협상 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5) : 369-393, 2005

      4 문화재청, "한일협정 반환문화재 자료집"

      5 제성호, "한·일간 문화재 반환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중앙법학회 11 (11): 441-488, 2009

      6 황수영, "재일 문화재의 반환문제" 1960

      7 조부근, "잃어버린 우리문화재를 찾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문화재청 2007

      8 이동준, "일한국교정상화교섭의 기록" 삼인출판사 2015

      9 황수영, "일제기피해자피해자료"

      10 류미나, "일본의 문화재 ‘반환’으로 본 식민지 지배의 ‘잔상’, 그리고 ‘청산’의 허상 -1958년 일본의 제1차 문화재반환까지의 교섭과정을 사례로-" 일본사학회 (32) : 213-241, 2010

      1 백충현, "해외유출불법반출문화재반환의 국제법적 규제" 30 : 1989

      2 동북아역사재단, "한일회담관련 일본측 공문서 상세목록"

      3 국성하, "한일회담 문화재 반환협상 연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5) : 369-393, 2005

      4 문화재청, "한일협정 반환문화재 자료집"

      5 제성호, "한·일간 문화재 반환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중앙법학회 11 (11): 441-488, 2009

      6 황수영, "재일 문화재의 반환문제" 1960

      7 조부근, "잃어버린 우리문화재를 찾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문화재청 2007

      8 이동준, "일한국교정상화교섭의 기록" 삼인출판사 2015

      9 황수영, "일제기피해자피해자료"

      10 류미나, "일본의 문화재 ‘반환’으로 본 식민지 지배의 ‘잔상’, 그리고 ‘청산’의 허상 -1958년 일본의 제1차 문화재반환까지의 교섭과정을 사례로-" 일본사학회 (32) : 213-241, 2010

      11 박훈, "의제로 본 한일회담 2" 선인 2010

      12 이보아, "문화재의 원산국으로의 반환에 대한 고찰" 서울대 1999

      13 류미나, "문화재 반환 교섭으로 본 한일회담의 한계― 일본의 한국 문화재 반환 절차를 중심으로" 일본사학회 (40) : 1-23, 2014

      14 이홍직, "韓日會談과 文化財返還問題" 신세계사 1963

      15 伊藤孝司, "韓国·北朝鮮からの文化財返還要求をどのように受け止めるのか" 2008

      16 藤田亮策, "朝鮮古文化財の保存" 1951

      17 旗田巍, "日韓条約と朝鮮文化財返還問題" 1965

      18 中内康夫, "日韓図書協定の作成経緯と主な内容" (314) : 2011

      19 李洋秀, "日韓会談文書と文化財返還問題" (72) : 2012

      20 高崎宗司, "日韓会談における文化財返還交渉について" 1986

      21 李英哲, "国際社会における略奪文化財返還に関する諸アプローチおよび問題点-在日朝鮮文化財返還のために" 2006

      22 류미나, "‘한일회담 외교문서’로 본 한일간 문화재 반환 교섭" 일본사학회 (30) : 119-147,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