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덕복, "한국인의 언어행동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일고찰: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한림정보산업대학 32 : 167-184, 2002
2 황유진, "한국어 학습자의 위로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은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위로표현 교육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우형식,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실제성과 단순화에 대한 반성적 접근" 우리말학회 (28) : 285-314, 2011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6 김정남,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의미학회 13 : 257-274, 2003
7 김강희, "한국어 공적 담화의 위로하기 기능 연구: 제주 4.3 사건 추념사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375-406, 2019
8 전지원, "한·중 위로 화행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서정수, "한. 일. 영 및 중국어의 인사말 비교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4 : 13-36, 1998
10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1 박덕복, "한국인의 언어행동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일고찰: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한림정보산업대학 32 : 167-184, 2002
2 황유진, "한국어 학습자의 위로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은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위로표현 교육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우형식,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실제성과 단순화에 대한 반성적 접근" 우리말학회 (28) : 285-314, 2011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6 김정남,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의미학회 13 : 257-274, 2003
7 김강희, "한국어 공적 담화의 위로하기 기능 연구: 제주 4.3 사건 추념사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375-406, 2019
8 전지원, "한·중 위로 화행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서정수, "한. 일. 영 및 중국어의 인사말 비교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4 : 13-36, 1998
10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11 제민경, "컴퓨팅 사고의 시대에 ‘문법하기’의 의미화"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9) : 1-22, 2019
12 이은영, "중학교 국어" 동아출판(주) 2018
13 남미영, "중학교 국어" ㈜교학사 2018
14 노미숙, "중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8
15 류수열, "중학교 국어" ㈜금성출판사 2018
16 박영목, "중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8
17 김진수, "중학교 국어" ㈜비상교육 2018
18 이삼형, "중학교 국어" ㈜지학사 2018
19 이도영, "중학교 국어" ㈜창비 2018
20 신유식, "중학교 국어" ㈜미래엔 2018
21 문교부, "중학교 교육과정" 1987
22 박햇님,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위로 화행 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3 신혜진, "중국인 학습자의 위로 화행 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6 : 145-182, 2014
24 유희재, "정치적 담화에서 나타나는 ‘우리’의 의미와 대통령의 전략적 위치짓기- 박근혜 전 대통령의 연설문을 대상으로 -" 이화어문학회 (43) : 119-142, 2017
25 김선지,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위로 화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양혜진, "일본어 담화에 나타난 「위로」 표현 : 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7 이규호, "이인칭 대명사로의 전용 현상" 국어국문학회 (182) : 5-38, 2018
28 채연숙, "위로의 의미읽기와 문학치료 - 영화, <그녀에게 Hable con ella>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48) : 299-318, 2012
29 장성환, "위로 표현에 관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연구"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30 차경미,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의 국어의 특질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2016): 2-19, 2016
31 차경미, "어휘 수행 전략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32 이상섭, "슬픔과 위로 -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적 위로의 서』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소 55 : 9-34, 2018
33 주월랑, "문화어휘 ‘우리’의 사용 양상과 ‘우리+명사’ 구조의 의미 인식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75-294, 2013
34 고춘화, "문법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연결어미 ‘-지만’ 교육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 53 (53): 5-30, 2018
35 오현아,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잖아(요), -거든(요)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3) : 79-111, 2015
36 이관희,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속담의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소 (41) : 113-153, 2018
37 이철우, "공익광고 언어의 표현 전략으로 본 ‘우리’의 의미" 우리말글학회 51 : 117-143, 2011
38 원지은, "語用論的観点からの日韓の慰めのストラテジー" 동아시아일본학회 (36) : 365-378, 2010
39 이성혜, "祭文, 위로와 치유의 서사"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3) : 117-142, 2014
40 구현정, "“아니, 안 하는 게 아니잖아”: 부정 표현의 문법화"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1-27, 2008
41 Dörnyei, Z., "On the teachability of communication strategies" 29 (29): 55-85, 1995
42 Norberg, A., "A model of consolation" 8 (8): 544-553, 2001
43 교육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