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어 화자의 위로 전략 사용 양상과 어휘·문법적 특징 - 드라마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 = Consolation Strategies and Lexical/Grammatical features of Consolation Expression of Korean Native Speakers - Focusing on Drama Discourse Analysi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5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olation strategies and concrete consolation expressions that have never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use of consolation strategies through drama discourse. The strategy analysis framework establish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was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strategies. Direct strategies include empathy, anxiety, helping, encouraging, reassuring, suggesting alternatives, expressing opinions, emphasizing positive aspects, presenting positive outlook, expressing hope, shifting the responsibility to others, acknowledging, using customary expressions, using ritual expressions, sharing experiences, comparing, and generalizing. Indirect strategies are joking, rejuvenating, asking questions, reprimanding, calling names, and back-channeling.
      Next, I analyzed the lexical and grammatical features related to consolation strategies. Accordingly, I discussed 1) “uri(우리)” used in shifting responsibility to others, 2) the connective ending “-jiman(-지만)” used in expressing opinions, and 3) negative expressions used for reassuring.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olation strategies and concrete consolation expressions that have never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use of consolation strat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olation strategies and concrete consolation expressions that have never been address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For this purpose, I examine the use of consolation strategies through drama discourse. The strategy analysis framework establish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the strategy was 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strategies. Direct strategies include empathy, anxiety, helping, encouraging, reassuring, suggesting alternatives, expressing opinions, emphasizing positive aspects, presenting positive outlook, expressing hope, shifting the responsibility to others, acknowledging, using customary expressions, using ritual expressions, sharing experiences, comparing, and generalizing. Indirect strategies are joking, rejuvenating, asking questions, reprimanding, calling names, and back-channeling.
      Next, I analyzed the lexical and grammatical features related to consolation strategies. Accordingly, I discussed 1) “uri(우리)” used in shifting responsibility to others, 2) the connective ending “-jiman(-지만)” used in expressing opinions, and 3) negative expressions used for reassur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덕복, "한국인의 언어행동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일고찰: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한림정보산업대학 32 : 167-184, 2002

      2 황유진, "한국어 학습자의 위로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은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위로표현 교육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우형식,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실제성과 단순화에 대한 반성적 접근" 우리말학회 (28) : 285-314, 2011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6 김정남,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의미학회 13 : 257-274, 2003

      7 김강희, "한국어 공적 담화의 위로하기 기능 연구: 제주 4.3 사건 추념사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375-406, 2019

      8 전지원, "한·중 위로 화행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서정수, "한. 일. 영 및 중국어의 인사말 비교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4 : 13-36, 1998

      10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1 박덕복, "한국인의 언어행동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일고찰: 20대 남녀를 중심으로" 한림정보산업대학 32 : 167-184, 2002

      2 황유진, "한국어 학습자의 위로 화행 실현 양상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은주,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위로표현 교육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4 우형식, "한국어 읽기 텍스트의 실제성과 단순화에 대한 반성적 접근" 우리말학회 (28) : 285-314, 2011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6 김정남, "한국어 대명사 ‘우리’의 의미와 용법" 한국어의미학회 13 : 257-274, 2003

      7 김강희, "한국어 공적 담화의 위로하기 기능 연구: 제주 4.3 사건 추념사를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375-406, 2019

      8 전지원, "한·중 위로 화행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9 서정수, "한. 일. 영 및 중국어의 인사말 비교연구" 국제비교한국학회 4 : 13-36, 1998

      10 강현화, "코퍼스에 기반한 ‘-잖다’의 화행적 특성 고찰" 한국어의미학회 28 : 1-28, 2009

      11 제민경, "컴퓨팅 사고의 시대에 ‘문법하기’의 의미화" 국어교육학회(since1969) (69) : 1-22, 2019

      12 이은영, "중학교 국어" 동아출판(주) 2018

      13 남미영, "중학교 국어" ㈜교학사 2018

      14 노미숙, "중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8

      15 류수열, "중학교 국어" ㈜금성출판사 2018

      16 박영목, "중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8

      17 김진수, "중학교 국어" ㈜비상교육 2018

      18 이삼형, "중학교 국어" ㈜지학사 2018

      19 이도영, "중학교 국어" ㈜창비 2018

      20 신유식, "중학교 국어" ㈜미래엔 2018

      21 문교부, "중학교 교육과정" 1987

      22 박햇님, "중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위로 화행 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23 신혜진, "중국인 학습자의 위로 화행 교육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16 : 145-182, 2014

      24 유희재, "정치적 담화에서 나타나는 ‘우리’의 의미와 대통령의 전략적 위치짓기- 박근혜 전 대통령의 연설문을 대상으로 -" 이화어문학회 (43) : 119-142, 2017

      25 김선지, "일본어권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위로 화행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6 양혜진, "일본어 담화에 나타난 「위로」 표현 : 드라마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7 이규호, "이인칭 대명사로의 전용 현상" 국어국문학회 (182) : 5-38, 2018

      28 채연숙, "위로의 의미읽기와 문학치료 - 영화, <그녀에게 Hable con ella>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48) : 299-318, 2012

      29 장성환, "위로 표현에 관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연구"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30 차경미,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의 국어의 특질 교육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문법교육학회 2016 (2016): 2-19, 2016

      31 차경미, "어휘 수행 전략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32 이상섭, "슬픔과 위로 -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과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신적 위로의 서』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소 55 : 9-34, 2018

      33 주월랑, "문화어휘 ‘우리’의 사용 양상과 ‘우리+명사’ 구조의 의미 인식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75-294, 2013

      34 고춘화, "문법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연결어미 ‘-지만’ 교육방안 연구" 국어교육학회 53 (53): 5-30, 2018

      35 오현아,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잖아(요), -거든(요)를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3) : 79-111, 2015

      36 이관희, "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속담의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소 (41) : 113-153, 2018

      37 이철우, "공익광고 언어의 표현 전략으로 본 ‘우리’의 의미" 우리말글학회 51 : 117-143, 2011

      38 원지은, "語用論的観点からの日韓の慰めのストラテジー" 동아시아일본학회 (36) : 365-378, 2010

      39 이성혜, "祭文, 위로와 치유의 서사"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3) : 117-142, 2014

      40 구현정, "“아니, 안 하는 게 아니잖아”: 부정 표현의 문법화" 담화·인지언어학회 15 (15): 1-27, 2008

      41 Dörnyei, Z., "On the teachability of communication strategies" 29 (29): 55-85, 1995

      42 Norberg, A., "A model of consolation" 8 (8): 544-553, 2001

      43 교육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2-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2 0.96 1.335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