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이 횡령 및 배임의 적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Auditor and a Firm’s Governance on the Detection of Embezzlement and Malpractic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2014,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has been revised and according to the act, all listed companies began to mandatorily disclos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auditor and their governance body, such as audit committee or internal auditors. After the first disclosure in 2014, the financial authority required to disclose more detail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not only the frequency of meetings, but also attendees and contents of major discussions at each meeting. In 2018, the audit practice guidelines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ose charged governance has been establish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Despite the increased attention from financial authorities and practice, more than 60 percent of listed companies hold communication between external auditors and the firm’s governance body less than twice a year. We noticed that companies are not actively engaged in the communication and prior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the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auditor and a firm’s governance bod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tection of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of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security market from 2014 to 2019 show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auditor and audit committee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etecting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s. The total amounts and the number of cases of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s are also positively 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s and the detection of the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s is strengthened when the auditor who is attendee for the communication is a BIG4 audit firm. Additional test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auditor and the firm’s governance body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perio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auditor and the firm’s governance body.
      번역하기

      In 2014,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has been revised and according to the act, all listed companies began to mandatorily disclos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auditor and their governance body, such as aud...

      In 2014,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has been revised and according to the act, all listed companies began to mandatorily disclose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auditor and their governance body, such as audit committee or internal auditors. After the first disclosure in 2014, the financial authority required to disclose more detail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not only the frequency of meetings, but also attendees and contents of major discussions at each meeting. In 2018, the audit practice guidelines for the communication with those charged governance has been established by the Korean Institute of Certified Public Accountants. Despite the increased attention from financial authorities and practice, more than 60 percent of listed companies hold communication between external auditors and the firm’s governance body less than twice a year. We noticed that companies are not actively engaged in the communication and prior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are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 of whether the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auditor and a firm’s governance bod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tection of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es of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security market from 2014 to 2019 show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auditor and audit committee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etecting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s. The total amounts and the number of cases of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s are also positively 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we find tha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s and the detection of the embezzlements and malpractices is strengthened when the auditor who is attendee for the communication is a BIG4 audit firm. Additional test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auditor and the firm’s governance body is maintained until the next period.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mpirical evidence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auditor and the firm’s governance bo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공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개정과 함께 2014 년에 최초로 도입된 제도로, 도입이후 공시 범위가 확대되는 등 지속적으로 개정 및 시행되어 왔다.
      이에 대응하여 한국공인회계사회는 2018년 회계감사 실무지침 2018-2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에관한 회계감사실무지침’을 마련하였다. 규제당국과 실무에서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 상장기업의60%이상이 지배기구와 외부감사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연 2회 이하로 개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기업들은 커뮤니케이션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고 있고,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 또한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이 횡령 및 배임을 적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업과 규제당국에게 해당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실증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빈도가 증가할수록 횡령 및 배임의 적발가능성은 높아졌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뤄질수록 적발된 횡령 및 배임의 적발규모와 적발횟수가 증가하여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의횡령 및 배임 적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과 횡령 및 배임적발가능성, 적발규모 및 적발횟수 간 양(+)의 상관관계는 커뮤니케이션에 참석하는 감사인이 BIG4인경우에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 결과,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는 당기와 차기까지 두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실증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해당 커뮤니케이션이 기업의 횡령 및 배임을 적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공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개정과 함께 2014 년에 최초로 도입된 제도로, 도입이후 공시 범위가 확대되는 등 지속적으로 개정 및 ...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공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개정과 함께 2014 년에 최초로 도입된 제도로, 도입이후 공시 범위가 확대되는 등 지속적으로 개정 및 시행되어 왔다.
      이에 대응하여 한국공인회계사회는 2018년 회계감사 실무지침 2018-2 ‘지배기구와 커뮤니케이션에관한 회계감사실무지침’을 마련하였다. 규제당국과 실무에서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 상장기업의60%이상이 지배기구와 외부감사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연 2회 이하로 개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기업들은 커뮤니케이션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고 있고,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 또한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이 횡령 및 배임을 적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업과 규제당국에게 해당 제도의 실효성에 대한 실증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증권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상장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빈도가 증가할수록 횡령 및 배임의 적발가능성은 높아졌다. 또한,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하게 이뤄질수록 적발된 횡령 및 배임의 적발규모와 적발횟수가 증가하여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의횡령 및 배임 적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과 횡령 및 배임적발가능성, 적발규모 및 적발횟수 간 양(+)의 상관관계는 커뮤니케이션에 참석하는 감사인이 BIG4인경우에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 결과,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는 당기와 차기까지 두 기간 동안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실증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해당 커뮤니케이션이 기업의 횡령 및 배임을 적발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호진, "횡령⋅배임에 있어서 기업의 고위 경영자에 대한 양형분석과 문제점" 법학연구소 39 (39): 63-91, 2015

      2 윤순석, "횡령 및 배임 사건 공시기업의 시장반응과 이익조정" (2) : 1-19, 2010

      3 최규담, "회계투명성, 경영전략 및 보수적 회계처리" 한국회계학회 42 (42): 31-79, 2017

      4 박재영, "회계 부정 지적 기업의 경영자 보상과 정보비대칭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보학회 30 (30): 409-430, 2012

      5 박애영, "통제메커니즘의 취약성이코스닥 기업의 횡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14 (14): 65-89, 2014

      6 이성욱, "자산 횡령과 재량적 발생액의 실증적 관계" 대한경영학회 24 (24): 985-1007, 2011

      7 김종근,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 빈도와 감사품질과의 관련성" 한국세무학회 21 (21): 29-48, 2020

      8 홍지연, "외부감사인과 내부감사기구와의 상호소통 방식 및 사회적 관계가 피감사 기업의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39 (39): 1-26, 2021

      9 이성욱,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과 이사회 특성이 자산횡령에 미치는 효과" 한국회계학회 19 (19): 89-123, 2010

      10 배한수, "기업지배구조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상호작용이 회계부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15 (15): 63-82, 2014

      1 최호진, "횡령⋅배임에 있어서 기업의 고위 경영자에 대한 양형분석과 문제점" 법학연구소 39 (39): 63-91, 2015

      2 윤순석, "횡령 및 배임 사건 공시기업의 시장반응과 이익조정" (2) : 1-19, 2010

      3 최규담, "회계투명성, 경영전략 및 보수적 회계처리" 한국회계학회 42 (42): 31-79, 2017

      4 박재영, "회계 부정 지적 기업의 경영자 보상과 정보비대칭에 관한 연구" 한국회계정보학회 30 (30): 409-430, 2012

      5 박애영, "통제메커니즘의 취약성이코스닥 기업의 횡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14 (14): 65-89, 2014

      6 이성욱, "자산 횡령과 재량적 발생액의 실증적 관계" 대한경영학회 24 (24): 985-1007, 2011

      7 김종근, "외부감사인과 지배기구간 커뮤니케이션 빈도와 감사품질과의 관련성" 한국세무학회 21 (21): 29-48, 2020

      8 홍지연, "외부감사인과 내부감사기구와의 상호소통 방식 및 사회적 관계가 피감사 기업의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회계정보학회 39 (39): 1-26, 2021

      9 이성욱,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취약점과 이사회 특성이 자산횡령에 미치는 효과" 한국회계학회 19 (19): 89-123, 2010

      10 배한수, "기업지배구조와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상호작용이 회계부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무학회 15 (15): 63-82, 2014

      11 김정애, "기업지배구조가 회계부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인회계사회 (45) : 297-324, 2007

      12 유현수, "기업의 조세회피와 경영자의 횡령 및 배임과의 관련성" 한국세무학회 35 (35): 237-285, 2018

      13 유현수, "경영자의 회계부정 및 횡령・배임과 조세회피와의 관련성" 동국대학교 2017

      14 전성빈, "경영자의 자산횡령과 이익조정" (2) : 392-419, 2015

      15 김두얼, "경영범죄와 기업성과" 한국법경제학회 10 (10): 315-358, 2013

      16 고윤성, "감사인 규모에 따른 감사품질의 재고찰" 한국세무학회 15 (15): 143-177, 2014

      17 손성규, "감사위원회의 효과: 회계오류를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29 (29): 61-90, 2004

      18 전규안, "감사위원회의 설치와 이익조정사이의 관계" 한국회계학회 29 (29): 143-178, 2004

      19 전영순, "감사위원회 재무전문가의 효과와 기업지배구조" 한국회계학회 38 (38): 31-60, 2013

      20 Asch, Peter, "“Is Collusion Profitable?" 1-12, 1976

      21 Hamilton, Rebecca W, "When the Means Justify the Ends: Effects of Observability on the Procedural Fairness and Distributive Fairness of Resource Allocations" 19 (19): 303-320, 2006

      22 Staw, Barry M, "The Scarcity-Munificence Component of Organizational Environments and the Commission of Illegal Acts" 345-354, 1975

      23 Francis, Jere R, "The Role of Big 6 Auditors in the Credible Reporting of Accruals" 18 (18): 17-34, 1999

      24 Dopuch, Nicholas, "The Nature of Competition in the Auditing Profession: A Descriptive and Normative View" 34 (34): 283-289, 1980

      25 Becker, Connie L, "The Effect of Audit Quality on Earnings Management" 15 (15): 1-24, 1998

      26 Bédard, Jean, "The Effect of Audit Committee Expertise, Independence, and Activity on Aggressive Earnings Management" 23 (23): 13-35, 2004

      27 Beasley, Mark S, "The Audit Committee Oversight Process" 26 (26): 65-122, 2009

      28 Jensen, Michael C, "THEORY OF THE FIRM: MANAGERIAL BEHAVIOR, AGENCY COSTS AND OWNERSHIP STRUCTURE" 1976

      29 Gendron, Yves, "On the Constitution of Audit Committee Effectiveness" 31 (31): 211-239, 2006

      30 Child, John, "Manageri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any Performance Part I" 11 (11): 175-189, 1974

      31 Cochran, Philip L, "Illegal Corporate Behavior and the Question of Moral Agency: An Empirical Examination" (9) : 73-91, 1987

      32 Gendron, Yves, "Getting Inside the Black Box: A Field Study of Practices in ‘Effective’ Audit Committees" 23 (23): 153-171, 2004

      33 Beasley, Mark S, "Fraudulent Financial Reporting: Consideration of Industry Traits and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s" 14 (14): 441-454, 2000

      34 Canadian Public Accountability Board(CPAB), "Enhancing Audit Quality: Report on the 2010 Inspections of the Quality of Audits Conducted by Public Accounting Firms" CPAB 2011

      35 Brazel, J.F., "Do Auditors and Audit Committees Lower Fraud Risk by Constraining Inconsistencies betwee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38 (38): 103-122, 2019

      36 Brazel, Joseph F., "Do Auditors and Audit Committees Lower Fraud Risk by Constraining Inconsistencies betwee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easures?" 38 (38): 103-122, 2019

      37 Becker, Gary S., "Crime and Punishment: An Economic Approach" 76 (76): 169-217, 1968

      38 Baucus, Melissa S, "Can Illegal Corporate Behavior Be Predicted? An Event History Analysis" 34 (34): 9-36, 1991

      39 Francis, Jere R, "Big 4 Office Size and Audit Quality" 84 (84): 1521-1552, 2009

      40 Fiolleau, Krista, "Auditors’ Communications with Audit Committees: The Influence of the Audit Committee’s Oversight Approach" 38 (38): 125-150, 2019

      41 DeAngelo, Linda Elizabeth, "Auditor Size and Audit Quality" 3 (3): 183-199, 1981

      42 McMullen, D. A, "Audit Committee Performance : An Investigation of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Audit Committees" 15 (15): 87-103, 1996

      43 Carlsson, Gosta, "Age, Cohorts and the Generation of Generations" 710-718, 19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회계와 감사 연구 -> 회계ㆍ세무와 감사 연구
      외국어명 : Accounting & Auditing Research -> Study on Accounting, Taxation & Auditing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Accounting & Auditing Research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회계와 감사 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23 2.1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