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교사의 도덕과 수업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 교사와 협력하여 연계 강의를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연구를 추진했다. 1학기에 현장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협의회를 정기적으로 가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14501
2022
-
KCI등재
학술저널
79-102(2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예비교사의 도덕과 수업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 교사와 협력하여 연계 강의를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연구를 추진했다. 1학기에 현장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협의회를 정기적으로 가졌...
예비교사의 도덕과 수업역량 강화를 위해 현장 교사와 협력하여 연계 강의를 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연구를 추진했다. 1학기에 현장 교사의 수업 역량 강화를 위해 협의회를 정기적으로 가졌다. 이때 도덕과 경험학습 수업모형을 선택하고. 이 수업모형의 이론에 대한 현장 교사의 심층적 이해를 돕고, 또 경험학습 수업모형 지도안의 작성을 위해 다방면에 걸쳐 현장 교사를 도왔다. 현장 교사는 경험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도덕과 수업을 하면서 수업 역량을 강화했다. 2학기에도 정기적으로 현장교사와 함께 협의회를 개최하면서 경험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도덕과 지도안 작성 및 수업을 추진했다. 이러한 과정 중에 현장 교사는 자신의 경험을 교수와의 연계 강의를 통해 예비교사들에게 전달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에서 많은 예비교사들이 도덕과 지도안 작성 및 모의수업실연에 도움을 받았다고, 또 장차 교사가 되었을 때 도덕과 수업에 열심을 다하려는 마음가짐을 갖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strengthen the moral class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a plan to conduct lectures in connection with field teachers was established and research was promoted. In the first semester, a meeting was held regularly to strengthen the ...
In order to strengthen the moral class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a plan to conduct lectures in connection with field teachers was established and research was promoted. In the first semester, a meeting was held regularly to strengthen the morality and teaching competency of field teachers. At this time, by selecting the experience teaching model, field teacher’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the instructional model was promoted, and the moral and instructional competencies applied with the experience teaching model were also strengthened. In the second semester, a meeting was held continuously with field teacher to prepare moral guidance plans and promote moral classes applying the experience teaching model. An opportunity to convey the vivid experiences experienced through this process to prospective teachers was prepared through a lecture in connection with the professor of the University. Through the linked lectures, it was confirmed through a survey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were helped in writing a moral guidance plan and demonstrating moral classes, and when they became teachers in the future, they became determined to devote themselves to moral class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은은숙, "피아제의 발생학적 인식론의 방법론에 대한 주요 비판들과 그 문제" 대한철학회 120 : 185-206, 2011
2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6" 지학사 2019
3 교육부, "초등학교 3~4학년군 도덕4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2018
4 엄태동,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박영스토리 2020
5 송도선, "존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사상" 학지사 2021
6 이돈희, "존 듀이와 함께한 질성적 사고와 교육적 경험" 학지사 2021
7 오채선,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활동 지도경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81-105, 2015
8 서강식, "바른생활과의 경험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초등연구원 34 (34): 77-99, 1997
9 정구복, "경험수업모형에 기초한 도덕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정인석, "개정 신교과교육론" 교육출판사 1994
1 은은숙, "피아제의 발생학적 인식론의 방법론에 대한 주요 비판들과 그 문제" 대한철학회 120 : 185-206, 2011
2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6" 지학사 2019
3 교육부, "초등학교 3~4학년군 도덕4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2018
4 엄태동,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박영스토리 2020
5 송도선, "존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사상" 학지사 2021
6 이돈희, "존 듀이와 함께한 질성적 사고와 교육적 경험" 학지사 2021
7 오채선, "유아교사의 상상놀이 활동 지도경험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81-105, 2015
8 서강식, "바른생활과의 경험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초등연구원 34 (34): 77-99, 1997
9 정구복, "경험수업모형에 기초한 도덕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0 정인석, "개정 신교과교육론" 교육출판사 1994
11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12 서순태, "Piaget의 구성주의에 근거한 Kamii와 DeVries의 유아교육론" 한국교육사상학회 (19) : 231-250, 2006
13 오경환, "John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in Education and Its Analysis and Critique by Biblical Understanding for Christian Education"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59 : 45-70, 2021
14 Mahrer, A. R., "Experiencing" University of Ottawa Press 1989
15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Macmillan 1939
민주화 이전 시기, ‘애국심 교육’의 변천과 그 특징 -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교 교육과정에서 융복합적 AI윤리교육의 과제 - 교육대학원 AI융합교육전공과 ‘AI 윤리’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철학교육적 요소에 관한 성찰과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어린이철학의 제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10-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9 | 1.39 | 1.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4 | 1.06 | 1.679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