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철학교육적 요소에 관한 성찰과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어린이철학의 제언 = Reflection on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P4C and Its Proposal for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14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철학교육적 요소와 측면을 반성하고, 새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및 교수학습방안에 관해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덕교육에서 요구되는 철학교육의 조건과 방법론을 검토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철학교육으로서 어린이철학을 제시한다.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체계와 교수학습방법에서 어린이철학의 수용 지점을 살피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이를 통해 어린이철학의 관점에서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언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철학교육적 요소와 측면을 반성하고, 새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및 교수학습방안에 관해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덕교육에서 ...

      이 글은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철학교육적 요소와 측면을 반성하고, 새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및 교수학습방안에 관해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도덕교육에서 요구되는 철학교육의 조건과 방법론을 검토하고, 이를 충족시키는 철학교육으로서 어린이철학을 제시한다.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내용체계와 교수학습방법에서 어린이철학의 수용 지점을 살피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이를 통해 어린이철학의 관점에서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언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curriculum that embraced the elements of philosophical education in the moral education, in the sen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ology of P4C,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rograms in contemporary philosophical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moral education should be more rigorous and sophisticated in several aspects, in reflecting on the 2015 revised mora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P4C, and makes suggestions on the content system and teaching methodology for the new moral curriculum.
      번역하기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curriculum that embraced the elements of philosophical education in the moral education, in the sen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ology of P4C, one of t...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curriculum that embraced the elements of philosophical education in the moral education, in the sense of the introduction of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ology of P4C, one of the most influential programs in contemporary philosophical educ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the philosophical approach to moral education should be more rigorous and sophisticated in several aspects, in reflecting on the 2015 revised mora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P4C, and makes suggestions on the content system and teaching methodology for the new moral curriculu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희정, "탐구공동체활동을 통한 도덕적 사고력 신장: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5) : 89-116, 2007

      2 김재식, "탐구공동체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9 : 127-150, 2002

      3 박진환, "철학적 탐구공동체방법을 통한 인격 교육" 한국윤리학회 53 (53): 2-50, 2003

      4 임덕준, "윤리 교육과 철학 그리고 논술" 한국철학윤리교육연구회 21 (21): 89-106, 2005

      5 박찬영, "어린이철학을 통한 도덕적, 시민적 인성 함양 방안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51) : 525-549, 2019

      6 정보주, "어린이철학에 기초한 도덕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 : 125-152, 2001

      7 박찬영,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 정초에 관한 연구 – 립먼의 듀이철학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0

      8 김회용, "어린이철학 교육 방법론 및 도덕교육에의 활용" 한국초등교육학회 15 : 86-104, 2002

      9 김석완, "소크라테스의 논박술(elenchos)과 플라톤의 방법론" 한국교육철학학회 (48) : 23-47, 2010

      10 조난심, "도덕교육과 철학교육의 관계" 한국철학교육연구회 20 (20): 19-35, 2004

      1 노희정, "탐구공동체활동을 통한 도덕적 사고력 신장: 초등학교 도덕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5) : 89-116, 2007

      2 김재식, "탐구공동체 접근의 도덕교육적 함의"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9 : 127-150, 2002

      3 박진환, "철학적 탐구공동체방법을 통한 인격 교육" 한국윤리학회 53 (53): 2-50, 2003

      4 임덕준, "윤리 교육과 철학 그리고 논술" 한국철학윤리교육연구회 21 (21): 89-106, 2005

      5 박찬영, "어린이철학을 통한 도덕적, 시민적 인성 함양 방안 연구" 한국윤리교육학회 (51) : 525-549, 2019

      6 정보주, "어린이철학에 기초한 도덕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 : 125-152, 2001

      7 박찬영, "어린이철학 도덕교육론 정초에 관한 연구 – 립먼의 듀이철학 수용과 변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20

      8 김회용, "어린이철학 교육 방법론 및 도덕교육에의 활용" 한국초등교육학회 15 : 86-104, 2002

      9 김석완, "소크라테스의 논박술(elenchos)과 플라톤의 방법론" 한국교육철학학회 (48) : 23-47, 2010

      10 조난심, "도덕교육과 철학교육의 관계" 한국철학교육연구회 20 (20): 19-35, 2004

      11 정찬우, "도덕교육 연구 및 실천의 방향과 과제" 교육과학사 159-196, 2020

      12 정창우, "도덕과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 인간사랑 2013

      13 넬 나딩스, "넬 나딩스의 교육철학" 아카데미프레스 2010

      14 박병기, "근대 학부 편찬 수신서" 소명출판 2012

      15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 도덕과 교육과정"

      16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도덕과 교육과정"

      17 로렌스 메트캐프, "가치교육 : 가치분석의 이론적 근거, 교수전략, 교수과정" 철학과 현실사 1992

      18 박재주, "‘소크라테스적 방법’이 철학적 탐구로서의 도덕교육에 주는 의미" 한국도덕교육학회 20 (20): 281-312, 2009

      19 이광연,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정 영역 및 쟁점’에 대한 제언-<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정 절차와 방향>을 읽고" 한국윤리교육학회 14-19, 2005

      20 Raths, L. E, "Values and teaching : Working with values in the classroom" Charles Merrill 1966

      21 Kienstra, N., "Three Approaches to Doing Philosophy: A Proposal For Grouping Philosophical Exercises In Classroom Teaching" 45 (45): 288-318, 2014

      22 Wilson, J., "Thinking with Concep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3

      23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4 Lipman, M., "Thinking in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5 Oliver, D. W., "Teaching Public Issues in the High School" Houghton Mifflin 1966

      26 Proefriedt, W. A., "Teaching Philosophy and Teaching Philosophically" 58 : 294-297, 1985

      27 Shaftel, F. R., "Role-playing for social values : decision-making in the social studies" Prentice-Hall 1967

      28 Tozzi, M., "Qu’est-ce qu’une pratique philosophique ?"

      29 Lipman, M, "Philosophy in the Classroom" Temple University Press 1980

      30 Rondhuis, T., "Philosophical Talent, Empirical Investigations into Philosophical Features of Adolescents’ Discourse" Veenman 2005

      31 "Les textes officiels : programmes (2015-2018), Bulletin officiel n° 30du 26-7-2018"

      32 Lewis, A., "Higher Order Thinking" 32 (32): 131-137, 1993

      33 Gregory, M., "Facilitating Classroom Dialogue" 30 (30): 59-84, 2007

      34 "Annexe - Programme d’enseignement moral et civique de l’école et du collège (cycles 2, 3 et 4), Bulletin officiel n° 30 du 26-7-2018"

      35 Lipman, M., "A Life Teaching Thinking" IAPC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