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기~2018 개정 교육과정기 한국사 교과서의 실학 서술 -고등학교 한국사를 중심으로- = A Description of Silhak in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7th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Korean History in High School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86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me of Silhak has been mainly dealt with Korea history according to the reflection with a variety of historical curriculum. When senior curriculum of history consists with Korea whole history, Silhak was significantly attributed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Nevertheless, Silhak showed that tendency decreased with establishing the studies and diminishing the influence of Silhak. It should be enhanced of the status for Silhak in term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be activated by doing studies about the disregarded Silhak at societies of history. It should be represented not a process of finding out both modernity and ethnicity at the post Chosun dynasty but a specification of historicity of the Silhak. For these reasons, communities which related to the Silhak have to do with actively efforts and supports. Second, Silhak should be showed by using analysis of meta-recognition containing processes of composing the concept with its dispute. Thus, students can be understood about concepts of Silhak for themselves as perspectives of currently problems. Moreover, those are problem that both the history education and historical teachers should be concerned seriously.
      Third, Silhak has to recognize not be contained in Nation history but in Korea history. because representation of the Silhak has been done by comparing with that of China or Japan to understand for students in textbook. If Silhak in Korea history composed with objective and open perspective, its characteristics can be revealed more significantly.
      번역하기

      The theme of Silhak has been mainly dealt with Korea history according to the reflection with a variety of historical curriculum. When senior curriculum of history consists with Korea whole history, Silhak was significantly attributed to the curriculu...

      The theme of Silhak has been mainly dealt with Korea history according to the reflection with a variety of historical curriculum. When senior curriculum of history consists with Korea whole history, Silhak was significantly attributed to the curriculum and textbook. Nevertheless, Silhak showed that tendency decreased with establishing the studies and diminishing the influence of Silhak. It should be enhanced of the status for Silhak in terms of curriculum and textbook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be activated by doing studies about the disregarded Silhak at societies of history. It should be represented not a process of finding out both modernity and ethnicity at the post Chosun dynasty but a specification of historicity of the Silhak. For these reasons, communities which related to the Silhak have to do with actively efforts and supports. Second, Silhak should be showed by using analysis of meta-recognition containing processes of composing the concept with its dispute. Thus, students can be understood about concepts of Silhak for themselves as perspectives of currently problems. Moreover, those are problem that both the history education and historical teachers should be concerned seriously.
      Third, Silhak has to recognize not be contained in Nation history but in Korea history. because representation of the Silhak has been done by comparing with that of China or Japan to understand for students in textbook. If Silhak in Korea history composed with objective and open perspective, its characteristics can be revealed more significan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실학'이라는 주제는 한국사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주제이지만, 역사 교육계에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반영되는 정도는 매우 다양하였다. 고등학교 한국사가 통사로 이루어진 시기에는 실학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이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의 실학 연구에 대한 논의가 정리되고, 그 영향력이 감소되면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서술에서도 차츰 줄 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에서는 실학이 가지는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 는 첫째, 역사학계에서 축소되어 가고 있는 실학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 켜야 한다. 단지 조선 후기의 ‘근대성’과 ‘민족성’을 찾는 과정으로서의 실 학이 아니라, 조선 후기 당대에 등장한 실학사상이 가지는 역사성을 더욱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학 연관 단체들의 적극적인 노력 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실학 개념 구성 과정과 논쟁에 대해 메타인지적인 분석 기술이 교과 서 내용으로 서술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실학 개념이 현재 문제 및 시각과 관 련하여, 학생들 스스로 실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현재사와의 관련성 을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점은 역사교육계와 현장 교사들이 크게 고민 해야 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국사 속에서의 실학이 아니라 한국사 속에서의 실학이라는 점을 인 식하여야 한다.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는 실학이 당시 중국, 일본에서 전개되어온 학문 성향과 비교하면서 이해하게끔 되어 있다. 한국사에 서의 실학도 객관적이고 개방적 입장에서 이루어진다면 그 특징이 더욱 드러 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실학'이라는 주제는 한국사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주제이지만, 역사 교육계에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반영되는 정도는 매우 다양하였다. 고등학교 한국사가 통사로 이루어진 시기에는...

      '실학'이라는 주제는 한국사에서는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주제이지만, 역사 교육계에서는 교육과정에 따라 반영되는 정도는 매우 다양하였다. 고등학교 한국사가 통사로 이루어진 시기에는 실학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이 상당한 분량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의 실학 연구에 대한 논의가 정리되고, 그 영향력이 감소되면서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서술에서도 차츰 줄 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에서는 실학이 가지는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서 는 첫째, 역사학계에서 축소되어 가고 있는 실학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 켜야 한다. 단지 조선 후기의 ‘근대성’과 ‘민족성’을 찾는 과정으로서의 실 학이 아니라, 조선 후기 당대에 등장한 실학사상이 가지는 역사성을 더욱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학 연관 단체들의 적극적인 노력 과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실학 개념 구성 과정과 논쟁에 대해 메타인지적인 분석 기술이 교과 서 내용으로 서술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실학 개념이 현재 문제 및 시각과 관 련하여, 학생들 스스로 실학에 대한 개념을 이해함으로써 현재사와의 관련성 을 파악하게 하는 것이다. 이런 점은 역사교육계와 현장 교사들이 크게 고민 해야 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국사 속에서의 실학이 아니라 한국사 속에서의 실학이라는 점을 인 식하여야 한다.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과서에서는 실학이 당시 중국, 일본에서 전개되어온 학문 성향과 비교하면서 이해하게끔 되어 있다. 한국사에 서의 실학도 객관적이고 개방적 입장에서 이루어진다면 그 특징이 더욱 드러 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2 홍선이, "중・고등학교 교과서 實學 史料 활용의 특징과 개선 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35) : 85-114, 2019

      3 정호훈, "조선후기 실학 연구의 추이와 성과- 해방 후 한국에서의 실학 연구, 방법과 문제의식 -" 한국사연구회 (184) : 75-112, 2019

      4 허영란, "역사 교육의 ‘문화적 전환’과 고등학교 『한국사』의 내용 구성 검토" 한국사연구회 (172) : 75-112, 2016

      5 역사학회, "실학연구입문" 일조각 1970

      6 김한종, "교육과정 구성 논리로 본 2015개정역사교육과정의 쟁점"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7-49, 2015

      7 강승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실학’ 서술" 역사실학회 (54) : 247-276, 2014

      8 전해종, "釋實學" 진단학회 (20) : 1958

      9 한우근, "李朝 實學의 槪念에 대하여" 진단학회 (19) : 1958

      10 鄭在貞, "朝鮮後期 實學 硏究의 동향과"국사"교과서 서술의 변천" 39 : 1986

      1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1

      2 홍선이, "중・고등학교 교과서 實學 史料 활용의 특징과 개선 방안" 한국역사교육학회 (35) : 85-114, 2019

      3 정호훈, "조선후기 실학 연구의 추이와 성과- 해방 후 한국에서의 실학 연구, 방법과 문제의식 -" 한국사연구회 (184) : 75-112, 2019

      4 허영란, "역사 교육의 ‘문화적 전환’과 고등학교 『한국사』의 내용 구성 검토" 한국사연구회 (172) : 75-112, 2016

      5 역사학회, "실학연구입문" 일조각 1970

      6 김한종, "교육과정 구성 논리로 본 2015개정역사교육과정의 쟁점" 한국역사교육학회 (23) : 7-49, 2015

      7 강승호,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실학’ 서술" 역사실학회 (54) : 247-276, 2014

      8 전해종, "釋實學" 진단학회 (20) : 1958

      9 한우근, "李朝 實學의 槪念에 대하여" 진단학회 (19) : 1958

      10 鄭在貞, "朝鮮後期 實學 硏究의 동향과"국사"교과서 서술의 변천" 39 : 1986

      11 김용섭, "最近의 實學 硏究에 대하여" 역사교육연구회 6 : 1962

      12 홍이섭, "丁若鏞의 政治經濟 思想 硏究" 한국연구도서관 1959

      13 양정현,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구성" 역사문제연구소 (113) : 262-287, 2015

      14 이문기 ; 남한호,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역사교육, 그리고 이후의 변화" 역사교육학회 (47) : 3-22, 2011

      15 김태웅, "2009 개정 역사 교육과정을 둘러싼 의사결정 구조의 亂脈과 개발 과정의 虛實" 역사교육연구회 (124) : 59-91, 2012

      16 차미희,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한국사'의 전근대사 내용" 역사와교육학회 13 : 2011

      17 양정현, "2007, 2011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 논리와 계열성" 역사교육연구회 (120) : 1-32,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