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국내 거주 이민자를 평생교육 관점의 한국어교육이 필요한 학습자로 보고 이들이 가진 한국어 학습 요구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국내 거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91375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국어교육전공 , 2022. 8
2022
한국어
서울
131 p. : 삽화, 도표 ; 26 cm
지도교수: 김정숙
부록수록
참고문헌: p. 107-114
I804:11009-0000002687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국내 거주 이민자를 평생교육 관점의 한국어교육이 필요한 학습자로 보고 이들이 가진 한국어 학습 요구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국내 거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
본고는 국내 거주 이민자를 평생교육 관점의 한국어교육이 필요한 학습자로 보고 이들이 가진 한국어 학습 요구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국내 거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국내 거주 이민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결혼이민자 대상 연구가 증가하고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교재도 개편되었다. 그러나 초기 적응을 마친 중급 이상의 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민자들은 전 생애에 걸쳐 한국어 학습을 지속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목적의 학습자들과는 학습 요구가 다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민자들이 가진 요구를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기존의 한국어 교육내용과 평생교육의 6대 영역을 종합하여 이민자의 한국 생활에 필요한 40개의 한국어 교육내용과 24개 수업목록을 작성하여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이민자의 기본 배경과 현재 필요한 교육영역, 한국 거주 기간별로 필요한 교육내용, 앞으로 듣고 싶은 수업 내용, 원하는 수업의 시수와 형태를 살피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민자 교수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학습자의 요구와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민자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한국어로 배우고 싶은 내용을 다루는 교육과정을 이민자의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장기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관점의 한국어교육 요구를 가진 이민자를 별도의 학습자 집단으로 보고 이들의 한국어 학습 요구를 폭넓은 내용에서 통시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이민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이 다양하게 마련되고 학습자의 삶을 발전시키는 한국어교육으로 나아가는 데에 일조하기를 희망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