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오미자 열수추출물의 대장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 Effects on Hot Water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on Colon Cancer Cell L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26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에서는 대장암 세포 HT-29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 대장암 세포 HT-29의 증식...

      본 실험에서는 대장암 세포 HT-29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인체 대장암 세포 HT-29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오미자 열수 추출물이 HT-29 대장암 세포의 apoptosis 유도 효과 및 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MTT assay를 통해 인체 대장암세포 HT-29는 오미자 시료농도 0, 1.0, 2.0, 4.0 mg/mL에서 암세포 사멸농도가 각각 0%, 10%, 70%, 88%를 나타내었다. 대장암세포에 오미자 추출물을 처리하고 cell cycle 분석 결과, 시료농도의 존적으로 sub-G1기가 증가하였고, G0/G1기는 감소되는 것을 통해, apoptosis가 일어나 세포 증식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장암세포 핵의 형태학적 변화를 보면, 오미자 추출물 처리 시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수가 감소되는 것이 뚜렷이 관찰되었고 cell shrinking, chromatin condensation 등 apototic body 등과 같은 형태학적 변화들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RT- 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은, 오미자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p53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통해 대장암세포의 증식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In vitro 실험에서 오미자 열수추출물이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오미자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 본체 규명 및 apoptosis를 유도하는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가 수행중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nticancer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as investigate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resources.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wer...

      The anticancer activity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was investigate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resources. The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in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HT-29) were identified using cell viability, morphology study, cell cycle and RT-PCR analyses. HT-29 cells were cultured in several concentrations (0, 1.0, 2.0, 4.0 mg/mL) of water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In our study, colon cancer cell growth could be inhibited by hot water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in a dose-dependent manners. It was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and apoptotic cell death with cell shrinking, chromatin condensation, apoptotic bodies and cell cycle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may inhibit the growth of human colon cancer cells by various apoptosis-aiding activities as well as apoptosis itself.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철균, "오미자추출액/포도과즙 혼합 즉성 추출차의 품질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9 (9): 226-230, 2005

      2 윤용식, "건강증진센터에서 진단된 대장암의 특징" 대한대장항문학회 23 (23): 321-326, 2007

      3 Vogelstein BD, "Surfing the p53 network" 408 (408): 307-310, 2005

      4 Kronborg O, "Randomized study of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with faecaloccult blood test" 348 (348): 1467-1471, 1996

      5 Winawer SJ, "Prevention of colorectal carcinoma. Current WHO guidelines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rcinoma. World Health Organization Collaborating Center for the Prevention of Colorectal Cancer" 26 (26): 139-140, 1996

      6 Hong-Yen H, "Oriental Materia Medica, Oriental Healing Arts Institute, California, UKroemer G. 1997. The proto-oncogene Bcl-2 and its role in regulating apoptosis" 3 : 614-624, 1997

      7 Surh Y, "Molecular mechanisms of chemopreventive effects of selecteddietary and medicinal phenolic substances" 428 (428): 305-327, 1999

      8 Hertog MG, "Intake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and their determinants in adults in The Netherlands" 20 (20): 21-29, 1993

      9 Prescott SM, "Cyclooxygenase-2 and carcinogenesis" 1470 : M69-M78, 2000

      10 Oh SL,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nion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22 (22): 76-81, 1990

      1 목철균, "오미자추출액/포도과즙 혼합 즉성 추출차의 품질특성" 한국산업식품공학회 9 (9): 226-230, 2005

      2 윤용식, "건강증진센터에서 진단된 대장암의 특징" 대한대장항문학회 23 (23): 321-326, 2007

      3 Vogelstein BD, "Surfing the p53 network" 408 (408): 307-310, 2005

      4 Kronborg O, "Randomized study of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with faecaloccult blood test" 348 (348): 1467-1471, 1996

      5 Winawer SJ, "Prevention of colorectal carcinoma. Current WHO guidelines for early detection of colorectal carcinoma. World Health Organization Collaborating Center for the Prevention of Colorectal Cancer" 26 (26): 139-140, 1996

      6 Hong-Yen H, "Oriental Materia Medica, Oriental Healing Arts Institute, California, UKroemer G. 1997. The proto-oncogene Bcl-2 and its role in regulating apoptosis" 3 : 614-624, 1997

      7 Surh Y, "Molecular mechanisms of chemopreventive effects of selecteddietary and medicinal phenolic substances" 428 (428): 305-327, 1999

      8 Hertog MG, "Intake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and their determinants in adults in The Netherlands" 20 (20): 21-29, 1993

      9 Prescott SM, "Cyclooxygenase-2 and carcinogenesis" 1470 : M69-M78, 2000

      10 Oh SL,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nion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22 (22): 76-81, 1990

      11 Donald MW, "Biological activities of lignans" 23 (23): 1207-1213, 1984

      12 Krishnaswamy K, "Bioactive phytochemicals with emphasis on dietary practices" 108 (108): 167-181, 1998

      13 Reed JC, "Bcl-2 family proteins" 17 : 3225-3236, 1998

      14 Lee KS,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Korean traditional remedies about foods used on geriatric disease" 5 (5): 331-347,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iety for Food Engineering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53 0.963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