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우리는 '우리'라는 사고방식이 'I, my'의 사고방식보다 열등하다는 생각과 함께, 근대화에 가속도를 더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재고를 통한 자기화가 아닌 무비판적인 수용이 오늘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554898
서울 : 건국대학교, 2002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 건축설계학과 , 2002
2002
한국어
610 판사항(4)
720 판사항(21)
서울
iv, 64 p. : 삽도 ; 26 cm
참고문헌 : p.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우리는 '우리'라는 사고방식이 'I, my'의 사고방식보다 열등하다는 생각과 함께, 근대화에 가속도를 더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재고를 통한 자기화가 아닌 무비판적인 수용이 오늘날 ...
과거 우리는 '우리'라는 사고방식이 'I, my'의 사고방식보다 열등하다는 생각과 함께, 근대화에 가속도를 더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재고를 통한 자기화가 아닌 무비판적인 수용이 오늘날 우리의 도시건축을 낳았으며, 근대화는 곧 서구화라는 등식이 성립하게되었다. 이는 도시건축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현재 우리의 도시와 건축은 또 다른 서구의 이상추구 방법론을 따라가기에 급급하고 있다는 것이 논자의 생각이다.
이에 본 계획에서는, 개념적 고찰과 재해석을 통해 현대 도시의 문제점으로 많이 지적되고 있는 '공공성'에 초점을 맞춰 그 추구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전체적 내용 및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계획의 배경 및 목적과 계획의 공간적·시간적 범위 등 계획의 개요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2장에서는 '공공성'에 대한 재해석과 더불어 건축 행위의 객체라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재고를 통해 도출된 건축적 개념을 서술하였다.
3장에서는 도시기본계획과 지구단위계획을 이해와 대상지역의 문화와 특수성에 대한 파악을 통해 계획 대상지를 분석하고 계획 시점의 상황을 설정하였다.
4장에서는 도출된 개념과 대상지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한 대상지의 프로그램 적용 및 계획의 과정과 개념의 적용을 서술하였다.
5장에서는 본 계획 및 설계논문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는 설계안을 각종 도면과 이미지로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