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 활성화를 위한 창작스튜디오의 역할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6891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cases of overcoming various problems of global urbanization after industrialization have increased, global market pays attention to cultural industry. Since culture plays the role of a catalytic agent i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culture-oriented regional revitalization can make a region affluent and therefore, its ripple effect seems to be great. In addition, culture can create a regional image or change it positively, and plays a crucial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and in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of local residents who want to satisfy their cultural desires. But with the capital area-center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which are caused by the current phenomenon of satisfying cultural desires, the cultural polarization has been intensified and all the local societies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y have to play the leading role of culture. On this account, the need of carrying out studies on it has come to the fore.
      Since the role of regions became crucial,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art creation studios, a new pattern of cultural/artistic facilities, as an alternative means of regional revitalization, and then sampled domestic and overseas successful examples of art creation studios which had different aims of founding and were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sociocultural development of regions and in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s as follows: ‘Cheongju Art Studio’, established by government in order to construct new cultural infra and share diverse culture and art with local residents: ‘Incheon Art Platform’ which introduced the experimental art of various genres using modern buildings in the era of Incheon’s port opening; ‘Chang-dong Art Village’ to which creative techniques of urban restoration were appli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e 104 (Le CENTQUATRE)’ in Paris, France, established by Paris’ creative policies for local residents; ‘Dashanzi 798 Special Art Zone’ in Peking, China, which was voluntarily formed by artists; and ‘Kanazawa Citizen's Art Village’, established to succeed regional traditional culture. And then the author analyzed the patterns of operation of these cases in rela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Study findings show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regions, art creation studios had to play the roles of experimental space for regional modern art, of cultural/artistic space for local residents, of educational agencies, and of community space. Based on these findings, developmental plans of regional art creation studios were presented.
      Local artists must present new directivity of art through art creation studio-based experimental attempts, thus making local artistic circles grown to an international exchange space of modern art. Since the value of art creation studios as an important cultural infra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ey must carry ou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unique programs and on their roles for other regions. The activation of regional art creation studios can develop local art and form the base of their growth to global art creation studios.
      As cultural diversity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artistic education have increased, art creation studios of which number has increased in recent times must play their first generation role of providing the space of creation as well as their second generation role of program characterization-oriented expansion of space that can satisfy a variety of social requests. In addition, in order for art creation studios to play their third generation role of becoming a useful tool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reative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physical support, spatial composition and discriminated participatory operation.
      번역하기

      As the cases of overcoming various problems of global urbanization after industrialization have increased, global market pays attention to cultural industry. Since culture plays the role of a catalytic agent i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

      As the cases of overcoming various problems of global urbanization after industrialization have increased, global market pays attention to cultural industry. Since culture plays the role of a catalytic agent i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culture-oriented regional revitalization can make a region affluent and therefore, its ripple effect seems to be great. In addition, culture can create a regional image or change it positively, and plays a crucial role in regional development and in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of local residents who want to satisfy their cultural desires. But with the capital area-centered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e and art, which are caused by the current phenomenon of satisfying cultural desires, the cultural polarization has been intensified and all the local societies have come to realize that they have to play the leading role of culture. On this account, the need of carrying out studies on it has come to the fore.
      Since the role of regions became crucial,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art creation studios, a new pattern of cultural/artistic facilities, as an alternative means of regional revitalization, and then sampled domestic and overseas successful examples of art creation studios which had different aims of founding and were proved to be effective in the sociocultural development of regions and in the creation of economic values as follows: ‘Cheongju Art Studio’, established by government in order to construct new cultural infra and share diverse culture and art with local residents: ‘Incheon Art Platform’ which introduced the experimental art of various genres using modern buildings in the era of Incheon’s port opening; ‘Chang-dong Art Village’ to which creative techniques of urban restoration were appli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Le 104 (Le CENTQUATRE)’ in Paris, France, established by Paris’ creative policies for local residents; ‘Dashanzi 798 Special Art Zone’ in Peking, China, which was voluntarily formed by artists; and ‘Kanazawa Citizen's Art Village’, established to succeed regional traditional culture. And then the author analyzed the patterns of operation of these cases in relation to regional revitalization.
      Study findings showe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regions, art creation studios had to play the roles of experimental space for regional modern art, of cultural/artistic space for local residents, of educational agencies, and of community space. Based on these findings, developmental plans of regional art creation studios were presented.
      Local artists must present new directivity of art through art creation studio-based experimental attempts, thus making local artistic circles grown to an international exchange space of modern art. Since the value of art creation studios as an important cultural infra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ey must carry out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unique programs and on their roles for other regions. The activation of regional art creation studios can develop local art and form the base of their growth to global art creation studios.
      As cultural diversity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artistic education have increased, art creation studios of which number has increased in recent times must play their first generation role of providing the space of creation as well as their second generation role of program characterization-oriented expansion of space that can satisfy a variety of social requests. In addition, in order for art creation studios to play their third generation role of becoming a useful tool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reative cultural environment through physical support, spatial composition and discriminated participatory ope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난 여러 문제들을 문화를 통해 극복한 사례들이 늘어나면서 문화산업에 세계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문화는 국가경쟁력 향상의 촉매제 역할로 문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는 지역을 풍요롭게 만드는 가치 있는 것으로 그 파급효과는 크다. 또한 문화는 지역의 이미지를 창출하거나 긍정적으로 바꾸는데도 기여하고 있으며, 문화적 욕구 충족을 원하는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지역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문화욕구 충족 현상으로 인해 중앙 중심의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 시스템으로 문화양극화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각 지역사회가 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됨에 따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처럼 지역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만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문화예술시설의 새로운 형태인 창작스튜디오에 주목하고, 각기 다른 목적으로 조성된 창작스튜디오를 통해 지역의 사회·문화적 발전의 효과 및 경제적인 가치가 창출된 국내외 창작스튜디오의 성공사례로, 새로운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다양한 문화예술을 지역민들과 공유하기 위해 정부주도로 조성된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지역의 개항기 근대건축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르의 실험적인 예술을 선보이고 있는 ‘인천아트플랫폼’, 전국 최초로 창의적인 도시재생 기법을 적용한 ‘창동예술촌’, 프랑스 파리시의 창의적 정책수립에 따라 추진되어 지역민들을 위해 조성된 ‘프랑스 파리의 Le 104(르 썽꺄트르)’, 예술가 주도로 자발적으로 형성된 ‘중국 베이징 다산쯔 798예술특구’, 지역의 전통문화 계승을 목적으로 조성된 ‘일본 가나자와 시민예술촌’를 선정하여 이들 사례들이 지역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창작스튜디오는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 현대예술의 실험을 위한 공간, 지역민의 문화예술공간, 교육기관,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도출되었고, 그에 따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의 예술가는 창작스튜디오를 통해 다양한 실험적인 시도로 새로운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지역예술계는 현대예술의 국제적인 교류의 공간으로 성장이 가능하며, 아울러 향후 창작스튜디오는 주요 문화 인프라로서 가치가 점증될 것이므로 독창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와 타 지역과의 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역할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처럼 지역의 창작스튜디오가 활성화되면 지역예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적인 창작스튜디오로 성장 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될 것이다.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 양적으로 많은 증가를 보이고 있는 창작스튜디오는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공간 제공이라는 1세대적 의미에서 한발 더 나아가, 다양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특성화를 통한 공간의 확장이라는 2세대적 의미까지도 내포하고 있다. 이제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 내에서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 질 수 있는 3세대적 의미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물리적 지원과 공간적 구성, 참여적 운영의 측면에서의 차별화하여 창조적인 문화 환경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난 여러 문제들을 문화를 통해 극복한 사례들이 늘어나면서 문화산업에 세계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문화는 국가경쟁력 향상의 촉매...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난 여러 문제들을 문화를 통해 극복한 사례들이 늘어나면서 문화산업에 세계 시장이 주목하고 있다.
      문화는 국가경쟁력 향상의 촉매제 역할로 문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는 지역을 풍요롭게 만드는 가치 있는 것으로 그 파급효과는 크다. 또한 문화는 지역의 이미지를 창출하거나 긍정적으로 바꾸는데도 기여하고 있으며, 문화적 욕구 충족을 원하는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지역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문화욕구 충족 현상으로 인해 중앙 중심의 문화예술의 생산과 소비 시스템으로 문화양극화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각 지역사회가 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됨에 따라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처럼 지역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만큼 지역 활성화를 위한 대안으로 문화예술시설의 새로운 형태인 창작스튜디오에 주목하고, 각기 다른 목적으로 조성된 창작스튜디오를 통해 지역의 사회·문화적 발전의 효과 및 경제적인 가치가 창출된 국내외 창작스튜디오의 성공사례로, 새로운 문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다양한 문화예술을 지역민들과 공유하기 위해 정부주도로 조성된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지역의 개항기 근대건축물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르의 실험적인 예술을 선보이고 있는 ‘인천아트플랫폼’, 전국 최초로 창의적인 도시재생 기법을 적용한 ‘창동예술촌’, 프랑스 파리시의 창의적 정책수립에 따라 추진되어 지역민들을 위해 조성된 ‘프랑스 파리의 Le 104(르 썽꺄트르)’, 예술가 주도로 자발적으로 형성된 ‘중국 베이징 다산쯔 798예술특구’, 지역의 전통문화 계승을 목적으로 조성된 ‘일본 가나자와 시민예술촌’를 선정하여 이들 사례들이 지역 활성화를 위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창작스튜디오는 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 현대예술의 실험을 위한 공간, 지역민의 문화예술공간, 교육기관, 커뮤니티 공간으로서의 역할이 도출되었고, 그에 따른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의 예술가는 창작스튜디오를 통해 다양한 실험적인 시도로 새로운 예술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지역예술계는 현대예술의 국제적인 교류의 공간으로 성장이 가능하며, 아울러 향후 창작스튜디오는 주요 문화 인프라로서 가치가 점증될 것이므로 독창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연구와 타 지역과의 창작스튜디오에 대한 역할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처럼 지역의 창작스튜디오가 활성화되면 지역예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세계적인 창작스튜디오로 성장 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될 것이다.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현재 양적으로 많은 증가를 보이고 있는 창작스튜디오는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공간 제공이라는 1세대적 의미에서 한발 더 나아가, 다양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특성화를 통한 공간의 확장이라는 2세대적 의미까지도 내포하고 있다. 이제는 창작스튜디오가 지역 내에서 커뮤니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어 질 수 있는 3세대적 의미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물리적 지원과 공간적 구성, 참여적 운영의 측면에서의 차별화하여 창조적인 문화 환경을 형성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 B. 연구내용 및 방법 3
      • C. 선행 연구 고찰 5
      • Ⅱ. 지역의 문화예술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 Ⅰ. 서 론 1
      • A. 연구 배경 및 목적 1
      • B. 연구내용 및 방법 3
      • C. 선행 연구 고찰 5
      • Ⅱ. 지역의 문화예술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 A. 지역의 개념 7
      • B. 문화에 대한 이해 8
      • 1. 문화 및 문화예술공간의 개념 8
      • 2. 문화의 발전 과정 9
      • C. 창작스튜디오의 이해 11
      • 1. 창작스튜디오의 개념 11
      • 2. 창작스튜디오의 등장배경 및 발전과정 14
      • 3. 창작스튜디오의 유형 17
      • 4. 지역문화예술공간으로서 창작스튜디오의 가치 28
      • Ⅲ. 창작스튜디오 운영현황 및 사례분석 31
      • A. 국내 창작스튜디오 32
      • 1.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32
      • 2. 인천아트플랫폼 35
      • 3. 창동예술촌 43
      • B. 국외 창작스튜디오 51
      • 1. 프랑스 파리 Le 104(Le Centauqatre 르 썽 꺄트르) 51
      • 2. 중국 베이징 다산쯔(大山子) 798 예술특구 56
      • 3. 일본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59
      • C. 국내외 사례분석 결과 64
      • 1. 사회문화적 측면 64
      • 2. 경제적 측면 71
      • 3.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76
      • Ⅳ. 지역 활성화를 위한 창작스튜디오의 역할 및 발전 방안 78
      • A. 지역의 현대 예술실험실로서의 역할 79
      • B. 지역 문화예술공간으로서의 역할 80
      • C. 지역의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 83
      • D. 지역의 커뮤니티공간으로서의 역할 85
      • Ⅴ. 결론 86
      • 참고문헌 89
      • 국문초록 94
      • ABSTRACT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