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ction of pianliwen(騈儷文) by Jeong Yak-yong(丁若鏞)(1762-1836) titled Lieshuiwenhuang(冽水文簧) through quantitative textual analysis methods. First, the frequency of vocabulary usag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661693
신윤수 (단국대학교)
2023
Korean
열수문황 ; 정약용 ; 계량적 텍스트 분석 ; 디지털인문학 ; 변려문 ; Lieshuiwenhuang ; Jeong Yak-yong ; quantitative text analysis ; digital humanities ; pianliwen
KCI등재
학술저널
153-174(2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ction of pianliwen(騈儷文) by Jeong Yak-yong(丁若鏞)(1762-1836) titled Lieshuiwenhuang(冽水文簧) through quantitative textual analysis methods. First, the frequency of vocabulary u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llection of pianliwen(騈儷文) by Jeong Yak-yong(丁若鏞)(1762-1836) titled Lieshuiwenhuang(冽水文簧) through quantitative textual analysis methods. First, the frequency of vocabulary usage is analyzed based on different genres, purposes, and temporal aspects of the subject matter. Additionally, through "topic modeling," the intended themes by Jeong Yak-yong can be identified by clustering words. This aims to provide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of Jeong Yak-yong's pianliwen.
This study aims to reconfirm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Lieshuiwenhuang, as determined in previous research, using it as a benchmark. By examining the overall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ow Jeong Yak-yong edited his collection.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vocabulary usage, one can ascertain the writing techniques and value of Jeong Yak-yong's pianliwen. Jeong Yak-yong actively participated as a writer of inaugural poems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conveying his governance ideology. Meaningful vocabulary frequency patterns were observed in works based on the Tang and Song dynasties, with many figures represented by the likes of a great king and a good vassal, particularly with frequent appearances of Kou Jun(寇準).
An important point to note is that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instances where the number of works and the frequency of characters coincide. This suggests that even for vocabulary with the same meaning, intentionally different characters were used, highlighting the value and writing techniques inherent in the pianliwen.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a semantic approach is necessary for advanced quantitative textual analysis. It is essential to integrat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translation, semantic meaning of vocabulary, and other factors.
Although this study o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one collection of Jeong Yak-yong's pianliwen, it lays the foundation for future integration of data from pianliwen and official documents. I hope that the establishment of basic data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classical Chinese texts will become more active, leading to further related research.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계량적 텍스트 분석 방법을 통해 丁若鏞(1762~1836)의 변려문 선집인 冽水文簧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문류별, 목적별, 소재의 시기별 사용 어휘의 빈도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계량적 텍스트 분석 방법을 통해 丁若鏞(1762~1836)의 변려문 선집인 冽水文簧을 분석하는 것이다. 먼저 문류별, 목적별, 소재의 시기별 사용 어휘의 빈도를 분석한다. 그리고 ‘토픽모델링(topicmodeling)’을 통해 정약용이 이야기 하고자 한 ‘주제(topic)’가 무엇인지 단어의 군집 형태로 밝혀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약용 변려문의 내용을 보다 넓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규명한 열수문황의 가치와 의미에 대해 지표로써 재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먼저 전체 체제를 살핌으로써 정약용이 선집을 어떻게 편집하였는지 알 수 있었다. 정약용은 과문 선집의 편찬에서 있어 문류(genre)보다 작성 목적을 우선으로 분류하여 수록하였다. 그 다음으로 어휘의 빈도와 활용 양상을 통해 정약용 변려문의 작성 요령과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정약용은 정조 연간 초계문신으로 활약하며 각종 문장을 지어 정조의 통치 이념을 설파하였다. 唐과 宋을 소재로 삼은 글에서 의미 있는 어휘 빈도 양상을 확인하였는데, 당과 송은 성군과 현신으로 대표되는 인물이 많고, 특히 寇準이 여러 차례 등장하였다.
주목해야 할 점은 등장하는 작품의 수와 글자의 빈도수가 동일한 경우가 전체 글자 대비 상당수를 점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같은 의미의 어휘라 하더라도 다른 종류의 글자를 의도적으로 사용했음을 알 수 있는데, 변려문이 가지는 가치이자 작성 요령이라 할 수 있다.
고도화된 계량적 텍스트 분석을 위해서는 의미론적 접근이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구조상의 특징과 함께 번역, 어휘의 의미 등을 통합하여 살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약용의 변려문 선집 한 권의 분석에 지나지 않지만, 열수문황은 향후 변려문, 관각문 등의 자료와 통합 데이터 구축이 가능하다. 게다가 열수문황엔 정조의 명으로 지어진 문장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여타 과문 선집뿐 아니라 일성록이나 승정원일기와 같은 기록물과도 통합 가능하다. 또 인물 정보, 관계망 정보 등을 더할 수도 있다. 앞으로 한문 텍스트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기초 데이터 구축이 활발해지고 관련 연구 역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편년체 자료의 통계 정보 추출과 활용 –『日省錄』·『承政院日記』·『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후지츠카 치카시(藤塚鄰)의 漢學과 北學派硏究의 視座 : 淸朝考證學 및 東洋學과의 遠近
한-중 재생결연담의 서사적 특성에 대한 일고 -지괴류 작품들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