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피해 경험 중학생의 의사소통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들을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서 4개 집단(학교폭력 비경험 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935031
금산 :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 교육상담심리학과 , 2012. 8
2012
한국어
충청남도
vi, 68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피해 경험 중학생의 의사소통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들을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서 4개 집단(학교폭력 비경험 집...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피해 경험 중학생의 의사소통 특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생들을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서 4개 집단(학교폭력 비경험 집단, 가해 경험집단, 피해 경험집단, 가해 및 피해 경험집단)으로 구분하고, 이들 4개 집단 간에 의사소통방식과 의사소통기술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K구에 소재한 2개의 중학교 16개 학급을 표집하여, 총 55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 사례수는 541명으로 남학생이 249명, 여학생이 292명이었으며, 1학년이 92명, 2학년이 354명, 3학년이 95명이었다.
측정도구로는 허승희·최태진(2008)이 구성한 학교폭력실태 설문지, Satir의 이론에 따른 유희정(1999)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척도, 그리고 Bienvenu (1971)가 제작하고 정경자(1996)가 번안한 의사소통능력검사 등 3개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여기에서 의사소통방식은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산만형의 4개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의사소통기술 또한 표현의 명확성, 경청, 자기노출, 자아개념, 감정처리의 4개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성별(2) ×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집단(4)에 따른 의사소통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초이성형을 제외한 회유형, 비난형, 산만형 등 3개의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에서 피해자 또는 가해 및 피해 동시 경험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일관되게 높은 평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에서 가해자 집단이 일관되게 피해자나 피해 및 가해 경험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집단에 비하여 낮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은 가해자 특성보다는 피해자의 의사소통 특성을 설명하는데 더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2) ×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집단(4)에 따른 의사소통기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일차적으로 경청과 자기노출 2개의 하위척도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 집단에 따라서는 표현의 명확성을 제외한 경청, 자기노출, 자아개념, 감정처리 등 4개의 하위척도에서 주로 가해 및 피해 경험이 없는 집단과 가해 및 피해 경험을 동시에 가진 집단 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학교폭력에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이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의 개선을 통해서 피해자 또는 가해 및 피해를 함께 겪는 학생들에 대한 개입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의사소통기술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예상과는 달리 가해 및 피해자 집단이 개입되지 않은 집단보다 몇몇 하위척도들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보고식 검사의 한계에 의해 나타났을 수 도 있고, 발달 단계에 맞지 않은 성인용 검사의 사용으로 인한 왜곡일 수도 있지만, 대인관계 기술과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자 유형 두 변수 사이에 매개하는 변수가 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w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objects were classified to four by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non intervene group, assailant group, victim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w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or this purpose objects were classified to four by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non intervene group, assailant group, victims group and concurrent group). And the mean difference of communication style and communication skill among the groups was verified.
For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41 middle school students(249 boys, 292 girls). School Violence Inventory(Huh and Choi, 2008), Communication Style Scale(Yu, 1999)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ventory(Jung, 1996)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Communication style contains four dimensions of Placating, Blaming, Computing, Distracting and communication skill is consist of five dimensions adequate self-concept(self-concept), ability to be good listener(listening), skill of expressing, one’s thoughts and ideas clearly(expressing) and self-disclosure.
The result of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mean difference analysis for communication style by sex(2) × school violence engagement experience(4) group, victim group concurrent group revealed higher mean than other two groups at three communication style dimensions placating, blaming, distracting.
Second, as a result of mean difference analysis for communication skill by sex(2) × school violence engagement experience(4) group, girls revealed higher mean than boys at listening and self-disclosure dimension. And in case of four sub-scales, listening, self-disclosure, self-concept and expressing, the mean of concurrent group was higher than non intervene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mount usage of unfunctional communication style was related to school violence engagement. But relation of communication skill to school violence engagement was not in accordance with common expect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