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 증진을 위한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을 뒷받침하여,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듈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결정성동기는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 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 3학년 남, 여 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김아영, 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와 Kim(2002)의 한국형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K-SPA-A)를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2009년 1학기 중간고사 점수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기술통계치를 살펴보았고,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와 결론을 연구문제별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 동기유형 중 내적 원인에 가까운 유형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적 원인을 제외한 모든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내적동기 유발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선호가 학업성취도의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변인 중 자신감의 영향력만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통해 학업성취도의 향상도 모색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유형 중 확인․통합된 원인이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원인의 경우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적 동기 유발이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학교라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완벽히 내적인 흥미를 통해 학습하게 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외적 보상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이 스스로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내적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중 부과된 원인,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 원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내적 동기 유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추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자발적 동기증진에 영향을 주어 학습자 스스로 내적 흥미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