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동기, 학업성취간의 관계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312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tudy the mediat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relation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to support the necessarity of self-efficacy program for the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Question for the study are like this:
      First,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influence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orth, does the academic self-efficacy have th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cond,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ence participated this study. Kim Ah Young and Park in Young(2001)'s academic self-efficacy test and Kim(2002)'s Korean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K-SPA-A) are used this study.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we use the midterm examination score in 2009.
      To analyze the data, first we searc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do th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in the relation i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has more influence on internal cause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tyles. Also it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mong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tyles except the external reason. So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can help to arouse th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Second, in the relation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is the most significant expectable variable and the influence of confidence is the lowest. Through this result we can expect tha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can help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ird, in the relation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identified/integrated reas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external reason influences nega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intrinsic motivation encourage can help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but it is difficult to make the learners to study only through the intrinsic interest in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help the learners have the intrinsic interest and to improve the learners autonomy by themselves using extrinsic rewards.
      Forth, we studi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has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result said that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introjection reason, identified/integrated reason and intrinsic reason have partial mediating influ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how that improv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can influence on the arousal of intrinsic motivation. And in the long ru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ca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of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these studies can help the learners study using intrinsic interest by themselves affecting learners' improvement of autonomous motiv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tudy the mediat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relation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study the mediat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n the relation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study we want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to support the necessarity of self-efficacy program for the learners' autonomous motivation.

      Question for the study are like this:
      First,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cond,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influence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Forth, does the academic self-efficacy have the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cond,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ence participated this study. Kim Ah Young and Park in Young(2001)'s academic self-efficacy test and Kim(2002)'s Korean Academic Self-regulation Questionnaire(K-SPA-A) are used this study.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we use the midterm examination score in 2009.
      To analyze the data, first we searc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do th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in the relation in self-efficac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has more influence on internal cause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tyles. Also it i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mong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tyles except the external reason. So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can help to arouse the learners' intrinsic motivation.
      Second, in the relation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academic self-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is the most significant expectable variable and the influence of confidence is the lowest. Through this result we can expect that to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can help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ird, in the relation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identified/integrated reason is the most powerful variable, external reason influences negatively. This result shows that intrinsic motivation encourage can help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but it is difficult to make the learners to study only through the intrinsic interest in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help the learners have the intrinsic interest and to improve the learners autonomy by themselves using extrinsic rewards.
      Forth, we studied whether academic self-efficacy has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result said that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s, introjection reason, identified/integrated reason and intrinsic reason have partial mediating influ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results show that improv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can influence on the arousal of intrinsic motivation. And in the long run it is possible to predict that ca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f the development and of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development. And these studies can help the learners study using intrinsic interest by themselves affecting learners' improvement of autonomous motiv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 증진을 위한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을 뒷받침하여,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듈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결정성동기는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 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 3학년 남, 여 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김아영, 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와 Kim(2002)의 한국형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K-SPA-A)를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2009년 1학기 중간고사 점수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기술통계치를 살펴보았고,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와 결론을 연구문제별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 동기유형 중 내적 원인에 가까운 유형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적 원인을 제외한 모든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내적동기 유발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선호가 학업성취도의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변인 중 자신감의 영향력만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통해 학업성취도의 향상도 모색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유형 중 확인․통합된 원인이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원인의 경우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적 동기 유발이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학교라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완벽히 내적인 흥미를 통해 학습하게 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외적 보상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이 스스로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내적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중 부과된 원인,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 원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내적 동기 유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추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자발적 동기증진에 영향을 주어 학습자 스스로 내적 흥미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자율적 동기 증진을 위한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마련의 필요성을 뒷받침하여,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
      듈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결정성동기는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 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2, 3학년 남, 여 학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김아영, 박인영(2001)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와 Kim(2002)의 한국형 학업적 자기조절 설문지(K-SPA-A)를 사용하였다. 학업성취도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2009년 1학기 중간고사 점수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먼저 기술통계치를 살펴보았고,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와 결론을 연구문제별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동기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 동기유형 중 내적 원인에 가까운 유형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외적 원인을 제외한 모든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습자의 내적동기 유발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선호가 학업성취도의 가장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변인 중 자신감의 영향력만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통해 학업성취도의 향상도 모색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셋째, 자기결정성동기와 학업성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유형 중 확인․통합된 원인이 학업성취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예언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외적 원인의 경우 학업성취에 부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적 동기 유발이 학업성취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지만, 학교라는 상황에서 학습자가 완벽히 내적인 흥미를 통해 학습하게 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외적 보상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생이 스스로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내적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결정성동기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성동기 중 부과된 원인, 확인․통합된 원인, 내적 원인이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내적 동기 유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학업성취의 향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추후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자발적 동기증진에 영향을 주어 학습자 스스로 내적 흥미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학업적 자기효능감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학업적 자기효능감 7
      • 2. 자기결정성동기 15
      • 3. 선행연구고찰 24
      • 4. 연구가설 30
      • Ⅲ. 연구방법 31
      • 1. 연구대상 31
      • 2. 측정도구 32
      • 3. 자료수집절차 34
      • 4. 분석방법 34
      • Ⅳ. 연구결과 36
      • 1. 기술통계치 36
      • 2. 연구가설검증 40
      • Ⅴ. 논의 및 결론 59
      • 1. 논의 59
      • 2. 결론 63
      • 참고문헌 67
      • 부 록 76
      • ABSTRACT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