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5월행사와 주체로 본 ‘5월운동’ 연구-연구 현황, 한계 그리고 방향- = The May Movement, Memorial Event,and Subject -Research Situation, Limits and Dire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5‧18 Peoples’ Uprising became symbolic event of representing movement for democratization in Korea. This resulted memorial struggle performed since May 1980, namely the May Movement. The May Movements’ concept have been settled down throug...

      The 5‧18 Peoples’ Uprising became symbolic event of representing movement

      for democratization in Korea. This resulted memorial struggle performed since May 1980, namely the May Movement. The May Movements’ concept have been settled down through researches, but has a little difference in legal and academic definition. This Paper analyzes researches on the Memorial Event for the 5‧18 Peoples’ Uprising that were the most visible collective behaviors and subjects leaded to the May Movement. The Memorial Event for the 5‧18 Peoples’ Uprising were carried out not only around Gwangju and Chonnam areas as well as all over the country. But most researches on the Memorial Event for the 5‧18 Peoples’ Uprising were localized memorial event in Gwangju. Researches on the Memorial Event for the 5‧18 Peoples’ Uprising were considered as processes of progression on that time and were handled mainly arguments toward identity as well as direction. Researches in relation to Subject of the May Movement analyzed the origin, a special quality and behavior on related organization. Therefore, researches in relation to subject of the May Movement were not formated yet.
      For revitalizing the researches in relation to the May Movement, it is needed to take an interest in the followings: First, it must expand largely spatial and temporal territories of researches. Secondly, it has to analyze Memorial Struggle and effect of institutionalization on program of judging the past. Thirdly, reilluminate, research and study widely on the subject of the May Mo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간채, "항쟁이후 광주지역의 5.18운동 :운동단체를 중심으로" 민주화를 위한 광주ㆍ전남교수협의회, 전남사회연구회 1996

      2 "청산과 복원으로서의 5월운동"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3 "정치사회운동으로서 5월운동의 평가와 계승"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7

      4 "사회운동과 5월의례, 그리고 5월 축제" 새길 1999b

      5 "부활 광주?: 과거, 현재, 미래" 문학과 지성사 (여름) : 2000

      6 "민주화와 5월운동, 집단적 망탈리테의 변화"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7

      7 윤한봉, "미국에서의 5월운동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9

      8 손호철, "기억을 둘러싼 계급투쟁 : 5.18민중항쟁, 김대중 정권, 그리고 노동자 계급"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43) : 1999

      9 나간채, "기억 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2004

      10 조대협, "광주항쟁과 80년대의 사회운동문화"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3 (3): 2003

      1 나간채, "항쟁이후 광주지역의 5.18운동 :운동단체를 중심으로" 민주화를 위한 광주ㆍ전남교수협의회, 전남사회연구회 1996

      2 "청산과 복원으로서의 5월운동"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3 "정치사회운동으로서 5월운동의 평가와 계승"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7

      4 "사회운동과 5월의례, 그리고 5월 축제" 새길 1999b

      5 "부활 광주?: 과거, 현재, 미래" 문학과 지성사 (여름) : 2000

      6 "민주화와 5월운동, 집단적 망탈리테의 변화"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7

      7 윤한봉, "미국에서의 5월운동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9

      8 손호철, "기억을 둘러싼 계급투쟁 : 5.18민중항쟁, 김대중 정권, 그리고 노동자 계급"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43) : 1999

      9 나간채, "기억 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2004

      10 조대협, "광주항쟁과 80년대의 사회운동문화"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3 (3): 2003

      11 김두식, "광주항쟁, 5월운동, 다중적 집단정체성" 5.18연구소 3 (3): 2003

      12 나간채, "광주지역 5월운동 조직의 형성과 발전: 5.18당사자 조직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7

      13 "광주민중항쟁과 5월운동" 역사비평사 1999a

      14 정문영, "광주 ‘5월행사’의 사회적 기원 :의례를 통한 지방의 역사 읽기" 1999

      15 "‘5월운동’과 5.18 기념사업 그리고 기념공동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창간) : 2002

      16 박현채, "80년대 민족민주운동에 있어서 5?18광주민중항쟁의 의의와 역할" 남풍 1990

      17 김진균, "5월운동과 혁명적 축제" 문학과학사 2003

      18 이수훈, "5월운동과 국가의 변화"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3 (3): 2003

      19 "5월단체의 형성과 활동"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20 안종철, "5.18자료 및 연구현황"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21 김상곤, "5.18운동의 역사적 의의"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25) : 1995

      22 이용기, "5.18에 대한 역사 서술의 변천" 푸른숲 1999

      23 "5.18민중항쟁의 현재적 과제 :유관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푸른 숲 1999

      24 전재호, "5.18담론의 변화와 정치변동" 푸른숲 1999

      25 윤기봉, "5.18기념행사의 발전과정과 문제점" 2000

      26 정호기, "5.18기념행사와 기념사업"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27 정근식, "5.18광주항쟁" 역사비평사 (가을) : 1995

      28 오재일, "5.18광주민중항쟁 자료의 분류 및 활용 방안"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 (2): 2002

      29 조희연, "5.18과 80년대 사회운동"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30 안병욱, "5.18, 민족사적 인식을 넘어 세계사의 지평으로" 푸른숲 1999

      31 김동춘, "5.18, 6월항쟁 그리고 정치적 민주화"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32 조현연, "5.18 진상규명 투쟁과 광주청문회" 광주광역시5.18사료편찬위원회 2001

      33 Wein, Roland, "5.18 이후 독일에서의 한국연대 사업"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87 1.32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