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식화,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50607
2025
-
373
KCI등재
학술저널
307-322(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식화,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식화,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S시, K시, Y시에 있는 10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의 병원 1곳과 종합병원 4곳에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식화,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 직무긴장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9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하였다. SPSS 25.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공식화,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 직무긴장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공식화와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이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결론 공식화는 직무긴장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을 매개로 직무긴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고,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을 낮추기 위한 조직차원의 지원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ization, supervisor support and team orientation, and job strai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ization, supervisor support and team orientation, and job strai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formalization, supervisor support and team orientation,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nd job strain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t one hospital with 100 to 300 beds and four general hospitals in S City, K City, and Y City. A total of 95 data were analyzed for the fin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ormalization, supervisor support and team orientation,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nd job strain. Secon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lization and job strai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team orientation, and job strain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Formaliz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job strain, but it affected job strain through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 of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and seek organizational support measures to reduce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목차 (Table of Contents)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수송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포스트휴먼 생태주의에 기반한 초등 음악 수업 방안 탐색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