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교육은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가? = Morality in Moral Subject Education -Which Mor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786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덕과교육은 학생들의 도덕성의 변화 내지 발달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이 ‘어떤 도덕성’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은 도덕과교육이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도덕교육이론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서 논의되는 도덕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도덕성에는 인지적 요소뿐만 아니라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이미 통합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토대로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도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원론적 견해를 지지하면서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을 활용하여 발달 단계를 고려한 도덕과교육의 목표는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더욱 강조된 도덕성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번역하기

      도덕과교육은 학생들의 도덕성의 변화 내지 발달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이 ‘어떤 도덕성’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

      도덕과교육은 학생들의 도덕성의 변화 내지 발달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이 ‘어떤 도덕성’이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을 수 있다. 본 논문은 도덕과교육이 어떤 도덕성을 목표로 해야 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대표적인 도덕교육이론인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에서 논의되는 도덕성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의 도덕성에는 인지적 요소뿐만 아니라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이미 통합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이를 토대로 도덕과교육의 목표로서 도덕성도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가 통합되어야 한다는 원론적 견해를 지지하면서도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교육론을 활용하여 발달 단계를 고려한 도덕과교육의 목표는 정의적, 행동적 요소가 더욱 강조된 도덕성이어야 함을 주장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fines morality in moral eduction theories as moral traits and moral characters to make change by moral education and then analyzes the morality of L.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n result, its morality presupposes an integrated elements including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lready. This paper basically agrees that the morality as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also must be established as an integrated approach.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be set up along with development stages and that emotion and behavior should be more stressed than cognition for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based on moral education theories of Plato and Aristotle.
      번역하기

      This paper defines morality in moral eduction theories as moral traits and moral characters to make change by moral education and then analyzes the morality of L.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n result, its morality presupposes an integr...

      This paper defines morality in moral eduction theories as moral traits and moral characters to make change by moral education and then analyzes the morality of L. Kohlberg’s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In result, its morality presupposes an integrated elements including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already. This paper basically agrees that the morality as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also must be established as an integrated approach.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should be set up along with development stages and that emotion and behavior should be more stressed than cognition for the goal of moral subject education based on moral education theories of Plato and Aristot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환, "한국판 초등용 DIT 구안 및 타당화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47-66, 2005

      2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이제이북스 2011

      3 콜버그 레빈 휴어,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2000

      4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국어, 도덕, 사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5 데이비드 흄, "인간본성에 관한 논고 3 도덕에 관하여" 서광사 1998

      6 임마누엘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7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1" 아카넷 2006

      8 플라톤, "메논" 이제이북스 2009

      9 장희선, "도덕판단력검사(KDIT)의 초등학생 이해도 분석 -딜레마 이해와 수행절차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47-370, 2010

      10 김상돈, "도덕적 지식의 성격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탐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435-464, 2014

      1 김정환, "한국판 초등용 DIT 구안 및 타당화 -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47-66, 2005

      2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이제이북스 2011

      3 콜버그 레빈 휴어,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 이론" 아카넷 2000

      4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Ⅱ)-국어, 도덕, 사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5 데이비드 흄, "인간본성에 관한 논고 3 도덕에 관하여" 서광사 1998

      6 임마누엘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9

      7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1" 아카넷 2006

      8 플라톤, "메논" 이제이북스 2009

      9 장희선, "도덕판단력검사(KDIT)의 초등학생 이해도 분석 -딜레마 이해와 수행절차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47-370, 2010

      10 김상돈, "도덕적 지식의 성격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탐구" 한국윤리교육학회 (35) : 435-464, 2014

      11 Kurtines, William M.,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4

      12 Kohlberg, L., "도덕발달의 철학" 교육과학사 2000

      13 Rest, James R,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학지사 2008

      14 추병완, "도덕교육의 이해" 도서출판 백의 2004

      15 정창우, "도덕교육의 새로운 해법" 교육과학사 2004

      16 정창우, "도덕과교육의 이론과 쟁점" 울력 2013

      17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2016

      18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도서출판 숲 2013

      19 Aristotle, "Aristotelis Ethica Nicomachea, recognovit brevique adnotatione critica instruxit I. Bywater" Clarendon Press 18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윤리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06 1.679 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