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용실 경영자의 리더십이 LMX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of beauty salon managers on LMX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91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용실 경영자의 리더십이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라는 조직유효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실증연구이다. 이 영향 과정에서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인 LMX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강원 지역의 미용실에서 일하고 있는 미용실 조직구성원 273명을 설문 조사하였다. 이러한 설문 응답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통계 처리하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실증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아래와 같다.
      첫째, 감성리더십은 관계중심 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의 관계 형성은 이성보다 감성적 측면이 강하다는 현실을 적절히 반영한 결과라고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실의 소규모 영세성에 주목하여 리더십 유형을 감성리더십과 관계중심 리더십으로 유형화하여 리더십 유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 다른 점이다.
      둘째, 감성리더십은 LMX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미용실 리더가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자신이 지닌 장단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진정성이 있는 감성리더인 경우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인 LMX 지각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셋째, 관계중심 리더십은 LMX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β=0.551, p<0.000). 이는 미용실 조직구성원들이 관계중심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인 LMX도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넷째, 감성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감성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47, p<0.512). 이는 미용실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부하직원들과의 관계인 LMX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부하들의 독립적인 행동인 고객지향성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관계중심 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관계중심 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64, p<0.448). 이는 감성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와 마찬가지로 관계중심 리더십도 부하직원들과 직접 연관된 LMX 등의 변수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부하들의 고객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관계중심 리더십과 조직신뢰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관계중심 리더십은 조직신뢰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β=0.387, p<0.002) 리더가 조직구성원들의 개인적 복지에 관심을 보이며 구성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구성원들 간의 화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관계중심 리더십을 구사할수록 조직구성원들은 리더와 조직을 신뢰하게 될 것이다.
      일곱째, 감성리더십과 조직신뢰 변수 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성리더십은 조직신뢰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157, p<0.032). 감성리더십과 조직신뢰 간의 상관관계가 정(+)의 관계에 있으며 낮지 않다는 점(r=0.520)을 고려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미용실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신뢰에는 직접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직원들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원만한 인간관계가 구성원들의 조직신뢰를 높이는 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여덟째, LMX는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447, p<0.000). 선행연구에 의하면 LMX가 활발해지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백유성, 2014; 진도령, 2019), LMX는 조직유효성 변수인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임파워먼트에도 정(+)의 영향(진도령, 2019)을 미치며 사회적 책임 인식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황은주, 2018)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에 더하여 LMX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LMX의 결과변수에 고객지향성을 추가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홉째, LMX는 조직신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β=0.173, p<0.053).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소규모 조직의 경영자가 지닌 리더십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용실 경영자들에게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용실 경영자의 리더십이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라는 조직유효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실증연구이다. 이 영향 과정에서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인 LMX가 어떤 작용...

      본 연구는 미용실 경영자의 리더십이 고객지향성과 조직신뢰라는 조직유효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실증연구이다. 이 영향 과정에서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인 LMX가 어떤 작용을 하는지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강원 지역의 미용실에서 일하고 있는 미용실 조직구성원 273명을 설문 조사하였다. 이러한 설문 응답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통계 처리하고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실증 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아래와 같다.
      첫째, 감성리더십은 관계중심 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의 관계 형성은 이성보다 감성적 측면이 강하다는 현실을 적절히 반영한 결과라고 풀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용실의 소규모 영세성에 주목하여 리더십 유형을 감성리더십과 관계중심 리더십으로 유형화하여 리더십 유효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이 선행연구와 다른 점이다.
      둘째, 감성리더십은 LMX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미용실 리더가 자신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자신이 지닌 장단점을 인식하고 있으며 진정성이 있는 감성리더인 경우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인 LMX 지각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셋째, 관계중심 리더십은 LMX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β=0.551, p<0.000). 이는 미용실 조직구성원들이 관계중심 리더십을 높게 지각할수록 리더와 구성원 간의 교환관계인 LMX도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넷째, 감성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감성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47, p<0.512). 이는 미용실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부하직원들과의 관계인 LMX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부하들의 독립적인 행동인 고객지향성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관계중심 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관계중심 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64, p<0.448). 이는 감성리더십이 고객지향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와 마찬가지로 관계중심 리더십도 부하직원들과 직접 연관된 LMX 등의 변수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부하들의 고객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관계중심 리더십과 조직신뢰 간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관계중심 리더십은 조직신뢰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β=0.387, p<0.002) 리더가 조직구성원들의 개인적 복지에 관심을 보이며 구성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구성원들 간의 화합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관계중심 리더십을 구사할수록 조직구성원들은 리더와 조직을 신뢰하게 될 것이다.
      일곱째, 감성리더십과 조직신뢰 변수 간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성리더십은 조직신뢰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157, p<0.032). 감성리더십과 조직신뢰 간의 상관관계가 정(+)의 관계에 있으며 낮지 않다는 점(r=0.520)을 고려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사실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미용실 경영자의 감성리더십은 조직구성원들의 조직신뢰에는 직접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직원들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원만한 인간관계가 구성원들의 조직신뢰를 높이는 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가정해 볼 수 있다.
      여덟째, LMX는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447, p<0.000). 선행연구에 의하면 LMX가 활발해지면 직무만족이 높아지고(백유성, 2014; 진도령, 2019), LMX는 조직유효성 변수인 조직시민행동, 조직몰입, 임파워먼트에도 정(+)의 영향(진도령, 2019)을 미치며 사회적 책임 인식에도 정(+)의 영향을 미치는(황은주, 2018)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와 같은 선행연구 결과에 더하여 LMX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지향성도 높아진다는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LMX의 결과변수에 고객지향성을 추가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아홉째, LMX는 조직신뢰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β=0.173, p<0.053).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소규모 조직의 경영자가 지닌 리더십을 이해하는 데 있어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미용실 경영자들에게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of beauty salon manag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It is an analysis of how LMX(leader-member exchange), an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works in this influence process. In this study, 273 members of the beauty salon organization working in beauty salon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were surveyed. These survey respons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ppropriately reflecting the reality that the formation of human relationships is stronger in the emotional aspect than in reason.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leadership type into emotional leadership and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by paying attention to the small-scale beauty sal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LMX. This would be a natural phenomenon for beauty salon leaders to effectively manage their emotions, recogni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ncrease their perception of LMX, an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Third,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LMX(β=0.551, p<0.000).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by the members of the beauty salon organization, the higher the LMX,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did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orientation(β=0.047, p<0.512).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did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orientation(β=0.064, p<0.448). This means that like the result that emotional leadership does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orientatio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ffects variables such as LMX directly related to subordinates, but does not affect subordinates' customer orientation.
      Six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β=0.387, p<0.002).
      Seven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β=0.157, p<0.032).
      Eighth, L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β=0.447, p<0.000).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when LMX became active, job satisfaction increased(Baek Yu-seong, 2014; Jin Do-ryung, 2019), and LMX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owerment(Jin Do-ryung, 2019), also effect on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Hwang Eun-ju, 2018).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that the higher the LMX level, the higher the customer orientation, is judged to have the meaning of adding customer orientation to the LMX outcome variable.
      Ninth, LMX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β=0.173, p<0.053).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of beauty salon manag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It is an analysis of how LMX(leader-member ex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dership of beauty salon manag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trust. It is an analysis of how LMX(leader-member exchange), an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works in this influence process. In this study, 273 members of the beauty salon organization working in beauty salon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regions were surveyed. These survey respons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reveal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ppropriately reflecting the reality that the formation of human relationships is stronger in the emotional aspect than in reason.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s that the leadership effectiveness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leadership type into emotional leadership and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by paying attention to the small-scale beauty sal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LMX. This would be a natural phenomenon for beauty salon leaders to effectively manage their emotions, recognize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increase their perception of LMX, an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and members.
      Third,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LMX(β=0.551, p<0.000).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by the members of the beauty salon organization, the higher the LMX,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and the members.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did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orientation(β=0.047, p<0.512).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nd customer orientation,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did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orientation(β=0.064, p<0.448). This means that like the result that emotional leadership does not directly affect customer orientatio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ffects variables such as LMX directly related to subordinates, but does not affect subordinates' customer orientation.
      Six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orient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β=0.387, p<0.002).
      Seven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trust, it was found that emo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β=0.157, p<0.032).
      Eighth, LMX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β=0.447, p<0.000).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when LMX became active, job satisfaction increased(Baek Yu-seong, 2014; Jin Do-ryung, 2019), and LMX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mpowerment(Jin Do-ryung, 2019), also effect on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Hwang Eun-ju, 2018). In addition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that the higher the LMX level, the higher the customer orientation, is judged to have the meaning of adding customer orientation to the LMX outcome variable.
      Ninth, LMX was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trust(β=0.173, p<0.053).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can be obtai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목적 1
      • 제 2 절 연구방법과 논문의 구성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목적 1
      • 제 2 절 연구방법과 논문의 구성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6
      • 제 1 절 미용서비스업과 미용실 6
      • 1. 미용경영의 발전과정 6
      • 2. 미용서비스업의 현황 7
      • 3. 미용서비스업의 직무특성과 노동과정 9
      • 4. 미용실의 서비스 과정 12
      • 제 2 절 리더십 이론과 미용실 경영자 14
      • 1. 리더십 이론과 리더 역량연구 14
      • 2. 미용실 경영자의 리더십 유형 18
      • 3. 감성리더십 19
      • 4. 관계중심리더십 33
      • 제 3 절 LMX 38
      • 1. LMX의 개념 38
      • 2. LMX에 관한 선행연구 40
      • 제 4 절 미용실의 조직유효성 45
      • 1. 고객지향성 45
      • 2. 조직신뢰 50
      • 제 3 장 연구의 설계 55
      • 제 1 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55
      • 1. 연구모형 55
      • 2. 가설설정 56
      • 제 2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설문지 구성 58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58
      • 2. 설문지 구성 61
      • 제 4 장 실증분석 63
      • 제 1 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63
      • 1. 표본과 자료수집 63
      • 2. 자료의 분석방법 63
      • 제 2 절 분석결과 64
      •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64
      • 2.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66
      • 3. 상관관계분석 70
      • 4. 확인적 요인분석 71
      • 5. 가설의 검증 74
      • 제 5 장 결론 80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논의 80
      • 제 2 절 연구결과의 시사점 84
      • 제 3 절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 85
      • 참고문헌 87
      • Abstract 99
      • 설문지 10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이빛나,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 이빛나, "반응중심 접근법에 기초한 유아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