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665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라북도 지역 보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공감능력, 분노표현양식의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는 주요 변인들 간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는 공감능력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노표현양식은 모두 정적,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능력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상관을 보였고,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심리적 소진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분노조절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은 각각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노표출에 대한 간접효과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개입의 필요성과 적절한 공감능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입하여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육교사가 적절한 분노표출의 기회제공과 분노조절능력을 기르는 등의 질 높은 개입을 통해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라북도 지역 보육기관에서 ...

      본 연구는 보육기관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라북도 지역 보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공감능력, 분노표현양식의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1.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본 연구는 주요 변인들 간 유의미한 정적 및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는 공감능력과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노표현양식은 모두 정적,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감능력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상관을 보였고, 분노표현양식 중 분노표출, 분노억제는 심리적 소진과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분노조절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대인관계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은 각각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분노표출에 대한 간접효과 유의성이 검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대인관계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개입의 필요성과 적절한 공감능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입하여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육교사가 적절한 분노표출의 기회제공과 분노조절능력을 기르는 등의 질 높은 개입을 통해 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In this study, 32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local nursery schools in Jeollabukdo were collected data through self - report questionnaires using interpersonal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empathy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style scale and using SPSS 21.0 Analysi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re wer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ersonal str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the empathy ability. The anger expression style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psychological burnout. In addition, empathy ability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wer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 control. Second, empathy ability has mediating effect on interpersonal stres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ersonal stress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anger expression style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each, but the indirect effect on the anger expression was not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nd help to maintain the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intervention and appropriate empathy level. Also, it suggested that the teacher should provide a way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teacher through the high quality intervention such as providing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opportunity and raising anger control abili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In this study, 320 childcare teachers work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mpathy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In this study, 320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local nursery schools in Jeollabukdo were collected data through self - report questionnaires using interpersonal stress, psychological burnout, empathy ability and anger expression style scale and using SPSS 21.0 Analysis. First,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and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ain variables. There were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personal stress of the child care teacher and the empathy ability. The anger expression style show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psychological burnout. In addition, empathy ability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and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were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ger control. Second, empathy ability has mediating effect on interpersonal stres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s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ersonal stress perceived by the childcare teacher and psychological burnout, the anger expression style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 on each, but the indirect effect on the anger expression was not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and help to maintain the level of interpersonal stress intervention and appropriate empathy level. Also, it suggested that the teacher should provide a way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teacher through the high quality intervention such as providing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opportunity and raising anger control ability.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1
      • 방 법 11
      • 결 과 17
      • 서 론 1
      • 방 법 11
      • 결 과 17
      • 논 의 32
      • 참고문헌 39
      • 부 록 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