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최치원의 ‘생태환경’ 이해 = Choi Chi-won's Understanding of Ecological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치원이 살던 당시는 혼란의 시대였다. 이 글은 ‘생태환경’을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으로 상정하였을 때, 최치원이 당시를 ‘생태환경적’으로 어떻게 이해하고자 하였...

      최치원이 살던 당시는 혼란의 시대였다. 이 글은 ‘생태환경’을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으로 상정하였을 때, 최치원이 당시를 ‘생태환경적’으로 어떻게 이해하고자 하였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최치원은 귀국 후 주로 불교 관련 저술에 힘썼다. 최치원의 생태환경 이해는 불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두어야 한다. 귀국 직후 왕명을 받아 사산비명 찬술을 완료하면서, 해 뜨는 곳인 신라에는 아침 해와 봄바람이 변함없이 존재하였고, 누구든지 호생과 교양을 중시하고 지켜나갔으므로, 결국 만물의 생성・성장이 원활히 이루어졌다고 주장하였다. 자연히 최치원의 생태환경 이해는 신라 산수를 바탕으로 삼고, 산수의 아름다움을 이루는 조건으로 아침 해와 봄바람을 강조하면서, 아침 해와 봄바람에 익숙한 신라 사람과 신라의 대지가 만물의 생성과 성장의 근원임을 강조한 것이었다.
      다만 그는 신라 대지에 대한 관심을 신라 고유 정서의 부각으로 연관시켰다. 곧 ‘인’, ‘생’, ‘지’를 통해서 ‘도’와 ‘제화’, 그리고 ‘생화’를 부각하였고, 특별히 ‘생령’과 ‘물정’을 언급하기도 하였다. 생령은 백성이나 인민을 가리키고, 물정 역시 중생이 지닌 정서를 말한다. 자연히 ‘풍류’인 ‘접화군생’은 ‘무릇 세상의 주체인 각 생령들이 온전히 자신의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환경을 바꾸자’는 의미를 담은 것이었고, ‘풍류’ 역시 ‘바람 불 듯이 이러저런 당시의 상황’을 실상 그대로 강조한 것이었다.
      최치원은 공자, 노자, 부처가 물정을 생각하고 아낀 것을 내세우며 신라 국왕과 신라 국가가 백성을 온전히 보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최치원에게 ‘생태환경 이해’를 통한 ‘접화군생’의 강조는 당시 사회의 혼란을 수습하려는 또 하나의 사회개혁안이었던 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崔一凡, "柳承國博士華甲紀念 東方思想論攷" 종로서적 1983

      2 "梁高僧傳"

      3 張日圭, "최치원의 저술" 10 : 2003

      4 張日圭, "최치원의 삼교융합사상과 그 의미" 4 : 2005

      5 장일규,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신서원 2008

      6 장일규, "숭복사비명과 경문왕계 왕실" 역사학회 (192) : 35-65, 2006

      7 金凡父, "風流精神과 新羅文化" 韓國思想講座偏執委員會 3 : 1960

      8 黃壽永, "韓國金石遺文" 一志社 1985

      9 "東文選"

      10 "書經"

      1 崔一凡, "柳承國博士華甲紀念 東方思想論攷" 종로서적 1983

      2 "梁高僧傳"

      3 張日圭, "최치원의 저술" 10 : 2003

      4 張日圭, "최치원의 삼교융합사상과 그 의미" 4 : 2005

      5 장일규, "최치원의 사회사상 연구" 신서원 2008

      6 장일규, "숭복사비명과 경문왕계 왕실" 역사학회 (192) : 35-65, 2006

      7 金凡父, "風流精神과 新羅文化" 韓國思想講座偏執委員會 3 : 1960

      8 黃壽永, "韓國金石遺文" 一志社 1985

      9 "東文選"

      10 "書經"

      11 李基白,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74

      12 李基白, "新羅思想史硏究" 一潮閣 1986

      13 "廣釋菩提心論"

      14 "廣弘明集"

      15 李在云, "崔致遠의 三敎融合論" 9 : 1997

      16 "崔文昌侯全集"

      17 崔英成, "孤雲 崔致遠의 三敎觀과 그 特質" 9 : 1997

      18 "唐高僧傳"

      19 "佛敎歷代通載"

      20 袁珂, "中國神話․傳說大事典" 大修館書店 1999

      21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07-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Society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 The Society for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2020-06-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Ecological & Environmental History -> The Society of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History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