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폐찰음 발음에대한 청취・음향음성학적 연구 = A perceptual and acoustic study on Vietnames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 affrica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6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rror patterns and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affricates. For this purpose, the Vietnamese learners were divided intothree groups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vanced) according to theirL2 (Korean) experiences, and the patterns of their pronunciations ofKorean affricate sounds in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s wereexamined through listening judgment by Korean listners and acousticanalysis was also conducted for the identical tokens.
      The result of the listening judgment showed that Vietnamese learnerswere most accurate with the production of lenis sound ‘ㅈ’ in word-initialand word-medial positions.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pronunciationin relation to the learn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word-initial lenis‘ㅈ’, and word-medial lenis ‘ㅈ’ and aspirated ‘ㅊ’ were improved, and thatword-medial fortis ‘ㅉ’ was in the middle of improvement. Overall, itseemed that more clues of improvement were provided in theword-medial than in the word-initial position.
      In terms of the overall error pattern, the accurate tokens ofVietnamese subjects judged by Korean listeners reached almost the samelevel as the tokens produced by Koreans in all lenis, fortis, and aspiratedsounds. In the case of the inaccurate tokens of Vietnamese subjectsjudged by Korean listeners, the fortis ‘ㅉ’ and the aspirated ‘ㅊ’ in word-initial position differed in the length of the CF-VOT and the fortis‘ㅉ’ and the aspirated ‘ㅊ’ in word-medial position differed in the lengthsof the precedent vowel, the CF-VOT, and the closure dur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rror patterns and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affricates. For this purpose, the Vietnamese learners were divided intothree groups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rror patterns and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learners’ production of Koreanaffricates. For this purpose, the Vietnamese learners were divided intothree groups (beginners, intermediate, and advanced) according to theirL2 (Korean) experiences, and the patterns of their pronunciations ofKorean affricate sounds in word-initial and word-medial positions wereexamined through listening judgment by Korean listners and acousticanalysis was also conducted for the identical tokens.
      The result of the listening judgment showed that Vietnamese learnerswere most accurate with the production of lenis sound ‘ㅈ’ in word-initialand word-medial positions. In terms of the improvement of pronunciationin relation to the learn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word-initial lenis‘ㅈ’, and word-medial lenis ‘ㅈ’ and aspirated ‘ㅊ’ were improved, and thatword-medial fortis ‘ㅉ’ was in the middle of improvement. Overall, itseemed that more clues of improvement were provided in theword-medial than in the word-initial position.
      In terms of the overall error pattern, the accurate tokens ofVietnamese subjects judged by Korean listeners reached almost the samelevel as the tokens produced by Koreans in all lenis, fortis, and aspiratedsounds. In the case of the inaccurate tokens of Vietnamese subjectsjudged by Korean listeners, the fortis ‘ㅉ’ and the aspirated ‘ㅊ’ in word-initial position differed in the length of the CF-VOT and the fortis‘ㅉ’ and the aspirated ‘ㅊ’ in word-medial position differed in the lengthsof the precedent vowel, the CF-VOT, and the closure du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산출한 폐찰음을 대상으로 발음의 오류 양상과 음향적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위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학습 경험에 따라 나누어 어두와 어중 초성 환경에서의 한국어 폐찰음 발음 오류의 양상을 청취 판단을 통해 살펴보고 음향 분석도 실시하였다. 청취판단 결과, 어두와 어중 환경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평음의 발음을 가장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에 따른 발음의 향상 측면에서 보면 어두에서는 평음, 어중에서는 평음과 기식음이 향상된 양상을 보였고 경음에서도 향상되는 과정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어두보다는 어중에서 향상의 단서들이 더 많이 제공되는것으로 보인다. 전체 오류 양상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인이 정확한 산출이라고 판단한 베트남 피험자들의 토큰의 경우에는 평음, 경음, 기식음 모두에서 한국인이 산출한 토큰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산출하는 수준에 이르렀고한국인이 부정확한 산출이라고 판단한 베트남 피험자들의 토큰의 경우, 경음과 기식음은 어두에서는 CF-VOT, 어중에서는 선행모음의 길이, CF-VOT의 길이, 폐쇄구간의 길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산출한 폐찰음을 대상으로 발음의 오류 양상과 음향적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위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학습 경험에 따라 나누어 ...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산출한 폐찰음을 대상으로 발음의 오류 양상과 음향적 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위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학습 경험에 따라 나누어 어두와 어중 초성 환경에서의 한국어 폐찰음 발음 오류의 양상을 청취 판단을 통해 살펴보고 음향 분석도 실시하였다. 청취판단 결과, 어두와 어중 환경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평음의 발음을 가장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에 따른 발음의 향상 측면에서 보면 어두에서는 평음, 어중에서는 평음과 기식음이 향상된 양상을 보였고 경음에서도 향상되는 과정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어두보다는 어중에서 향상의 단서들이 더 많이 제공되는것으로 보인다. 전체 오류 양상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인이 정확한 산출이라고 판단한 베트남 피험자들의 토큰의 경우에는 평음, 경음, 기식음 모두에서 한국인이 산출한 토큰과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산출하는 수준에 이르렀고한국인이 부정확한 산출이라고 판단한 베트남 피험자들의 토큰의 경우, 경음과 기식음은 어두에서는 CF-VOT, 어중에서는 선행모음의 길이, CF-VOT의 길이, 폐쇄구간의 길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정남, "한국인을 위한 베트남어" 한국외국어대학출판부 2010

      2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 교양 2011

      3 박지은, "한국어 파찰음 발음 지각과 산출에 대한 모국어 전이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4 박지영,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북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5 정석재, "한국어 마찰음 및 파찰음의 분석과 인지" 한국음향학회 10 (10): 27-36, 1991

      6 Lei Lei, "중국인이 발화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에 대한 실험음향음성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7 레이레이, "중국인 화자가 발화한 한국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한국음운론학회 16 (16): 383-400, 2010

      8 정환민,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어중 폐쇄음 발음에 대한 청취·음향 음성학적 연구" 우리어문학회 (61) : 449-474, 2018

      9 양병곤, "음성 및 언어분석 기기 활용법" 한국문화사 2001

      10 이혜정, "숙달도와 거주 기간에 따른 베트남인 학습자의 발음 습득 양상: 자음과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5

      1 송정남, "한국인을 위한 베트남어" 한국외국어대학출판부 2010

      2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 교양 2011

      3 박지은, "한국어 파찰음 발음 지각과 산출에 대한 모국어 전이 대조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4 박지영,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 북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5 정석재, "한국어 마찰음 및 파찰음의 분석과 인지" 한국음향학회 10 (10): 27-36, 1991

      6 Lei Lei, "중국인이 발화한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에 대한 실험음향음성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7 레이레이, "중국인 화자가 발화한 한국어 파찰음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한국음운론학회 16 (16): 383-400, 2010

      8 정환민,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어중 폐쇄음 발음에 대한 청취·음향 음성학적 연구" 우리어문학회 (61) : 449-474, 2018

      9 양병곤, "음성 및 언어분석 기기 활용법" 한국문화사 2001

      10 이혜정, "숙달도와 거주 기간에 따른 베트남인 학습자의 발음 습득 양상: 자음과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5

      11 장혜진,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폐쇄음에서 나타나는음향적 특성 연구" 우리어문학회 (62) : 375-400, 2018

      12 강정희,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 및 교육방안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3 김소현,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14 조혜란,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발음 교육방안 : 장애음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5 신정애,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16 박행진, "베트남어 화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오류의 실태와 지도방법:초급 수준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 순천대학교 2015

      17 김영옥,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자음 발음 교육 전략 : 실험음성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도옥루이엔, "베트남 남부 방언을 쓰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수 학습 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2015

      19 이중진,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 단순모음과 폐쇄음에 관한 실험 음성학적 방법을 기반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20 전혜경, "꿩먹고 알먹는 베트남어 첫걸음" 문예림 2011

      21 장혜진, "국어 어두 장애음의 음향적 특성과 지각 단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22 정보라, "가장 쉬운 베트남어 첫걸음" 동양문고 2009

      23 Morris, R., "Voice onset time difference between adult males and females: Isolated syllables" 36 (36): 308-317, 2008

      24 Kirby, James P., "Vietnamese(Hanoi Vietnamese)" 41 (41): 381-392,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3-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93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