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학돈, "한국소설의 시간과 공간 연구 : 역경의 관점에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2 憑友蘭, "중국철학사" 까치 462-, 2007
3 고전순, "주역이란 무엇인가" 여강출판사 121-,
4 高田淳, "주역이란 무엇인가" 여강출판사 110-, 1991
5 임종욱, "조선시대 불교공간과 한문학의 자장" 이회 233-237, 2015
6 崔仁子,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7 金萬重, "서포집" 통문관 349-350,
8 김만중, "서포만필 하" 문학동네 43-44, 2010
9 김만중, "서포만필" 일지사 2-, 1987
10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시세계"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4 : 5-7, 1993
1 김학돈, "한국소설의 시간과 공간 연구 : 역경의 관점에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5
2 憑友蘭, "중국철학사" 까치 462-, 2007
3 고전순, "주역이란 무엇인가" 여강출판사 121-,
4 高田淳, "주역이란 무엇인가" 여강출판사 110-, 1991
5 임종욱, "조선시대 불교공간과 한문학의 자장" 이회 233-237, 2015
6 崔仁子, "작중 인물의 의미화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7 金萬重, "서포집" 통문관 349-350,
8 김만중, "서포만필 하" 문학동네 43-44, 2010
9 김만중, "서포만필" 일지사 2-, 1987
10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시세계"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4 : 5-7, 1993
11 김무조, "서포 김만중의 소설과 적소에 관한 고찰" 남해역사연구회 13-, 2009
12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출판부 144-150, 2001
13 편집부, "비지구해 원본 주역" 명문당 460-, 1999
14 朴一峰, "동양고전신서 12" 육문사 223-231, 1999
15 김석진, "대산 주역강의(1)" 한길사 580-, 2001
16 김병국, "남해관련서포문학의재조명" 서포 김만중남해기념사업회 45-, 2002
17 설성경, "남해관련 서포문학의 재조명" 서포 김만중남해기념사업회 61-63, 2002
18 임종욱, "김만중의 한글문학에 대한 관심과 『사씨남정기』의 문학적 성취" (2) : 185-186,
19 박성재, "김만중 소설과 남해 용문사" 엠-애드 2015
20 이종출, "국문학개론" 교학연구사 288-289, 1986
21 전선영, "구운몽의 역학적 세계관 연구" 공주대학교 2017
22 배영희, "구운몽의 역학적 분석" 원용문예 13-403, 1995
23 金容德, "구운몽의 사상적 연구" 177-178, 1980
24 김만중, "구운몽" 서울대학교출판부 9-51, 2007
25 김만중, "구운몽" 서울대학교출판부 9-51, 2007
26 김만중, "西浦年譜" 서울대출판부 1992
27 김만중, "西浦集" 씨티프랜 481-, 2010
28 권영대, "西浦漢詩의 性格攷" (2) : 88-, 1984
29 박성재, "西浦小說 성립의 배경 연구 - 蘇東坡 同一化樣相과 『서포만필』ᆞ『서포집』소재逸話ᆞ詩話를 중심으로 -" 경남문화연구원 (52) : 79-120, 2016
30 詹石窗, "易學與道敎思想關系硏究" 厦門大學出版社 63-, 2001
31 南海島踏査, "崇田語文學第6輯" 崇田大學校國語國文學會 183-197, 1977
32 김무조, "又軒丁仲煥博士還曆紀念論文集" 531-532, 1974
33 김병국, "九雲夢의에피그라프記夢" 한국교육연구회 (14) : 81-, 1968
34 朴三緖, "『구운몽』, 그 思想構造의 分析과 理解" 국학자료원 399-402, 1998
35 설성경, "<구운몽>의 창작 동기와 주제의식" 택민국학연구원 (1) : 7-37, 2008
36 신재홍, "<구운몽>과 『주역』 복괘의 관련 양상"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38) : 139-173,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