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과세자주권의 평가와 확충 방안 연구 = Study on Evaluation and Enhancing method of the taxation sovereignty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39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경기둔화의 만성화와 그에 따른 지방재정 기반의 위축, 저출산 고령화의 심화 등으로 취약한 지방재정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국세 세수의 감소, 국가부채의 팽창 등으로 말미암아 중앙재정 여건도 빠르게 나빠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랜 동안 고수되어 왔던 이전재원을 통한 지방재정 지원이 그 지속을 보장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열악한 지방재정 여건의 개선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에 부여된 과세자주권의 실효성을 평가하였고, 그 확충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대표하는 핵심적인 틀에 해당하는 지방세 탄력세율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그것을 통해 지방세 탄력세율제도는 극히 제한적인 지방자치단체에서만 그 유용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확충하는 방안으로 탄력세율을 적용하여 늘어난 세수를 일정 기간 동안 보통교부세의 기준재정수입 산정에서 제외하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과표 결정권 강화를 위해 (가칭)지방세과표관리원을 설치하여 지방세 과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조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자원시설세와 레저세의 과세대상 확대를 통해 현행 법제도에서 허용하는 선택과세제도(임의세제도)를 내실 있게 운용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법정외세제도 도입을 위한 관련 법령의 정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경기둔화의 만성화와 그에 따른 지방재정 기반의 위축, 저출산 고령화의 심화 등으로 취약한 지방재정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국세 세수의 감소, 국가부채의 팽창 등...

      최근 경기둔화의 만성화와 그에 따른 지방재정 기반의 위축, 저출산 고령화의 심화 등으로 취약한 지방재정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다. 그런 가운데 국세 세수의 감소, 국가부채의 팽창 등으로 말미암아 중앙재정 여건도 빠르게 나빠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랜 동안 고수되어 왔던 이전재원을 통한 지방재정 지원이 그 지속을 보장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열악한 지방재정 여건의 개선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에 부여된 과세자주권의 실효성을 평가하였고, 그 확충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대표하는 핵심적인 틀에 해당하는 지방세 탄력세율제도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그것을 통해 지방세 탄력세율제도는 극히 제한적인 지방자치단체에서만 그 유용성을 담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에 기초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을 확충하는 방안으로 탄력세율을 적용하여 늘어난 세수를 일정 기간 동안 보통교부세의 기준재정수입 산정에서 제외하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지방세 과표 결정권 강화를 위해 (가칭)지방세과표관리원을 설치하여 지방세 과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조치를 제안하였다. 또한 지역자원시설세와 레저세의 과세대상 확대를 통해 현행 법제도에서 허용하는 선택과세제도(임의세제도)를 내실 있게 운용해야 함을 지적하였다. 나아가 법정외세제도 도입을 위한 관련 법령의 정비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weak local financial conditions are getting worse according to the chronic economic slowdown and consequent contraction of local finance base, the deepening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etc. Meanwhile the central financial conditions are rapidly deteriorating according to reduction of national tax revenues, expansion of the national debt etc.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the support local finance funded through transfer revenues that it have been long stick to ensure a sustainable situation.
      In this study, we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flexible tax rate in local tax system that belongs to the core framework related to the taxation autonomy. As a result, the flexible tax system has confirmed that only very limited local government can guarantee its availability. Based on this result, we suppose that the increased tax revenues through the flexible tax rate application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tandard financial revenue estimates of general grant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strengthening the taxation autonomy in local governments and the local tax base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by installing local tax base wardens(tentative name) for enhancing the right to decide the tax base of local governments. Also, we point out that The expansion of the taxable objects in Local resource facilities tax and Leisure tax is required for the substantiality of the selection taxation (optional taxation). Moreover, we emphasize that the maintenance of the relevant legislation is needed to introduce the tax out of court.
      번역하기

      Recently, the weak local financial conditions are getting worse according to the chronic economic slowdown and consequent contraction of local finance base, the deepening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etc. Meanwhile the central financial ...

      Recently, the weak local financial conditions are getting worse according to the chronic economic slowdown and consequent contraction of local finance base, the deepening of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etc. Meanwhile the central financial conditions are rapidly deteriorating according to reduction of national tax revenues, expansion of the national debt etc.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the support local finance funded through transfer revenues that it have been long stick to ensure a sustainable situation.
      In this study, we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flexible tax rate in local tax system that belongs to the core framework related to the taxation autonomy. As a result, the flexible tax system has confirmed that only very limited local government can guarantee its availability. Based on this result, we suppose that the increased tax revenues through the flexible tax rate application should be excluded from the standard financial revenue estimates of general grant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for strengthening the taxation autonomy in local governments and the local tax base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by installing local tax base wardens(tentative name) for enhancing the right to decide the tax base of local governments. Also, we point out that The expansion of the taxable objects in Local resource facilities tax and Leisure tax is required for the substantiality of the selection taxation (optional taxation). Moreover, we emphasize that the maintenance of the relevant legislation is needed to introduce the tax out of cour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시작하는 글
      • Ⅱ. 최근 지방재정의 여건변화와 당면과제
      • Ⅲ. 지방자치단체 과세자주권의 평가
      • 국문초록
      • Abstract
      • Ⅰ. 시작하는 글
      • Ⅱ. 최근 지방재정의 여건변화와 당면과제
      • Ⅲ. 지방자치단체 과세자주권의 평가
      • Ⅳ. 지방자치단체 과세자주권 확충방안
      • Ⅴ. 맺는 글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태현, "지속 가능한 대안적 지방세입 체계의 모색"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6) : 77-107, 2014

      2 김태호, "지방정부 과세자주권 강화를 위한 지방세 관련법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3 안전행정부, "지방재정세제 주요 통계"

      4 김영순,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 확보를 위한 지방세 경쟁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4 (14): 609-647, 2014

      5 유태현, "지방자치단체 과세자주권의 실태와 확충방안" 2015

      6 김완석, "지방세의 비과세ㆍ감면에 있어서의 과세자주권과의 확보와 세수 보전방안" 한국토지공법학회 29 : 261-278, 2005

      7 김완석, "지방세 비과세감면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2009

      8 최철호, "조세법률주의와 지방세조례주의에 관한 연구" 2007

      9 "재정고"

      10 안완수, "일본의 법정외세 제도(Ⅰ)"

      1 유태현, "지속 가능한 대안적 지방세입 체계의 모색"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6) : 77-107, 2014

      2 김태호, "지방정부 과세자주권 강화를 위한 지방세 관련법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2014

      3 안전행정부, "지방재정세제 주요 통계"

      4 김영순, "지방자치단체의 과세자주권 확보를 위한 지방세 경쟁에 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4 (14): 609-647, 2014

      5 유태현, "지방자치단체 과세자주권의 실태와 확충방안" 2015

      6 김완석, "지방세의 비과세ㆍ감면에 있어서의 과세자주권과의 확보와 세수 보전방안" 한국토지공법학회 29 : 261-278, 2005

      7 김완석, "지방세 비과세감면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재정정책학회 2009

      8 최철호, "조세법률주의와 지방세조례주의에 관한 연구" 2007

      9 "재정고"

      10 안완수, "일본의 법정외세 제도(Ⅰ)"

      11 "일본 총무성 홈페이지"

      12 "법제처 홈페이지"

      13 안완수, "법정외세 제도(Ⅱ)"

      14 김대영, "과세자주권 확충에 관한 소고" 5 (5): 61-86, 2000

      15 김대영, "과세자주권 확충방안: 주행세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6 (16): 1-20, 2002

      16 행정자치부, "2015년도 지방자치단체 통합재정개요(상)"

      17 행정자치부, "2014 지방세정연감"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International Accounting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5 1.497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