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영준, "律呂로서의 詠歌舞蹈의 心身治癒에 관한 硏究" 국학연구원 13 : 377-420, 2012
2 이성구, "훈민정음해례의 역학적 고찰" (5) : 1980
3 유정기, "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 영남대학교 (6·7) : 1968
4 이성구, "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 원리를 중심으로" 명지실업전문대학 (8) : 7-53, 1984
5 김만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45) : 55-94, 2012
6 박지홍,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88
7 김홍렬, "훈민정음의 역학적 해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이정호,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11) : 5-42, 1972
9 이근수, "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 홍익대학교 (1) : 83-102, 1994
10 김경탁, "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 원광대학교 (3) : 67-72, 1961
1 유영준, "律呂로서의 詠歌舞蹈의 心身治癒에 관한 硏究" 국학연구원 13 : 377-420, 2012
2 이성구, "훈민정음해례의 역학적 고찰" (5) : 1980
3 유정기, "훈민정음의 철학적 체계" 영남대학교 (6·7) : 1968
4 이성구, "훈민정음의 철학적 고찰 : 해례본에 나타난 제자 원리를 중심으로" 명지실업전문대학 (8) : 7-53, 1984
5 김만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역학사상-음양오행론과 삼재론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45) : 55-94, 2012
6 박지홍, "훈민정음의 이해" 한신문화사 1988
7 김홍렬, "훈민정음의 역학적 해석"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8 이정호, "훈민정음의 역학적 연구" 충남대학교 (11) : 5-42, 1972
9 이근수, "훈민정음의 언어철학적 분석" 홍익대학교 (1) : 83-102, 1994
10 김경탁, "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철학" 원광대학교 (3) : 67-72, 1961
11 박지홍, "훈민정음을 만든 원리" 한글 학회 (322) : 1999
12 정광, "훈민정음과 파스파 문자" 역락 2012
13 이재면, "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의 관계" 동국대학교 (13) : 1977
14 류은종, "훈민정음과 음양오행설" 한국학술정보 (14) : 159-164, 2009
15 강규선, "훈민정음과 성리학·운학과의 관계" 청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4) : 1-17, 1985
16 이남덕, "훈민정음과 방격규구사신경(方格規矩四神鏡)에 나타난 고대 동방사상" 국어국문학회 (62․63,) : 221-239, 1973
17 이성구, "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난 하도 원리와 중성" (95,) : 1986
18 이성구, "훈민정음 해례에 나타난 ‘천’과 ‘지’의 의미" 명지실업전문대학 (17) : 1-21, 1993
19 서병국,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해’ 연구: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8) : 13-32, 1964
20 방종현, "훈민정음 통사" 일성당서점 1948
21 최은정, "훈민정음 창제원리에 나타난 음양오행사상을 형상화한 실험적 한글 서체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2 김성범, "훈민정음 창제원리에 관한 역철학적 고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23 황경수, "훈민정음 중성의 역학사상" 한국중원언어학회 (11) : 207-226, 2007
24 성원경, "훈민정음 제자해 초성고" 건국대학교 3 (3): 26-38, 1974
25 이영월, "훈민정음 제자원리 재고" 한국중국언어학회 (27) : 453-473, 2008
26 최상진, "훈민정음 음양론에 의한 어휘의미 구조 분석" (111) : 109-132, 1994
27 유창균, "훈민정음 역주" 형설출판사 1993
28 이근수, "훈민정음 신연구" 보고사 1995
29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30 유창균, "황극경세서가 국어학에 끼친 영향"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소 (15) : 69-102, 1989
31 이상혁, "홍기문과 원본 訓民正音의 번역에 대하여" 한국학연구소 (23) : 235-253, 2005
32 방종현, "해석원본 훈민정음" 진학(辰學)출판협회 1946
33 김양진, "한민족의 글, 한글의 제자 원리" 고려대학교 대외협력처 홍보팀 (51) : 2012
34 이상백, "한글의 기원: 훈민정음 해설" 통문관 1957
35 김용운, "한국인의 자연관과 세종과학"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2) : 55-79, 1987
36 정대현, "한국어와 철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5
37 김석득, "한국어 연구사에 나타난 동양철학" 성곡학술문화재단 (4) : 111-150, 1973
38 박병채, "한국문자 발달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5) : 1967
39 김만태, "한국 사주명리 연구" 민속원 2011
40 이선경, "학산 이정호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역리연구(易理硏究)에 대하여: ≪훈민정음의 구조원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13) : 229-251, 2009
41 유정기, "철학적 체계에서 본 훈민정음 고" 현대교육사 3 (3): 28-40, 1970
42 남성우, "중국운학과 성리학이 훈민정음 창제에 미친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4) : 159-187, 1979
43 이익수, "주자의 역학과 훈민정음 창제와의 관련성연구" 경기대 (7) : 1986
44 홍기문, "정음발달사(상‧하)" 서울신문사출판국 1946
45 심소희, "정음관의 형성 배경과 계승 및 발전에 대하여" 한글학회 (234) : 191-224, 1999
46 문효근, "정음 초기 문헌의 역리적 직관적 성점 설명"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31) : 1-45, 1974
47 우실하, "전통음악의 구조와 원리" 소나무 2005
48 고영진, "음양오행설의 언어이론 가능성 모색" 한민족문화학회 (29) : 33-60, 2009
49 방종현, "원본훈민정음의 發見"
50 이성구, "열므나 이응호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한샘 281-304, 1987
51 강신항, "역주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1995
52 박지홍, "송천 김용태 선생 회갑 기념 논문집" 소문출판사 1981
53 조남욱, "세종문화사 대계 4(윤리·교육·철학·종교 편)"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339-495, 1999
54 박동규, "샤오 용의 사상이 한글 제정에 끼친 영향" 한글 학회 (253) : 103-133, 2001
55 이성구, "미원 우인섭 선생 화갑 기념 논문집" 1986
56 方立天, "문제로 본 중국철학-우주·본체의 문제" 예문서원 1997
57 박지홍, "들메 서재극 박사 환갑 기념 논문집" 들메 서재극 박사 환갑 기념 논문집 간행위원회 1991
58 이성구, "난대 이응백 박사 회갑 기념 논문집" 보신재 1983
59 허웅, "국어학-우리말의 오늘-어제" 샘문화사 1983
60 이정호, "국문‧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 보진재 1986
61 최현배, "고친 한글갈" 정음문화사 1982
62 朴相和, "韓國의 詠歌" 共和出版社 1976
63 정희선, "訓民正音의 易學的 背景論에 관한 一考察"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3
64 李成九, "訓民正音의 哲學的 考察 : 解例本에 나타난 制字原理를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3
65 "訓民正音"
66 "皇極經世書"
67 이정호, "正易硏究" 국제대학출판부 1976
68 "朱子語類"
69 "書經"
70 "易學啓蒙"
71 河野六郞, "新發見訓民正音に就いて" 31 (31): 1947
72 "性理大全書"
73 "周易"
74 "切韻指掌圖"
75 김경탁, "‘훈민정음’을 통하여 본 생성학적 ‘易’의 사상" 중국학보 59-72, 1965
76 김영환, "‘해례’의 중세적 언어관" 한글 학회 (198) : 131-158, 1987
77 김양진, "‘십간(十干)’의 어휘 의미에 대하여" 문헌과 해석사 (52)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