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의 성별효과  :  근로기준법을 중심으로 = The Gender Effects of Working Hours and Reward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2620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근로기준법의 근로시간 규범과 그에 기인한 보상제도가 가지고 있는성별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행법의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의 특징 및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법정근...

      본 연구에서는 근로기준법의 근로시간 규범과 그에 기인한 보상제도가 가지고 있는성별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현행법의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의 특징 및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법정근로시간 이상 장시간 일하는 근로자에게 보다 유리한 보상체계를 가지고 있다. 정상근로시간의 경우 남녀의 차이가 거의 없지만, 초과근로시간은 남성이높아 이러한 제도로 인해 남성의 임금상승효과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일한 사업장 내에서 장기간 근속한 근로자에게 유리한 보상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근속기간을 근거로 보상제도를 설계할 때, 그 적용대상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배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와 같은 성별중립적인(gender-neutral) 법제도가 결과적으로 여성에 대한 차별과 배제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gender effects of the regulations of workinghours and the subsequent reward systems in the Korean Labor Standards Act. The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the working hours and reward systems in thecurrent law were as follows: ...

      This study analyzed the gender effects of the regulations of workinghours and the subsequent reward systems in the Korean Labor Standards Act.
      The characteristics and results of the working hours and reward systems in thecurrent law were as follows: first, the reward systems were favorable to thosewho worked long hours above the legal number of working hours. While there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with the normal working hours,men worked more extra hours, which resulted in bigger wage-increasing effectsfor the men. Second, the reward systems were favorable to those who workedcontinuously at the same workplace for a long term. When the reward systemswere designed based on the period of continuous service, more women wereexcluded from the coverage than me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found in that it demonstrated that the gender-neutral legal systems such asworking hours and reward systems could serve as a foundation to discriminateor exclude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문제제기
      • 2.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에 관한 기존 논의
      • 3.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의 성별효과: 남성생애주기와 노동법적 보호
      • 1) 근로시간 관련 제도
      • 2) 장시간근로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체계
      • 1. 문제제기
      • 2.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에 관한 기존 논의
      • 3. 근로시간과 보상제도의 성별효과: 남성생애주기와 노동법적 보호
      • 1) 근로시간 관련 제도
      • 2) 장시간근로에 대한 추가적인 보상체계
      • (1) 시간외근로수당 관련 제도
      • (2) 누가 주로 시간외근로를 하는가?
      • (3) 누구의 시간외근로에 대해서만 추가적인 보상을 하는가?
      • 3) 장기근속자에게 유리한 보상체계
      • (1) 퇴직금제도
      • ① 법제도 변천과정
      • (2) 연차휴가제도
      • ① 법제도 변천과정
      • ② 연차휴가제도의 성별효과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