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현대 조경의 한국성 논의를 위한 기초 연구 = A Basic Study on the Koreanness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6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te a basic foundation for the discourse of Koreanness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by way of searching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Koreanness through analysis of Koreanness discourses. The result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te a basic foundation for the discourse of Koreanness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by way of searching the conceptual definitions of Koreanness through analysis of Koreanness discourses. The results are that discourses of Koreanness are to be classified in aesthetics type, spatial-temporal type, and cultural type. Aesthetics type is understood as style in terms of formal and design representation planning principles of spatial composition and immanence in terms of philosophy. Spatial-temporal type is understood as contemporaneity. This is classified as the concept of connoting of tradition, and separating and keeping a distance from tradition. Cultural type is prescribed as cultural identity. This is classified as unity, generality and individuality. The intension of Koreanness of these types is represented as an aspect changing and shifting from one regulation to another regulation. First, in the concerns of substantial archetypes like Korean original form, decorative element, spatial composition aesthetic perception and philosophy, Koreanness shifts to the point of view of contemporaniety which is created and defined in history. Second, Koreanness as contemporaniety shows a trend of shifting the point of view which is to be found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n modem history and modernism. Third, Koreanness defined as cultural identity shows a trend to emphasize the differences in other cultures and includes all the modem cultural agents. The number of views understood as individuality and denial are small but provide important points. Programmatic definition of Koreanness is not suitable. This basic study uses a stipulative or operational definition of Koreanness in many ways such as spatial and regional identity. Koreanness study for Korea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require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modernity and colonization relating to identity. Also, it is needed to elaborate on the discourse to divide the meaning of a concept of ident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체성(Identity)" 개념 분석: 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 71집 : 2005

      2 "확실치 않은 언어들 Ⅸ_한국성" 2005

      3 "현대의 한국성과 예술혼에 관하여" 1990

      4 "현대사회에서의 건축과 삶, 그리고 한국건축의 정체성" (여름) : 2001

      5 "현대건축과 한국 건축성" 8706 : 1987

      6 "해방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서울을 중심으로" 26 (26): 1-14, 1998

      7 "한일 그래픽 디자이너 게놈 분석" 서울: 안그라픽스 20-63, 2001

      8 "한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문제" 서울: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9 "한국형 도시공원이 갖춰야 할 필요충분조건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1993

      10 "한국형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제도적 문제점 환경과 조경 편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1993

      1 ""정체성(Identity)" 개념 분석: 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 71집 : 2005

      2 "확실치 않은 언어들 Ⅸ_한국성" 2005

      3 "현대의 한국성과 예술혼에 관하여" 1990

      4 "현대사회에서의 건축과 삶, 그리고 한국건축의 정체성" (여름) : 2001

      5 "현대건축과 한국 건축성" 8706 : 1987

      6 "해방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서울을 중심으로" 26 (26): 1-14, 1998

      7 "한일 그래픽 디자이너 게놈 분석" 서울: 안그라픽스 20-63, 2001

      8 "한민족공동체와 민족정체성 문제" 서울: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1

      9 "한국형 도시공원이 갖춰야 할 필요충분조건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1993

      10 "한국형 도시공원 조성에 따른 제도적 문제점 환경과 조경 편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1993

      11 "한국현대조경작품의 경향과 과제" 한국조경학회 편 도서출판 조경 8-9, 1992

      12 "한국현대조경작품에 나타난 한국성에 관한 연구" 2004

      13 "한국현대건축의 전통적 표현과 그 파생개념 비판 건축과 환경 8806" 1988

      14 "한국현대건축에 표현된 한국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21 : 3-9, 1999

      15 "한국조경의 전통과 설계적 상상력" 9706 : 98-103, 1997

      16 "한국전통건축의 공간특성과 구성수법 건축과 환경 8806" 1988

      17 "한국적인 분위기가 있는 공원의 사례" 84-87, 1993

      18 "한국적인 것의 모색방안" 9701 : 1997

      19 "한국적 미니멀에서 나타난 한국성" 2 : 159-176, 1999

      20 "한국적 게임을 찾아서" 서울: 안그라픽스 156-171, 2001

      21 "한국의 정체성" 서울: 책세상 2000

      22 "한국의 도시경관" 서울: 열화당 2002

      23 "한국성표현의 실제2" 1987b

      24 "한국성의 재발견" 1987a

      25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1988

      26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1988

      27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1988

      28 "한국성의 개념과 방법론" 1988

      29 "한국성을 다시 생각한다 건축가 9312" 1993

      30 "한국성 표현의 실제3" 1987b

      31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32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b

      33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34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8

      35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36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3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38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39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0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1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2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3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4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5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6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a

      48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49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0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1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2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3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4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5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6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7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8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59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a

      60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61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62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63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64 "한국성 탐색의 현재의사" 1987

      65 "한국성 모색을 위한 철학적 고려" 1987

      66 "한국성 개념과 방법론" 1988

      67 "한국문화의 정체성" 서울: 안그라픽스 200-213, 2001

      68 "한국문화의 이해, 한국건축" 9701 : 1997

      69 "한국문화는 있는 것인가? 재구성을 위한 서설" 9701 : 1997

      70 "한국건축의 한국성에 대한 하나의 가정" 1987

      71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토론회" 9705 : 1997

      72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토론회" 9705 : 1997

      73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9705 : 1997

      74 "한국, 오늘의 조경정신" 9901 : 114-117, 1999

      75 "한국 현대미술과 정체성" (2) : 1999

      76 "한국 현대 조경 30년의 반성과 미래의 전망" 0203 : 160-162, 2002

      77 "한국 비엔날레에 떠도는 아시아 정체성의 유령" 서울: 안그라픽스 92-107, 2001

      78 "한국 근대미술의 한국성을 모색하며, 가나아트" 서울: 가나아트 7-14, 1995

      79 "학문으로서의 조경: 변천과 전망" 9901 : 118-121, 1999

      80 "폭력과 상스러움" 서울: 푸른숲 2002

      81 "패션-국가: 일본의 세계화 경험과 홍콩의 딜레마" 서울: 안그라픽스 310-338, 2001

      82 "특별기획 ‘한국형 도시공원의 개발 모색’ 환경과 조경 9303-9307" 1993

      83 "특별기획 ‘전통조경의 계승과 현대화계획’" 9706 : 1997a

      84 "특별기회 ‘한국조경, 과연 철학이 깃들어 있는가?’" 9707 : 1997b

      85 "토속성을 통해서 표현된 "한국성"" (2) : 177-212, 1999

      86 "토론,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1995

      87 "토론,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89-165, 1995

      88 "토론, 한국근대미술의 한국성" 서울: 가나아트 89-165, 1995

      89 "토론,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9705 : 1997

      90 "토론,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9705 : 1997

      91 "토론,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9705 : 1997

      92 "탈지역적으로 수용되는 대중문화의 부상과 ‘한류현상’을 둘러싼 문화정치" 13 (13): 189-213, 2005

      93 "탈식민지 시대 지식인의 글 읽기와 삶 읽기 2 또 하나의 문화" 1994

      94 "쿼바디스, 한국영화의 정체성" 서울: 안그라픽스 144-154, 2001

      95 "착한미개인 동양의 현자" 서울: 청년사 2001

      96 "조경의 시대, 조경을 넘어" 서울: 도서출판 조경 2007

      97 "전통성, 한국성 그리고 한국 현대 실내디자인" 0102 : 19-22, 2001

      98 "전통과 건축문화 그와 상관되는 보편적인 문제점들 건축과 환경 8806" 1988

      99 "작정기: 21C 한국적 도시공원의 추구" 9804 : 30-39, 1998

      100 "자연성이 내재된 ‘公苑’으로 명명하는 것은 어떨지?" 1993

      101 "이 시대 왜 다시 한국성인가" 9705 : 1997

      102 "우리 것을 찾는 이유" 9701 : 1997

      103 "용산기지 공원화 구상 연구" 국무조정실 주한미군대책기획단 2005

      104 "왜 이 시대 속에서 한국성인가?" 9705 : 1997

      105 "옴스테드 양식이 한국현대조경 작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1994

      106 "오리엔탈리즘의 족쇄: 한국 패션 정체성의 딜레마" 서울: 안그라픽스 64-90, 2001

      107 "실천적 이론창출을 위한 전제조건" 9705 : 1997

      108 "신자유주의 시대의 조경" 서울: 도서출판 조경 34-61, 2006

      109 "서구미술에 나타난 모방과 차용의 역사 논리" 2 : 47-78, 1999

      110 "변하는 것과 변하지 않는 것; 한국성담론의 비판적 분석" 9907 : 1999

      111 "문화정체성 담론의 제 영역과 문제들" 2 : 133-158, 1999

      112 "문화인식으로 본 현대 한국조경 경향에 대한 비평" 9707 : 1997

      113 "무엇이 한국적인가? 조형예술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 9710 : 1997

      114 "동양건축에서의 집과 사람-하나의 동양적 관점으로서의 한국성" 1987

      115 "독재정권기의 민족주의와 디자인에서의 ‘한국성’" (11월) : 2007

      116 "도시공원의 새로운 시도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1993

      117 "담론의 질서" 서강대학교 출판부 19711998

      118 "공원인가 제3의 공간유형인가? 한국형 도시공원 개발모색" 1993

      119 "공간디자인 16강" 서울: 국제출판사 2001

      120 "건축의 한국적 원형과 본질을 생각하기 위한 몇가지 관점에 대한 소고" 1987

      121 "건축과 환경 한국성의 재규명 건축과 환경 8806" 특 : 1988

      122 "개념 뿌리들" 서울: 철학아카데미 2004

      123 "가장한국적인 것은 무엇인가?" 9701 : 1997

      124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9810 : 1998

      125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1988 : 1998

      126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9810 : 1998

      127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9810 : 1998

      128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9810 : 1998

      129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1998

      130 "韓國性: 굴레인가, 축복인가?" 9810 : 1998

      131 "The Invention of Tradition" 19832004

      132 "The Extension of Man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19642002

      133 "Production of culture/Culture of Production" London, Sage

      134 "Introduction to logic" 123-132, 20002000

      135 "Global Times: What in the World's going on?" 1997

      136 "90년대의 전통논의를 생각하며"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