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장단계별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ICA 프레임워크를 통한 단계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Influence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Development Stages: Comparative Analysis among Stages by ICA Frame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6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which is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s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ICA(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framework, the influential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c...

      This study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which is based on the development stages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ICA(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framework, the influential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Previous study simply presented the influence factors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hree stages of growth such as formation, development, settlement. From this limitation, This study has cri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important factors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terms of the stage of growth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it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r the social performance model, Analysis results show that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residents has a great impact on social community performance in all stages of growth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and utilization of local resources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community performance in development and settlement stages. Moreover, leadership of community representative and network effectiveness with community residents have a critical impact on social community performance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network effectiveness with external supporter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community performance in the formation stage. For the economic model,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scal independence,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residents,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network effectiveness with governments, and network effectiveness with external supporte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al community performance in general.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identified that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of residents are essential requirements for performances regardless of the stage of growth of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economical development of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establish active networking with governments effectively. Also, in order to enhance social development of communitie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solidarity and identity among residents through utilizing local useful resour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선행연구들이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장단계별로 성과에 대한 중요한 요인들이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영향요인들을 제시하고 있는 한계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집합적 협력의 ...

      선행연구들이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장단계별로 성과에 대한 중요한 요인들이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영향요인들을 제시하고 있는 한계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집합적 협력의 가치와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ICA(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분석틀을 적용하여 성장단계에 따라 공동체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공동체적 성과모델의 모든 성장단계에서 주민들의 참여와 지원이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며, 지역고유자원의 활용도 발전 및 정착단계에서 공동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마을공동체 대표자의 리더십과 주민들 간의 네트워크 실효성은 발전단계에서, 외부지원자와의 네트워크 실효성은 형성단계에서 공동체적 성과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 성과모델에서는 주민들의 참여와 지원, 간편한 행정절차, 정부와의 네트워크가 형성 및 발전단계 모두에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형성단계에서의 주민조직의 역량, 발전단계에서의 재정적 독립성, 정착단계에서의 외부지원자와의 네트워크 실효성이 경제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주민들의 참여와 지원은 성장단계와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과에 무관하게 필수적인 요건이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장단계별로 중요한 요인들과 그 특성을 차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연,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본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전북 완주군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0 (20): 149-168, 2013

      2 김현호, "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정립 및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3 나주몽, "한국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정책 추진과정과 지역차원의 과제" 44 (44): 141-160, 2012

      4 한상일,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 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53-180, 2013

      5 '이홍택,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08-720, 2012

      6 임정현,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활용한 지역개발사업의 정책설계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4 (24): 271-292, 2013

      7 이규선, "청주시 사직2동 마을만들기 단계별 특성연구 - 추진사업 및 참여주체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145-157, 2012

      8 전지훈, "지역의 공동체활동과 문화 및 지역발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코인스트리트, 나가하마, 삼덕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87-114, 2015

      9 김재경, "지역사회 공동체의 이해와 현황분석" 2 (2): 281-294, 2015

      10 신윤창,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17-244, 2010

      1 이수연, "협력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본 커뮤니티 비즈니스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전북 완주군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 20 (20): 149-168, 2013

      2 김현호, "현대적 지역공동체 모델정립 및 활성화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3 나주몽, "한국의 커뮤니티비즈니스 정책 추진과정과 지역차원의 과제" 44 (44): 141-160, 2012

      4 한상일, "한국 사회적 기업의 지역자산 활용 : 자산기반지역공동체발전 관점에서의 사회적 기업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53-180, 2013

      5 '이홍택, "커뮤니티 비즈니스와 지역발전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미산 마을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 15 (15): 708-720, 2012

      6 임정현, "커뮤니티 비즈니스를 활용한 지역개발사업의 정책설계에 관한 연구" 서울행정학회 24 (24): 271-292, 2013

      7 이규선, "청주시 사직2동 마을만들기 단계별 특성연구 - 추진사업 및 참여주체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145-157, 2012

      8 전지훈, "지역의 공동체활동과 문화 및 지역발전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코인스트리트, 나가하마, 삼덕동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7 (27): 87-114, 2015

      9 김재경, "지역사회 공동체의 이해와 현황분석" 2 (2): 281-294, 2015

      10 신윤창, "지역발전이론의 비판적 이해와 지역공동체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217-244, 2010

      11 박병춘, "지역발전과 지역공동체-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모형 및 기본 정책 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26, 2012

      12 남재걸, "지역공동체의 진화에 따른 이해관계자 간 역할변화 분석" 한국정책학회 25 (25): 105-132, 2016

      13 이현국, "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마을공동체 활동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3 (23): 177-200, 2016

      14 전대욱, "지역공동체 활성화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한국지역진흥재단 2016

      15 박종관, "지역공동체 형성전략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83-193, 2012

      16 김경아, "지역공동체 주도 발전에 대한 거버넌스 특성 분석: 과천화훼단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26 (26): 1-29, 2019

      17 김학실, "지역공동체 위기에 대응한 공동체주도발전전략(Community-Driven Development)에 관한 연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79-201, 2014

      18 박병춘, "지역공동체 성공요인 및 정책적 시사점 - 지역공동체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0 (20): 1-26, 2013

      19 장지은, "지역 사회적경제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한 지원모델에 관한 연구 - 경기도 따복공동체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학회 34 (34): 13-28, 2018

      20 주상현,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비즈니스 형성요인과 정책과제 - 완주군 CB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219-249, 2014

      21 임경수, "지속가능한 마을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6 (6): 83-95, 2013

      22 문석진,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를 위한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 한국공공사회학회 3 (3): 36-48, 2013

      23 이재준, "지속가능한 농촌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39-55, 2003

      24 이기태,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규제실효성 영향요인 분석: 제도적집합행동 프레임워크(ICA Framework)의 적용을 통해서" 181-205, 2016

      25 김현호,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지역공동체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32, 2013

      26 강기호, "주민참여와 농촌 마을만들기 사업성과의 관계에서 거버넌스의 매개효과 실증분석 - 제주 웃뜨르권역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21 (21): 103-115, 2015

      27 양재섭,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 59 (59): 56-62, 2015

      28 신중진,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 독산3동 문화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09-120, 2008

      29 차성란, "주민주도적인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 -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 (14): 77-100, 2010

      30 박철, "주민자치와 마을공동체 벤치마킹하기: 주민이 이웃과 함께 지역문제 해소 및 지역경제 활성화" 79 : 45-, 2018

      31 윤은식, "주민자치센터 행위자 네트워크거버넌스의 협력요인 분석 : 2009년 우수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29-154, 2011

      32 이자원, "제주 가시리 마을 만들기 사례를 통한 한국형 마을만들기 연구" 국토지리학회 49 (49): 425-437, 2015

      33 정창호, "정보화마을 공동체 형성에 관한 연구: 정보화마을 간 자매결연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87-109, 2014

      34 양현석, "장수기업의 성장단계별 경영혁신에 관한 연구 : IBM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1

      35 하현상, "자치분권시대의 지역활성화 주체로서 마을공동체의 과제와 방향"

      36 고광용, "자치구 마을공동체 네트워크와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비교연구 : 서울시 동대문구와 성북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131-159, 2014

      37 송부용, "자립형 지역공동체사업 활성화 방안" 111 : 70-99, 2010

      38 이자성, "일본 사회적기업의 중간지원조직 특징 및 시사점" 산업경영연구소 41 (41): 71-96, 2018

      39 김세용, "우리나라 마을만들기의 현재와 방향" 371 : 3-20, 2013

      40 최지민,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제도주의적 분석: B아파트 2단지 옥상 텃밭 가꾸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29-54, 2016

      41 이수창, "사회적기업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모색: 경북행복재단을 중심으로" 4 (4): 1-17, 2013

      42 전대욱, "마을진단지표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3

      43 김미연, "마을지 만들기 사업의 공동체적 경험과 의미, 그리고 한계: 주민참여 수준과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32 (32): 109-142, 2018

      44 여관현, "마을만들기의 추진단계별로컬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1 (21): 395-422, 2017

      45 여관현, "마을만들기 추진단계별 주민자치의 실천에 관한 연구 -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63-291, 2015

      46 이상훈,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의 성과 및 한계에 관한 연구 - ‘성북구 2011 제2기 도시아카데미’의 교육대상지(정릉1동)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4 (14): 137-149, 2013

      47 양재혁, "마을만들기 사업의 추진과정에 관한 정성적 평가 - 부산 산성마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2 (12): 41-48, 2010

      48 문종화, "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37 (37): 21-31, 2012

      49 조재준, "마을기업의 발전전략과 활동성과와의 관계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 (20): 265-292, 2018

      50 이남겸, "마을기업 구성원의 공동체 의식이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충청남도 마을기업을 대상으로"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1 (21): 113-133, 2018

      51 송인하, "마을공동체운동의 성공조건과 과제" 14 : 33-64, 2010

      52 이기태,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 거래비용이론 관점에서 -" 한국정책학회 25 (25): 455-490, 2016

      53 이기태, "마을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간지원조직 활동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중간지원조직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54 이기태, "마을공동체 활동의 네트워크 변화분석: 마을을 찾아간 학생들의 마을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15-149, 2017

      55 김수영, "마을공동체 형성의 인과구조 분석"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 : 337-381, 2014

      56 정광석, "마을공동체 성장단계별 국가·지자체의 맞춤형 정책지원 방안" 9 : 1-5, 2016

      57 하현상, "마을공동체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중앙정부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421-459, 2017

      58 김근혜, "마을공동체 사업의 사회적 성과 창출을 위한 성과 요인 분석: 논산시 ‘동고동락’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8 (28): 139-167, 2018

      59 박선희, "마을공동체 사업 성과 측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9) : 285-306, 2014

      60 김경화, "마을 만들기의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도출"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267-285, 2015

      61 이재민, "마을 만들기의 전개를 통한아파트 마을공동체의 성장 단계 연구: A군 드림아파트와 육아아파트의 사례" 한국지역문화학회 5 (5): 79-98, 2018

      62 여관현,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6 (26): 53-87, 2013

      63 진재문, "마을 만들기 사업을 위한 자치단체의 주민참여 활성화 노력과 삶의 질의 관계: 주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5) : 340-372, 2014

      64 김영, "마을 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87-108, 2008

      65 박경옥, "도심 마을공동체 내 거주자의 상호작용과 공동체의식 - 성미산마을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24 (24): 185-204, 2015

      66 김학실, "도시재생과정에서 마을기업의 역할" 경인행정학회 13 (13): 41-60, 2013

      67 최조순, "도시재생과 사회적기업의 역할"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283-302, 2011

      68 박완희, "도시생태공동체 형성과정 분석: 청주시 산남동 두꺼비생태마을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 22 (22): 87-117, 2014

      69 이은지, "도시 커뮤니티 형성 과정의 탐색: 서울시 서대문구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84 : 75-94, 2015

      70 지남석, "대전 석교동 마을공동체 활동의 전개와 활성화요인" 국토지리학회 49 (49): 335-348, 2015

      71 구자원, "기업성장단계 연구에 있어 변수의 사용빈도 및 상대적 중요성에 관한 종단적 연구: ser-M Framework을 활용한 생산성요인 도출을 중심으로" 한국생산성학회 21 (21): 129-169, 2007

      72 Feiock, R. C., "The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Framework" 41 (41): 397-425, 2013

      73 하현상,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on Collective Actions for Locating Facilities with Externalities: Applying the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Framework"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7 (27): 57-85, 2012

      74 Feiock, R. C., "Self-organizing federalism: Collaborative mechanisms to mitigate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dilemm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75 Ha, Hyunsang., "Organizational Network Activities for Local Economic Development" 30 (30): 15-31, 2016

      76 Feiock, R. C., "Metropolitan governance: Conflict, competition, and cooperation"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04

      77 Feiock, R. C., "Metropolitan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44 (44): 356-377, 2009

      78 Hyung Jun Park, "Institutional Collective Action, Social Capital and Regional Deveplopment Partnership" 한국행정학회 11 (11): 57-70, 2007

      79 Feiock, R. C., "Big ideas in collaborative public management" Routledge 195-210, 2008

      80 김재훈, "2000년대 지역 간 성장격차 추세와 패턴, 구조" 지역사회학회 18 (18): 101-139,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9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1 1.11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