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고대사에서 ‘접경’ 연구 현황과 과제 = The performance and future direction of studies relating to the “Contact Zone”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ach of studies relating to the “contact zone”, or boundary,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 study grasped future tasks and the direction of investigation of this ancient history.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on this contact zone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some academic articles use the phrase “contact zone” in their titles, while others mention it in their tables of contents or their contents. There are also studies that do not use the term “contact zone” but which regard it in a similar critical way.
      The contact zone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largely means the boundary between state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addressed with a focus on such problems as the sphere of influence or the border line. Therefore, we focused on areas in which territorial wars occurred in an intensive way among the ancient Three States or on areas in which military conflicts with Chinese dynasties occurred. For the most part, the border was approached as a concept of a military demarcation line related to the belongingness of the territory.
      But a problem has recently been raised as to boundaries between states in ancient times, and people have begun to take notice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borderland. Therefore, some suggest that the border should be reinterpreted as a composite space in which heterogeneous cultures met and fused rather than as an area of military conflicts.
      The concept of the contact zone has still not been established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what the contact zone actually was should precede attempts to understand it. There is also a need to set the category of the borderland. A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re is a further need to develop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r historical meaning of the ancient border. There is also a need to study the specific actual situation in the contact zone, that is, the contact zone community, and to extend related study to the internal border as well as the external border.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ach of studies relating to the “contact zone”, or boundary,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 study grasped future tasks and the direction of investigation of this ancient history.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o...

      This study examined the approach of studies relating to the “contact zone”, or boundary,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 study grasped future tasks and the direction of investigation of this ancient history.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on this contact zone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some academic articles use the phrase “contact zone” in their titles, while others mention it in their tables of contents or their contents. There are also studies that do not use the term “contact zone” but which regard it in a similar critical way.
      The contact zone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largely means the boundary between state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addressed with a focus on such problems as the sphere of influence or the border line. Therefore, we focused on areas in which territorial wars occurred in an intensive way among the ancient Three States or on areas in which military conflicts with Chinese dynasties occurred. For the most part, the border was approached as a concept of a military demarcation line related to the belongingness of the territory.
      But a problem has recently been raised as to boundaries between states in ancient times, and people have begun to take notice of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borderland. Therefore, some suggest that the border should be reinterpreted as a composite space in which heterogeneous cultures met and fused rather than as an area of military conflicts.
      The concept of the contact zone has still not been established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The establishment of what the contact zone actually was should precede attempts to understand it. There is also a need to set the category of the borderland. An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re is a further need to develop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 or historical meaning of the ancient border. There is also a need to study the specific actual situation in the contact zone, that is, the contact zone community, and to extend related study to the internal border as well as the external bord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재윤,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93 (93): 109-142, 2016

      2 박순발, "한국 고대사에서 종족성의 인식" 한국고대사학회 (44) : 5-19, 2006

      3 梁起錫, "한국 고대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4 강종훈,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5 조효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6 김태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7 이동희,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8 宋基豪,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서울] 2008

      9 김재윤, "한-중-러 접경지역 신석기 고고문화의 변천" 부산고고학연구회 (14) : 1-24, 2014

      10 박성현, "특집총론:한국 고대의 국경과 변경" 한국역사연구회 (82) : 17-25, 2011

      1 김재윤,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93 (93): 109-142, 2016

      2 박순발, "한국 고대사에서 종족성의 인식" 한국고대사학회 (44) : 5-19, 2006

      3 梁起錫, "한국 고대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4 강종훈,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5 조효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6 김태식,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7 이동희,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2008

      8 宋基豪, "한국 고대 사국의 국경선" 서경문화사 [서울] 2008

      9 김재윤, "한-중-러 접경지역 신석기 고고문화의 변천" 부산고고학연구회 (14) : 1-24, 2014

      10 박성현, "특집총론:한국 고대의 국경과 변경" 한국역사연구회 (82) : 17-25, 2011

      11 김종복, "특집논문:남북국의 경계와 상호 교섭에 대한 재검토" 한국역사연구회 (82) : 27-56, 2011

      12 이정빈, "특집논문:6세기 후반~7세기 초반 고구려의 서방 변경지대와 그 변화‒요서 지역 고구려의 라(邏)와 수의 진(鎭)·수(戍)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82) : 97-132, 2011

      13 박성현, "특집논문:5~6세기 고구려·신라의 경계와 그 양상" 한국역사연구회 (82) : 57-96, 2011

      14 조규복, "태화동 7호분을 통해 본 5C말~6C초 안동지역의 성격" 안동대학교 대학원 1999

      15 스토야킨 막심, "콕샤로프카 유적의 식물유체로 본 발해와 한반도의 관계" 인문학연구원 (28) : 239-282, 2015

      16 김상빈, "접경지역연구의 이론적 고찰" 2003

      17 김재윤, "접경의 아이덴티티 동해와 신석기문화" 서경문화사 2017

      18 연민수, "전통시대 동아시아의 외교와 변경기구" 2013

      19 이성제, "전통시대 동아시아의 외교와 변경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3

      20 송문섭, "안동 지역 신라 변경 고분 연구" 동양대학교 대학원 2013

      21 강문석, "신라 마립간시기말 국경지역 행정성의 책임자" 한국국학진흥원 (30) : 181-222, 2016

      22 김창석, "신라 縣制의 성립과 기능" 한국고대사학회 (48) : 125-154, 2007

      23 이준성, "삼국시대 영역사 연구의 새로운 이해를 위한 단단한 디딤돌" 17 : 2014

      24 진인진, "백제의 변경-화천 원천리유적" 한림고고학연구소 2016

      25 권오영, "백제 변경에서 확인되는 왕경인의 물질문화" 한국상고사학회 67 (67): 91-114, 2010

      26 오영찬, "낙랑인연구-고조선계와 한계의 종족융합을 통한 낙랑인의 형성" 사계절 2006

      27 임지헌, "근대의 국경 역사의 변경" 휴머니스트 2004

      28 양정현, "국사 교과서 고대사 서술에서 민족·국가 인식의 변천" 한국고대사학회 (52) : 117-154, 2008

      29 이정빈, "고구려-당 관계의 성립과 변경지대(618~624)" 고구려발해학회 54 : 59-85, 2016

      30 권오영, "馬韓의 종족성과 공간적 분포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60) : 5-33, 2010

      31 양태진, "韓國邊境史硏究" 法慶出版社 1989

      32 김민수, "羅唐연합군의 백제정벌 루트의 재검토" 대전대학교 군사연구원 10 : 2013

      33 徐炳國, "渤海와 新羅의 國境線 硏究-東海岸 地域을 中心으로-" 9 : 1981

      34 한규철, "渤海國의 서쪽 邊境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사학회 (47) : 73-96, 2003

      35 윤내현, "朝ㆍ燕戰爭의 전개와 국경 변화" 단군학회 20 : 247-264, 2009

      36 전덕재, "新羅의 東北地方 國境과 그 變遷에 관한 고찰"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1) : 149-193, 2014

      37 趙二玉, "新羅와 渤海의 國境問題" 52 : 1999

      38 김창석, "古代 領域 관념의 형성과 王土意識" 한국사연구회 (129) : 3-27, 2005

      39 김흥술, "古代 江陵의 邑號와 行政區域의 變遷" 13 : 2007

      40 백승충, "【연구논문】 安羅.新羅의 ‘接境’과 ‘耕種’ 문제 - ‘任那日本府’ 출현 배경의 한 측면 -" 부경역사연구소 (27) : 107-144, 2010

      41 장창은, "‘나․제동맹기’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 변천" 한국학연구소 45 : 91-128, 2016

      42 정순일, "9세기 후반 큐슈지역의 신라인집단과 그 행방" 한국고대학회 (39) : 265-294, 2013

      43 김영관,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회 (20) : 93-152, 2010

      44 李漢祥, "5~6世紀 新羅의 邊境支配方式; 裝身具 分析을 중심으로" 서울대 33 : 1995

      45 여호규, "5세기 후반~6세기 중엽 高句麗와 百濟의 국경 변천" 백제문화연구소 1 (1): 129-152, 2013

      46 박현숙, "5~6세기 삼국의 접경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 한국고대사학회 (58) : 103-132, 2010

      47 강종훈, "5~6세기 삼국 간 국경의 변동에 관한 諸說의 검토" 대구사학회 116 : 1-42, 2014

      48 여호규, "4세기 후반~5세기 초엽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의 국경 변천" 한국역사연구회 (84) : 169-213,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7-0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해외민족연구소 -> 중앙사학연구소
      영문명 : Division for Foreign National Policy -> Institute for Historical Studies at Chung-Ang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5 1.07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