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가치의 결합을 시도한 마케팅 방법인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이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수많은 브랜드(brand)가 탄생하고 그에 따라 가장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서로 다른 가치의 결합을 시도한 마케팅 방법인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이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수많은 브랜드(brand)가 탄생하고 그에 따라 가장 ...
서로 다른 가치의 결합을 시도한 마케팅 방법인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이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브랜드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수많은 브랜드(brand)가 탄생하고 그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마케팅(marketing) 방법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계속해서 확장되는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하고 더욱 체계적인 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브랜드 이미지에 주력하고 있는 색조화장품 브랜드로 지정하였다. 색조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와 기초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콜라보레이션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하였다. 이는 다른 성향의 소비자를 분석함으로써 기업의 목표에 따라 효과적인 콜라보레이션 진행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조사 결과, 두 유형의 소비자가 인식하는 브랜드 이미지 변화가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미지 항목별로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항목도 존재하였으므로 소비자 성향에 따른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이 가능함을 기대할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색조화장품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의 타겟 소비자 성향에 따라 부각할 브랜드 이미지 항목을 다르게 설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색조제품 선호 소비자와 기초제품 선호 소비자는 모두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받으므로 콜라보레이션 전 기획단계에서 방향성 및 목표 설정을 명확히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색조 화장품 브랜드라는 한정된 분야에서 분석이 이루어졌으므로 다원적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별 사례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키엘"
2 오수연, "콜라보레이션 바람이 불고 있다" 한국마케팅연구원 48 (48): 2014
3 "코카콜라"
4 이재화, "소비자 유형별 화장품 포장디자인 요인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 기초/색조 화장품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5 "보브"
6 김민선, "모브랜드 이미지가 확장된 유아동복 브랜드 이미지, 애착,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7 정효원, "라이프스타일과 구매점포 유형 및 레이블 활용도에 따른 화장품 평가기준과 만족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8 "디자인전략정보개발사업,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으로디자인을 혁신하라"
9 MORTEN T. HANSEN, "COLLABORATION" 교보문고 2011
1 "키엘"
2 오수연, "콜라보레이션 바람이 불고 있다" 한국마케팅연구원 48 (48): 2014
3 "코카콜라"
4 이재화, "소비자 유형별 화장품 포장디자인 요인이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 기초/색조 화장품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5 "보브"
6 김민선, "모브랜드 이미지가 확장된 유아동복 브랜드 이미지, 애착,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7 정효원, "라이프스타일과 구매점포 유형 및 레이블 활용도에 따른 화장품 평가기준과 만족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8 "디자인전략정보개발사업,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으로디자인을 혁신하라"
9 MORTEN T. HANSEN, "COLLABORATION" 교보문고 2011
서비스디자인을 위한 2D 애니메이션 기반의 모션 프로토타이핑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적 장르영화의 특색분석을 통한 사회의제 표현 연구 - 봉준호 감독의 영화 분석을 중심으로 -
4대 크루즈 선사를 위한 객실용 업홀스터리 패턴디자인 개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
Collaboration, Professionalism and Accountability
Teachers TV Teachers TVCross-Phase Collaboration
Teachers TV Teachers TVCross-Phase Collaboration
Teachers TV Teachers TVTeamwork and Collaboration
Teachers TV Teachers TVUsing data, department collaboration, student feedback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