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혁신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들이 단편적인 변수에 초점을 두어 다양한 변수들 간 비교분석이 부족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13684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5-98(5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혁신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들이 단편적인 변수에 초점을 두어 다양한 변수들 간 비교분석이 부족하였...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혁신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비교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기존 혁신행동에 대한 연구들이 단편적인 변수에 초점을 두어 다양한 변수들 간 비교분석이 부족하였다는 점, 조직관리의 핵심인 조직문화유형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직혁신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영향요인을 동기요인, 역량요인, 공정성 요인, 업무특성요인, 조직지원요인, 조직문화요인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직접효과와 네 가지 조직문화유형(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 과업지향문화, 위계지향문화)의 조절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공무원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조사 자료(N=4,133)를 분석한 결과, 첫째 조직혁신행동을 유도하는데 있어 동기요인인 공공봉사동기와 성취동기, 역량요인인 업무수행역량과 전문성이 조직혁신행동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조직문화에 혁신지향문화, 관계지향문화는 혁신행동에 正(+) 의 영향을, 위계지향문화는 負(-)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공공봉사동기 > 성취동기 > 전문성 > 업무수행역량 > 위계지향문화 > 역할모호성 > 업무자율성 > 절차공정성=혁신지향문화=관계지향문화순으로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네 개의 문화유형은 조절기능을 수행하는데, 낮은 혁신지향문화와 관계지향문화는 전문성, 높은 혁신지향 문화와 관계지향문화는 업무부하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낮은 과업지향문화는 성취동기, 높은 과업지향문화는 전문성, 업무부하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높은 위계지향문화가 분배공정성의 혁신행동 증가를 촉진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existing studies on innovation behavior have focused on few variables and lacke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existing studies on innovation behavior have focused on few variables and lacked comparative analysis among various variables, and have not systematically analyzed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 which is the core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Based on the extensive literatur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we classified the influencing factors into motivation, competence, fairness, leadership, work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culture factors, and compared their direct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four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innovation- oriented cultur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ask-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 oriented cul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data collected from public employees (N=4,133), we found that, first, motivational factors such a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mpetency factors such as work performanc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Second,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have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has a negative effect.
Third, the four culture types perform a moderating function, low innovation-oriented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promotes the impact of professionalism on innovation behavior. High innovation-orientated and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increased innovation behavior in workload. A low task-oriented culture moderates the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while a high task-oriented culture does the impact of professionalism on innovation behavior. High hierarchy orientation moderates the impact of distributive justice on innovation behavior.
개념적 블렌딩을 활용한 행정 현상의 의미구성: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공직 태도와 이직의도: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기성세대, M세대, Z세대 비교
공공기관 상임감사 채용 과정 개선 방안 연구: 국립대학교병원 지원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재정지원 일자리사업의 평가등급과 예산증감률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