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실천방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10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desires to use nature and forest for rehabilitation and well-being as well. Howev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use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and to participate forest therapy programs for their rehabilitation and well-being. In 2019, only 4.5%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forest therapy programs funded from Korea Forest Welfare Promotion A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ction plan to implement effectiv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tilizing forest resources in the community. A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as employed for
      collecting data. specificall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follows.
      In the theoretical stage, literature including policy and previous empirical studies were reviewed and quantitatively documented. Then, frequency and cross-analysis were used to derive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eld stage, surveys with 125 participants to obtain current statu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 with 12 experts was conducted to derive a plan to improv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d field-level analyses, the study suggests the forest welfare service action pla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iversify the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must be linked with educa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Therefore, the contents of service provision are diversified by linking support goals, related rehabilitation services, arbitration methods, and forest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areas such as health support, education and social psycho-
      logical rehabilit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family support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people wh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in-depth training course is established. It aims to improve theoretical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The education area is composed of subject understanding, program ope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education system is centered on the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and suppor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dvisory system and related agencies in order to ensure continuous and regular education.
      Third, to improve the forest welfare delivery syste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ublic-private academic network is established. Through a network of public and private academia, a system for exchanging interactions and resources between organizations such as forest welfare service infrastructur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related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cooperation system, service content development,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consulting is established.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education and social service promotion policies are linked and continuity, accessibility, integration, adequacy, professionalism, systemicity, and comprehensiveness are improved according to the delivery system principle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mmunity-based forest welfare support center is proposed. The Forest Welfare Support Center will be an institution or organization with appropriate facilities and skilled workers, and the establishment or designa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ommissioner of the Forest Service or the local government.
      Second, the delivery system should be built around the right to lif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versification of financing, expansion of linkage agencies, development of forest resources, specialization according to delivery methods such as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private initiatives, and types of service provision (competition and consignment business type, institutional connection type, social service voucher connection type, private self-reliance type) It is necessary to secure competitiveness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social service, such as program operation and professional manpower system.
      Through this study,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workforce and the delivery system, and the value as an interpersonal service was expanded.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struction of this plan re-examined not only academic research but also practical roles from a personal, organizational, and local social perspectiv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est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번역하기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desires to use nature and forest for rehabilitation and well-being as well. Howev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use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and to participate forest therapy prog...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desires to use nature and forest for rehabilitation and well-being as well. Howev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use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and to participate forest therapy programs for their rehabilitation and well-being. In 2019, only 4.5%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forest therapy programs funded from Korea Forest Welfare Promotion A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ction plan to implement effectiv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tilizing forest resources in the community. A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as employed for
      collecting data. specificall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follows.
      In the theoretical stage, literature including policy and previous empirical studies were reviewed and quantitatively documented. Then, frequency and cross-analysis were used to derive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eld stage, surveys with 125 participants to obtain current statu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 with 12 experts was conducted to derive a plan to improv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d field-level analyses, the study suggests the forest welfare service action pla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iversify the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must be linked with educa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Therefore, the contents of service provision are diversified by linking support goals, related rehabilitation services, arbitration methods, and forest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areas such as health support, education and social psycho-
      logical rehabilit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family support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people wh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in-depth training course is established. It aims to improve theoretical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The education area is composed of subject understanding, program ope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education system is centered on the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and suppor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dvisory system and related agencies in order to ensure continuous and regular education.
      Third, to improve the forest welfare delivery syste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ublic-private academic network is established. Through a network of public and private academia, a system for exchanging interactions and resources between organizations such as forest welfare service infrastructur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related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cooperation system, service content development,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consulting is established.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education and social service promotion policies are linked and continuity, accessibility, integration, adequacy, professionalism, systemicity, and comprehensiveness are improved according to the delivery system principle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mmunity-based forest welfare support center is proposed. The Forest Welfare Support Center will be an institution or organization with appropriate facilities and skilled workers, and the establishment or designa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ommissioner of the Forest Service or the local government.
      Second, the delivery system should be built around the right to lif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versification of financing, expansion of linkage agencies, development of forest resources, specialization according to delivery methods such as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private initiatives, and types of service provision (competition and consignment business type, institutional connection type, social service voucher connection type, private self-reliance type) It is necessary to secure competitiveness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social service, such as program operation and professional manpower system.
      Through this study,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workforce and the delivery system, and the value as an interpersonal service was expanded.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struction of this plan re-examined not only academic research but also practical roles from a personal, organizational, and local social perspectiv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est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인도 자연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숲은 장애인에게 재활적 의미뿐만 아니라 웰빙과 활력의 필수 요소가 된다. 그러나 자기 권리 옹호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은 산림복지서비스 시설에 대한 접근성과 장애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산림휴양시설 이용객은 1,533만 명이며 산림교육 수혜인원은 483만 명이다. 치유의 숲 방문자는 168만 명이고 프로그램 이용자는 27만 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장애인의 산림휴양시설 이용객은 18만 명이며 산림교육 수혜인원은 3천 명이다. 2019년 한국 산림복지진흥원의 녹색자금 사업 중 발달장애인의 수혜인원은 1만 명으로 전체 발달장애인의 4.5%만 혜택을 받아 산림복지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내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가 효과적, 효율적으로 제공되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서비스 실천영역을 서비스 제공 내용, 제공 인력의 전문성, 전달체계로 규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적,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혼합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방법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단계에서는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를 양적 자료화 하였으며 빈도, 교차 분석하여 발달장애인의 산림복지서비스 구성요소와 내용을 도출하였다. 현장단계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판단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총125부)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양적자료를 빈도, 교차, 척도분석 하여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심층면접, 포커스 그룹 인터뷰(12명)를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를 근거이론에 따라 개방 코딩하여 발달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론과 현장단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종단계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내용의 다양화를 위해 교육과 사회재활서비스와 연계한다. 이에 발달장애인의 건강지원, 교육 및 사회심리재활, 직업재활, 가족지원 등의 영역에 따라 지원목표, 연계재활서비스, 중재방법, 산림복지서비스 연계하여 서비스 제공 내용을 다양화 한다.
      둘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장애 심화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이론적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교육영역은 대상자 이해,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함양 영역으로 구성한다. 또한, 지속적, 상시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정부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하며 자문시스템과 유관기관 과의 연계를 지원한다.
      셋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 전달체계 개선을 위해 민관학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민관학계 네트워크를 통해, 산림복지서비스 기반구축, 정보체계구축, 유관 부처 및 기관 협력체계, 서비스 콘텐츠 개발, 전문 인력 양성, 컨설팅 등 조직 간 상호작용과 자원을 교환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효율적인 전달체계를 구축을 위해 교육과 사회서비스 추진정책을 연계하고 전달 체계 원칙에 따라 지속성, 접근성, 통합성, 적절성, 전문성, 체계성, 포괄성 등을 개선한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단위 거점형 산림복지 지원센터를 제안한다. 산림복지 지원센터는 적절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춘 기관 또는 단체가 될 것이며 설치 또는 지정은 산림청장 또는 지자체장이 정한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민관협력과 민간주도 등 전달방식과 서비스 제공유형(공모 및 위탁 사업형, 기관 연계형, 사회서비스 바우처 연계형, 민간 자립형)에 따라 재원 마련의 다양화, 연계 기관 확대, 산림자원개발, 전문화된 프로그램 운영, 전문 인력체계 등 사회서비스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내용과 제공인력, 전달체계 측면에서 실천방안 제안하였으며 대인서비스로서의 가치를 확대시켰다. 이러한 방안 구축은 학문적 연구뿐 아니라 실천적 역할을 개인적, 조직적, 지역 사회적 관점에서 재조명 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가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장애인도 자연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숲은 장애인에게 재활적 의미뿐만 아니라 웰빙과 활력의 필수 요소가 된다. 그러나 자기 권리 옹호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은 산림...

      장애인도 자연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숲은 장애인에게 재활적 의미뿐만 아니라 웰빙과 활력의 필수 요소가 된다. 그러나 자기 권리 옹호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은 산림복지서비스 시설에 대한 접근성과 장애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산림휴양시설 이용객은 1,533만 명이며 산림교육 수혜인원은 483만 명이다. 치유의 숲 방문자는 168만 명이고 프로그램 이용자는 27만 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장애인의 산림휴양시설 이용객은 18만 명이며 산림교육 수혜인원은 3천 명이다. 2019년 한국 산림복지진흥원의 녹색자금 사업 중 발달장애인의 수혜인원은 1만 명으로 전체 발달장애인의 4.5%만 혜택을 받아 산림복지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내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가 효과적, 효율적으로 제공되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서비스 실천영역을 서비스 제공 내용, 제공 인력의 전문성, 전달체계로 규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적,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혼합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방법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단계에서는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를 양적 자료화 하였으며 빈도, 교차 분석하여 발달장애인의 산림복지서비스 구성요소와 내용을 도출하였다. 현장단계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판단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총125부)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양적자료를 빈도, 교차, 척도분석 하여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심층면접, 포커스 그룹 인터뷰(12명)를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를 근거이론에 따라 개방 코딩하여 발달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론과 현장단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종단계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내용의 다양화를 위해 교육과 사회재활서비스와 연계한다. 이에 발달장애인의 건강지원, 교육 및 사회심리재활, 직업재활, 가족지원 등의 영역에 따라 지원목표, 연계재활서비스, 중재방법, 산림복지서비스 연계하여 서비스 제공 내용을 다양화 한다.
      둘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장애 심화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이론적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교육영역은 대상자 이해,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함양 영역으로 구성한다. 또한, 지속적, 상시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정부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하며 자문시스템과 유관기관 과의 연계를 지원한다.
      셋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 전달체계 개선을 위해 민관학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민관학계 네트워크를 통해, 산림복지서비스 기반구축, 정보체계구축, 유관 부처 및 기관 협력체계, 서비스 콘텐츠 개발, 전문 인력 양성, 컨설팅 등 조직 간 상호작용과 자원을 교환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효율적인 전달체계를 구축을 위해 교육과 사회서비스 추진정책을 연계하고 전달 체계 원칙에 따라 지속성, 접근성, 통합성, 적절성, 전문성, 체계성, 포괄성 등을 개선한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단위 거점형 산림복지 지원센터를 제안한다. 산림복지 지원센터는 적절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춘 기관 또는 단체가 될 것이며 설치 또는 지정은 산림청장 또는 지자체장이 정한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민관협력과 민간주도 등 전달방식과 서비스 제공유형(공모 및 위탁 사업형, 기관 연계형, 사회서비스 바우처 연계형, 민간 자립형)에 따라 재원 마련의 다양화, 연계 기관 확대, 산림자원개발, 전문화된 프로그램 운영, 전문 인력체계 등 사회서비스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내용과 제공인력, 전달체계 측면에서 실천방안 제안하였으며 대인서비스로서의 가치를 확대시켰다. 이러한 방안 구축은 학문적 연구뿐 아니라 실천적 역할을 개인적, 조직적, 지역 사회적 관점에서 재조명 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가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3. 용어의 정리 5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5
      • 3. 용어의 정리 5
      • Ⅱ. 이론적 배경 7
      • 1. 발달장애인의 사회서비스 7
      • (1) 발달장애인의 개념과 특성 7
      • (2) 발달장애인의 생애주기별 사회서비스 14
      • (3) 발달장애인 사회서비스 전달체계 24
      • 2. 산림복지서비스 30
      • (1) 산림복지서비스의 개념 30
      • (2) 산림복지 유사개념 36
      • (3) 산림복지서비스 실천 유사개념 42
      • (4)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50
      • 3. 국내 선행 연구 54
      • (1) 정책 및 운영방안연구 54
      • (2)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서비스 연구 동향 58
      • 4. 국외 선행 연구 87
      • (1) 정책 및 운영방안연구 87
      • (2)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서비스 연구 동향 91
      • Ⅲ. 연구 방법 97
      • 1. 연구 설계 97
      • 2. 자료수집 및 분석 방법 98
      • (1) 선행연구 수집 및 분석 방법 100
      • (2) 산림복지서비스 제공현황 설문조사 및 분석 방법 102
      • (3) 산림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인터뷰 및 분석 방법 104
      • Ⅳ. 결과 및 고찰 108
      • 1.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구성요소와 내용 108
      • (1) 선행연구 대상자 분석 108 (2) 중재기관과 활동구성 분석 110
      • (3) 활동 목표 분석 113
      • (4) 중재 활동 분석 116
      • (5)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구성요소와 내용 119
      • 2.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현황 125
      • (1) 운영자 및 실행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25
      • (2) 산림복지서비스 기관 유형 및 역할 127
      • (3) 산림복지서비스 및 사회서비스 인식 실태 129
      • (4) 산림복지서비스 기관 운영 132
      • (5) 산림복지서비스 기획 및 실행 제공현황 135
      • 3.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개선방안 인터뷰 148
      • (1) 재원마련의 다양화 151
      • (2) 인력 전문성 강화 152
      • (3) 기관 및 인적자원 협력 방안 154
      • (4) 프로그램 적절성 강화 156
      • (5) 접근성 확대 159
      • 4.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실천방안 161
      • (1)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내용의 다양화 방안 161
      • (2)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인력의 전문성 강화 방안 169
      • (3)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실행방안 173
      • Ⅴ. 결론 및 제언 184
      • 1. 결론 184
      • 2. 실천적 제언 187
      • Ⅵ 참고문헌 190
      • 부록 설문지 202
      • 부록 연구 대상 논문 목록 21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예치료, 최영애, 학지사, , 2003

      2. 자폐장애, 조수철, 김붕년, 김다정, 김은영, 김수진, 서울: 학지사, , 2011

      3. 장애인복지론, 이중엽, 서울: 공동체, , 2017

      4. 발달장애심리학, 서수정, 허묘연, 이경숙, 장은진, 박량규, 김태련, 김도연, 조현섭, 정은정, 김경은, 강우선, 양혜영, 김문주, 서울, 학지사, , 2004

      5. 2018 장애통계연보, 김용진, 왕영민, 조윤화, 오윤지, 김태용, 한국장애인개발원, , 2018

      6. 2019 임업통계연보,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9

      7. 산림복지 종합계획,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3

      8. 정신지체의 개념화, 박승희, 신현기, 서울: 교육과학사, , 2003

      9. 특수아동교육 (3판), 이소현, 박은혜, 학지사, , 2011

      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연정, 유범상,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9

      1. 원예치료, 최영애, 학지사, , 2003

      2. 자폐장애, 조수철, 김붕년, 김다정, 김은영, 김수진, 서울: 학지사, , 2011

      3. 장애인복지론, 이중엽, 서울: 공동체, , 2017

      4. 발달장애심리학, 서수정, 허묘연, 이경숙, 장은진, 박량규, 김태련, 김도연, 조현섭, 정은정, 김경은, 강우선, 양혜영, 김문주, 서울, 학지사, , 2004

      5. 2018 장애통계연보, 김용진, 왕영민, 조윤화, 오윤지, 김태용, 한국장애인개발원, , 2018

      6. 2019 임업통계연보,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9

      7. 산림복지 종합계획,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3

      8. 정신지체의 개념화, 박승희, 신현기, 서울: 교육과학사, , 2003

      9. 특수아동교육 (3판), 이소현, 박은혜, 학지사, , 2011

      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연정, 유범상,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9

      11.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최성재, 남기민, 나남, , 2016

      12.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보건복지부, 국가법령정보센터, , 2018

      13. 자폐스펙트럼장애 A to Z, 신석호, 양문봉, 서울, 학지사, , 2016

      14. 미래의 복지는 환경복지, 송미영, 이정임, 김동영, 고재경, 강상준, 이양주, 경기 개발연구원 제 35호 이슈 & 진단, , 2012

      15. 질적연구방법론 Ⅱ: methods, 김영천,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 2013

      16.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8

      17. 장애인복지와 실천의 이해, 오혜경, 서울; 창지사, , 2018

      18.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5

      19. 산림복지진흥계획(2018∼2022),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7

      20. 원예치료 : 식물, 인간, 환경, 백기엽, 허북구, 배공영, 손기철, 박석근, 이상훈, 부희옥, 서울, 서원, , 1997

      21. 산림복지의 산림경영적 이해, 정재훈, 김통일, 김재준, 김기원, 심지영, 유리화, 김종성,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13(11), 53-56, , 2013

      22. 사회적 농업 : 패러다임의 전환, 임지은, 임송수,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 2017

      23. 산림복지 개념정립에 관한연구, 최승호, 조계중, 한국산림휴양학회, 18(1), 79-83, , 2014

      24. 교육과정에서 Mixed Approach의 적용, 이현철, 한국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 2009

      25. 생태복지 개념 및 적용모델 개발, 보건복지부, , 2009

      26. 치유농업 정착을 위한 전략 개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3

      27. 발달장애인 생애주기별 종합대책, 보건복지부, , 2018

      28. 장애인등록현황 (2017년 12월 기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현황 자료, , 2018

      29. 2019년 장애아동가족지원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 2019

      30. 생태복지의 개념 및 적용모델 개발, 강민아, 안선영, 김길원, 최명민, 정부희, 이성진, 최재천, 양옥경, 김태원, 하은희, 서해정, 박영철, 한경덕, 전중환, 이화여자대학교 산업협력단, 보건복지부, , 2009

      31. 지정 장애인 평생계획에 관한 연구, 조미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32.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체계 구축계획,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09

      33. 산림복지서비스의 정책화 방안 연구, 정재훈, 한국정책학회 한국지방정부학회 공동국제학술대회. 57-76, , 2015

      34.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교육의 실제, 이성봉, 김은경, 이경면, 이병혁, 신현기, 서울, 시그마프레스, , 2014

      35. 장애인 정책 종합계획(2018년∼2022년), 보건복지부, , 2018

      36. 2019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 2019

      37. 산림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개발 연구, 김동진, 이주희, 한광용, 안만홍, 조계중, 박범진, 최승호, 김혜선, 박옥임, 산림청, , 2011

      38. 산림복지서비스 민간산업화 방안연구, 이주영, 한상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산림청, , 2016

      39. DSM-5에 준하여 새롭게 쓴 소아정신의학, 홍강의, 서울, 학지사, , 2014

      40. 발달장애인 복지전달체계 구축방안연구, 황주희, 김용진, 김용득, 오다은, 박혜미, 세종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7

      41.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한 법률 제정 방향, 이상미, 이상미, 위태석, 김경미, 박동금, 정선희, 전순진, 농촌진흥원, , 2016

      4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과제, 박영숙, 교정복지연구, 15, 47-63, , 2009

      43. 생애주기별 장애인의 복지욕구 분석연구, 권선진, 김성희, 강종건, 변용찬, 윤상용, 조흥식, 최승희, 조성열, 한국보건사회연구, , 2006

      44. 발달장애인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보건복지부, 국가법령정보센터, , 2014

      45. 2019년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 2019

      46. 생태주의 관점에서 복지국가의 비판적 고찰, 정지웅,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 학술대회, 448-451, , 2008

      47. Outline of horticultural therapy in korea its specialization, 손기철, 원예치료 국제 심포지엄, 5-21, , 2006

      48. 산림청, 숲을 이용한 건강 치유프로그램 개발,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1

      49. 원예치요의 이론과 실제(노인 중심으로 엮은), 곽혜란, 김희성, 이은희, 서울, 서울 여자대학교출판부, , 2003

      5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서울, 학지사, , 2016

      51.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과 효과성에 대한연구, 유란희, 지방정부 연구 22(2), 147-172, , 2018

      52. 슈퍼비전 교육: Several problems of horticultural therapy, 손기철, 한국원예 치료복지협회, , 2009

      53. 장애인 나눔의 숲체험 프로그램 운영방안 연구, 김은아, 유명화, 김정열, 장선희, 한국녹색문화재단, , 2005

      54. 산림복지 추진체계 및 모니터닝 기법 개발 연구, 김기원, 김통일, 서정석, 김재준, 이보람, 정채훈, 유리화, 국림산림과학원, , 2014

      55. 서울시 발달장애인 생애주기별 욕구와 정책과제, 장동열, 김승연, 서울연구원, , 2017

      56. 전자바우처 도입과 사회서비스산업의 구조 변화, 고대영, 조현승, 박문수, 보건복지부, , 2012

      57. 장애인가족 대상 숲체험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김은아, 고려대학교 생명 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58. ?김통일, 복지, 여가시대 산림의 역할과 정책 방안, 김성일, 국토연구원 381호, 31-39, , 2013

      59. 산림복지서비스의 국가복지시스템 통합 방안 연구, 정재훈, 문채영, 김기원, 김통일, 김재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1), 43-55, , 2016

      60. 산림복지 지원을 위한 산지관리제도 기반 구축 연구, 채미옥, 권영섭, 김상조, 양진홍, 안영아, 대전, 산림청, , 2012

      61. DSM-5에 나타난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쟁점과 과제, 문장원, 정병종, 정서 행동장애연구, 34(3), 251-270, , 2018

      62.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와 재정지원방식에 관한연구, 장승조, 윤영진, 김은정, 지은구, 보건복지가족부, , 2008

      63. 문헌분석을 통한 국내산림치유와 원예치료의 특성비교, 최민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64.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발전방향 연구 최종보고서, 김정희, 김용득, 강정배, 강동기, 송기호, 임수경, 이혜경,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 , 2016

      65.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 방안 :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김동주, 이민경, 강민희, 정희경, 심석순, 김성희, 황주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3

      66. ?김재준, 숲에서 찾은 국민행복, 산림복지 : 현황 및 과제, 유리화, KFRI 산림 정책이슈 제 38호, , 2015

      67. 발달장애인 통합적 복지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박희찬, 황주희, 심석순, 김미옥, 최복천, 오다은, 변용찬, 세종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6

      68. 노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이정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69. 산림의 공익적 가치 공유를 위한 실천적 제안: 장애인과 숲, 최승오, 배종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1(3), 71-82, , 2013

      70.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 제공인력의 근로실태 정책과제, 박선미, 이인수, 김은하, 서울: 서울보장정보원, , 2018

      71. 자폐성 장애의 특성을 반영한 특수 교육 운영 모델 개발 연구, 이영선, 이효정, 윤선아, 이소현, 박현옥, 인천: 인천광역시교육청, , 2016

      72. 2020년도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제공계획 및 19년 녹색자금평가, 산림청, 대전, 한국산림복지진흥원, , 2019

      73. 숲을 통해 국민 행동, 희망의 새시대를 여는 산림복지종합계획,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3

      74. 발달장애인활동지원 등을 위한 욕구조사 및 정책활동 수립연구, 강상경, 김진우, 조홍식, 윤민석, 김용득, 박희찬, 이준영,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 2011

      75.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의 개념화와 특수교육의 생태적 전환, 정국초, 한국 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p.126-129. 7월14일, , 2012

      76.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행동특성 개선을 위한 원예치료 적용, 이예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77. 2018 자폐스펙트럼 심포지엄: 자폐스펙트럼 장애 연구의 현재와 미래, 유희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 2018

      78. 원예치료활동이 생활시설 정신지체 여성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진희, 가톨릭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79. 장애인의 국립수목원 이용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활성화 방안, 이주희, 박정아, 임연진, 주진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3), 9-25, , 2009

      80. 지적장애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경험 및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이은미, 백은령,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4(2), 63-91, , 2010

      81. 성인 지적 장애인을 돌보는 노부모 가족의 부양부담과 노후에 대한 연구, 이영지,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8

      82. ‘지역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우수명,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83. 네덜란드 그린케어 및 케처 팜 정책사례와 시사점. 국제산림 정책토픽 (55), 김성학, 장주연, 국립산림과학원, , 2017

      84.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연구, 선필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10

      85. ?박은경?권민형?한민정, 청각ㆍ지적 장애인 대상 산림체험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임연진,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10(10) 18-21, , 2010

      86. ?이정희, 사회서비스와 연계를 통한 산림치유 확대방안. NIFOS 산림 정책이슈 제93호, 유리화, 국립산림과학원, , 2017

      87. 공공서비스 이용의 최적화를 위한 복지전달체계연구 (Ⅰ)-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이정은, 하태정, 안수란, 김동진, 길현종, 권영빈, 함영진, 김효진, 강혜규, 유애정, 김보영, 최복천, 이주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7

      88. 발달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치료를 위한 유비쿼터스 기반 숲 체험학습 구현요건탐색, 김지수,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89. 공공복지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로서의 공원녹지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를 사례로, 구본학,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4

      90.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유럽의 녹색돌봄 사업과 캠프힐 장애인공동체 : 2012 발달장애인 국제 워크숍, 이종길, 인경기도직업개발연구센터, 장애인녹색사업 협의체. 5-26, , 2012

      91. 녹색사회복지에 대한 성찰과 탐구 Lena Dominelli의 “Green Social Work”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김영화, 20(1), 18 207, , 2018

      92. 치유농업과 연계 가능한 지역사회 서비스 사업: 체감형 치유농업 사업화 전략 및 실용화 사례 세미나, 이중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59- 69, , 2019

      93. 장애아동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연구Ⅱ: 장애아동Ⅱ 청소년의 가족지원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유영준, 이명희, 백은영, 최복천,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 2010

      94. 성인 지적 장애인의 일상생활 능력(IADL)과 거주형태가 부모 가족의 부양부담에 치미는 영향- 강원도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김무형, 서강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