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예치료, 최영애, 학지사, , 2003
2. 자폐장애, 조수철, 김붕년, 김다정, 김은영, 김수진, 서울: 학지사, , 2011
3. 장애인복지론, 이중엽, 서울: 공동체, , 2017
4. 발달장애심리학, 서수정, 허묘연, 이경숙, 장은진, 박량규, 김태련, 김도연, 조현섭, 정은정, 김경은, 강우선, 양혜영, 김문주, 서울, 학지사, , 2004
5. 2018 장애통계연보, 김용진, 왕영민, 조윤화, 오윤지, 김태용, 한국장애인개발원, , 2018
6. 2019 임업통계연보,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9
7. 산림복지 종합계획,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3
8. 정신지체의 개념화, 박승희, 신현기, 서울: 교육과학사, , 2003
9. 특수아동교육 (3판), 이소현, 박은혜, 학지사, , 2011
10.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정연정, 유범상,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 2019
11. 사회복지행정론 서울, 최성재, 남기민, 나남, , 2016
12.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보건복지부, 국가법령정보센터, , 2018
13. 자폐스펙트럼장애 A to Z, 신석호, 양문봉, 서울, 학지사, , 2016
14. 미래의 복지는 환경복지, 송미영, 이정임, 김동영, 고재경, 강상준, 이양주, 경기 개발연구원 제 35호 이슈 & 진단, , 2012
15. 질적연구방법론 Ⅱ: methods, 김영천,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 2013
16.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8
17. 장애인복지와 실천의 이해, 오혜경, 서울; 창지사, , 2018
18.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5
19. 산림복지진흥계획(2018∼2022),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7
20. 원예치료 : 식물, 인간, 환경, 백기엽, 허북구, 배공영, 손기철, 박석근, 이상훈, 부희옥, 서울, 서원, , 1997
21. 산림복지의 산림경영적 이해, 정재훈, 김통일, 김재준, 김기원, 심지영, 유리화, 김종성,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13(11), 53-56, , 2013
22. 사회적 농업 : 패러다임의 전환, 임지은, 임송수, 한국농촌경제 연구원, , 2017
23. 산림복지 개념정립에 관한연구, 최승호, 조계중, 한국산림휴양학회, 18(1), 79-83, , 2014
24. 교육과정에서 Mixed Approach의 적용, 이현철, 한국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 2009
25. 생태복지 개념 및 적용모델 개발, 보건복지부, , 2009
26. 치유농업 정착을 위한 전략 개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2013
27. 발달장애인 생애주기별 종합대책, 보건복지부, , 2018
28. 장애인등록현황 (2017년 12월 기준),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현황 자료, , 2018
29. 2019년 장애아동가족지원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 2019
30. 생태복지의 개념 및 적용모델 개발, 강민아, 안선영, 김길원, 최명민, 정부희, 이성진, 최재천, 양옥경, 김태원, 하은희, 서해정, 박영철, 한경덕, 전중환, 이화여자대학교 산업협력단, 보건복지부, , 2009
31. 지정 장애인 평생계획에 관한 연구, 조미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32. 생애주기별 산림복지체계 구축계획,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09
33. 산림복지서비스의 정책화 방안 연구, 정재훈, 한국정책학회 한국지방정부학회 공동국제학술대회. 57-76, , 2015
34.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교육의 실제, 이성봉, 김은경, 이경면, 이병혁, 신현기, 서울, 시그마프레스, , 2014
35. 장애인 정책 종합계획(2018년∼2022년), 보건복지부, , 2018
36. 2019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안내, 보건복지부, , 2019
37. 산림복지 개념정립 및 정책개발 연구, 김동진, 이주희, 한광용, 안만홍, 조계중, 박범진, 최승호, 김혜선, 박옥임, 산림청, , 2011
38. 산림복지서비스 민간산업화 방안연구, 이주영, 한상렬,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산림청, , 2016
39. DSM-5에 준하여 새롭게 쓴 소아정신의학, 홍강의, 서울, 학지사, , 2014
40. 발달장애인 복지전달체계 구축방안연구, 황주희, 김용진, 김용득, 오다은, 박혜미, 세종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7
41. 치유농업 활성화를 위한 법률 제정 방향, 이상미, 이상미, 위태석, 김경미, 박동금, 정선희, 전순진, 농촌진흥원, , 2016
42.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과제, 박영숙, 교정복지연구, 15, 47-63, , 2009
43. 생애주기별 장애인의 복지욕구 분석연구, 권선진, 김성희, 강종건, 변용찬, 윤상용, 조흥식, 최승희, 조성열, 한국보건사회연구, , 2006
44. 발달장애인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보건복지부, 국가법령정보센터, , 2014
45. 2019년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 2019
46. 생태주의 관점에서 복지국가의 비판적 고찰, 정지웅, 한국사회복지학회 춘계 학술대회, 448-451, , 2008
47. Outline of horticultural therapy in korea its specialization, 손기철, 원예치료 국제 심포지엄, 5-21, , 2006
48. 산림청, 숲을 이용한 건강 치유프로그램 개발,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1
49. 원예치요의 이론과 실제(노인 중심으로 엮은), 곽혜란, 김희성, 이은희, 서울, 서울 여자대학교출판부, , 2003
5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서울, 학지사, , 2016
51. 네트워크 거버넌스 유형과 효과성에 대한연구, 유란희, 지방정부 연구 22(2), 147-172, , 2018
52. 슈퍼비전 교육: Several problems of horticultural therapy, 손기철, 한국원예 치료복지협회, , 2009
53. 장애인 나눔의 숲체험 프로그램 운영방안 연구, 김은아, 유명화, 김정열, 장선희, 한국녹색문화재단, , 2005
54. 산림복지 추진체계 및 모니터닝 기법 개발 연구, 김기원, 김통일, 서정석, 김재준, 이보람, 정채훈, 유리화, 국림산림과학원, , 2014
55. 서울시 발달장애인 생애주기별 욕구와 정책과제, 장동열, 김승연, 서울연구원, , 2017
56. 전자바우처 도입과 사회서비스산업의 구조 변화, 고대영, 조현승, 박문수, 보건복지부, , 2012
57. 장애인가족 대상 숲체험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김은아, 고려대학교 생명 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8
58. ?김통일, 복지, 여가시대 산림의 역할과 정책 방안, 김성일, 국토연구원 381호, 31-39, , 2013
59. 산림복지서비스의 국가복지시스템 통합 방안 연구, 정재훈, 문채영, 김기원, 김통일, 김재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20(1), 43-55, , 2016
60. 산림복지 지원을 위한 산지관리제도 기반 구축 연구, 채미옥, 권영섭, 김상조, 양진홍, 안영아, 대전, 산림청, , 2012
61. DSM-5에 나타난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한 쟁점과 과제, 문장원, 정병종, 정서 행동장애연구, 34(3), 251-270, , 2018
62.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체계와 재정지원방식에 관한연구, 장승조, 윤영진, 김은정, 지은구, 보건복지가족부, , 2008
63. 문헌분석을 통한 국내산림치유와 원예치료의 특성비교, 최민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6
64.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발전방향 연구 최종보고서, 김정희, 김용득, 강정배, 강동기, 송기호, 임수경, 이혜경,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 , 2016
65. 장애인의 자립생활 지원 방안 : 발달장애인을 중심으로, 김동주, 이민경, 강민희, 정희경, 심석순, 김성희, 황주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3
66. ?김재준, 숲에서 찾은 국민행복, 산림복지 : 현황 및 과제, 유리화, KFRI 산림 정책이슈 제 38호, , 2015
67. 발달장애인 통합적 복지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박희찬, 황주희, 심석순, 김미옥, 최복천, 오다은, 변용찬, 세종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6
68. 노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 결정요인에 관한연구, 이정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69. 산림의 공익적 가치 공유를 위한 실천적 제안: 장애인과 숲, 최승오, 배종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1(3), 71-82, , 2013
70.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 제공인력의 근로실태 정책과제, 박선미, 이인수, 김은하, 서울: 서울보장정보원, , 2018
71. 자폐성 장애의 특성을 반영한 특수 교육 운영 모델 개발 연구, 이영선, 이효정, 윤선아, 이소현, 박현옥, 인천: 인천광역시교육청, , 2016
72. 2020년도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제공계획 및 19년 녹색자금평가, 산림청, 대전, 한국산림복지진흥원, , 2019
73. 숲을 통해 국민 행동, 희망의 새시대를 여는 산림복지종합계획, 산림청, 대전, 산림청, , 2013
74. 발달장애인활동지원 등을 위한 욕구조사 및 정책활동 수립연구, 강상경, 김진우, 조홍식, 윤민석, 김용득, 박희찬, 이준영,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보건복지부, , 2011
75. 장애학생을 위한 환경교육의 개념화와 특수교육의 생태적 전환, 정국초, 한국 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pp.126-129. 7월14일, , 2012
76. 청소년기 지적장애 학생들의 행동특성 개선을 위한 원예치료 적용, 이예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77. 2018 자폐스펙트럼 심포지엄: 자폐스펙트럼 장애 연구의 현재와 미래, 유희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 2018
78. 원예치료활동이 생활시설 정신지체 여성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진희, 가톨릭대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6
79. 장애인의 국립수목원 이용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활성화 방안, 이주희, 박정아, 임연진, 주진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3(3), 9-25, , 2009
80. 지적장애자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가족경험 및 지원 욕구에 관한 연구, 이은미, 백은령,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4(2), 63-91, , 2010
81. 성인 지적 장애인을 돌보는 노부모 가족의 부양부담과 노후에 대한 연구, 이영지,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2008
82. ‘지역사회복지 관련 조직간 네트워크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우수명,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83. 네덜란드 그린케어 및 케처 팜 정책사례와 시사점. 국제산림 정책토픽 (55), 김성학, 장주연, 국립산림과학원, , 2017
84. 다문화가정 청소년 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원칙과 효과성에 대한 인식 연구, 선필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2010
85. ?박은경?권민형?한민정, 청각ㆍ지적 장애인 대상 산림체험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임연진,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2010(10) 18-21, , 2010
86. ?이정희, 사회서비스와 연계를 통한 산림치유 확대방안. NIFOS 산림 정책이슈 제93호, 유리화, 국립산림과학원, , 2017
87. 공공서비스 이용의 최적화를 위한 복지전달체계연구 (Ⅰ)-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이정은, 하태정, 안수란, 김동진, 길현종, 권영빈, 함영진, 김효진, 강혜규, 유애정, 김보영, 최복천, 이주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17
88. 발달장애 아동의 감각통합치료를 위한 유비쿼터스 기반 숲 체험학습 구현요건탐색, 김지수,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89. 공공복지를 고려한 생태계서비스로서의 공원녹지 정책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북구를 사례로, 구본학,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4
90. 성인발달장애인을 위한 유럽의 녹색돌봄 사업과 캠프힐 장애인공동체 : 2012 발달장애인 국제 워크숍, 이종길, 인경기도직업개발연구센터, 장애인녹색사업 협의체. 5-26, , 2012
91. 녹색사회복지에 대한 성찰과 탐구 Lena Dominelli의 “Green Social Work”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김영화, 20(1), 18 207, , 2018
92. 치유농업과 연계 가능한 지역사회 서비스 사업: 체감형 치유농업 사업화 전략 및 실용화 사례 세미나, 이중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59- 69, , 2019
93. 장애아동 청소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연구Ⅱ: 장애아동Ⅱ 청소년의 가족지원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유영준, 이명희, 백은영, 최복천,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 2010
94. 성인 지적 장애인의 일상생활 능력(IADL)과 거주형태가 부모 가족의 부양부담에 치미는 영향- 강원도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김무형, 서강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