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蕨手型 有刺利器의 變遷과 意味 = A Study on the Egged Tool with Barbs of the Eastern Nakdong River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897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gged tool with barbs’ is generally known as an iron artifact which has a wooden bar socket at the bottom, bracken, spine or bird decorations, and which is symmetrically edged with rectangular iron plates. The bracken decoration appeared unde...

      The ‘egged tool with barbs’ is generally known as an iron artifact which has a wooden bar socket at the bottom, bracken, spine or bird decorations, and which is symmetrically edged with rectangular iron plates. The bracken decoration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bronzeware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first use of decorative bracken on an iron object was its application to harnesses in the wooden coffin tomb stage. Subsequently, upon entering the wooden chamber tomb stage, the decorative bracken was used for ritual objects and was gradually extended to a variety of artifact types.
      The ornaments attached to the body of the egged tool with barbs could be sorted into those shaped like a bracken or those shaped like a spine. Egged tools with barbs with decorative bracken were distributed mainly in the eastern region of the Nakdong River.
      The egged tools with barbs originated from flat iron axes around the 3rd century CE. From 4th century, iron ingots were used in the egged tools with barbs, and the changes observed in egged tools with barbs showed a certain direction of development. In this article, the diachronic change of egged tools with barbs using iron ingots is presented through a stylistic study.
      Three time-sensitive attributes were extracted for chronological recording. The chronological recording consisted of 7 stages and time of appearance, and showed a similar pattern of change with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earthen wares or ancient tombs.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e efficacy of this classification in the chronological recording of iron wares, but not earthen wa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관념과 제의(祭儀)" 한국역사연구회 32 : 1999

      2 宋桂鉉, "전쟁의 양상과 사회의 변화 , 고대의 전쟁과 무기" 2001

      3 이재현, "영남지역 출토 삼한시기 倣製鏡의 文樣과 의미" 한국고고학회 53 : 33-58, 2004

      4 박진욱, "신라의 가시가 돋친 무기에 대한 약간의 고찰" 4 : 1963

      5 김길식, "삼한지역 출토 낙랑계 문물" 國立中央博物館 2001

      6 이상율, "삼한시대 표비의 수용과 획기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2 (62): 85-106, 2008

      7 류위남, "삼한시대 영남지역 출토 주조철부와 판상철부 연구" 영남고고학회 (51) : 61-108, 2009

      8 오수지, "살포의 기능과 상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9 洪潽植, "농기구와 부장유형–영남지역의 2세기 후반~4세기대 분묘부장품을 대상으로-" 한국고고학회 44 : 2001

      10 우병철, "궐수형철기를 통해 본 진·변한 정치체의 상호작용 – 대등 정치체 상호작용 모델(peer polity interaction model)의 적용 -" 한국상고사학회 65 (65): 75-105, 2009

      1 권오영, "한국 고대의 새[鳥]관념과 제의(祭儀)" 한국역사연구회 32 : 1999

      2 宋桂鉉, "전쟁의 양상과 사회의 변화 , 고대의 전쟁과 무기" 2001

      3 이재현, "영남지역 출토 삼한시기 倣製鏡의 文樣과 의미" 한국고고학회 53 : 33-58, 2004

      4 박진욱, "신라의 가시가 돋친 무기에 대한 약간의 고찰" 4 : 1963

      5 김길식, "삼한지역 출토 낙랑계 문물" 國立中央博物館 2001

      6 이상율, "삼한시대 표비의 수용과 획기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상고사학회 62 (62): 85-106, 2008

      7 류위남, "삼한시대 영남지역 출토 주조철부와 판상철부 연구" 영남고고학회 (51) : 61-108, 2009

      8 오수지, "살포의 기능과 상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9

      9 洪潽植, "농기구와 부장유형–영남지역의 2세기 후반~4세기대 분묘부장품을 대상으로-" 한국고고학회 44 : 2001

      10 우병철, "궐수형철기를 통해 본 진·변한 정치체의 상호작용 – 대등 정치체 상호작용 모델(peer polity interaction model)의 적용 -" 한국상고사학회 65 (65): 75-105, 2009

      11 김도헌, "고대의 판상철부에 대한 검토-영남지역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53 : 59-88, 2004

      12 김종찬, "가속기 질량분석[AMS]에 의한 탄소연대측정과 한국고고학 현장 적용 사례, 고고학과 자연 과학" 2006

      13 國立文化財硏究所, "韓國考古學事典" 학연문화사 2001

      14 東義大學校博物館, "金海良洞里古墳文化"

      15 李盛周, "辰・弁韓 鐵製武器의 樣相에 대한 몇 가지 檢討–起源期의 樣相과 變形過程을 中心으로" 영남고고학회 21 : 1997

      16 蔚山文化財硏究員, "蔚山中山洞古墳群"

      17 釜山大學校博物館, "蔚山下垈遺蹟–古墳 II"

      18 釜山大學校博物館, "蔚山下垈遺蹟–古墳 I"

      19 蔚山發展硏究院 文化財센터, "蔚山 茶雲洞 바 區域 遺蹟"

      20 昌原大學校博物館, "蔚山 中山里遺蹟 I"

      21 韓國文化財保護財團, "蔚山 下三政 古墳群 I"

      22 東潮, "第八章 有刺利器考 , 古代東アジアの鐵と倭" 溪水社 1998

      23 嶺南大學校博物館, "皇南洞古墳群發掘調査槪報"

      24 文化財管理局 文化財硏究所, "皇南大塚(南墳)"

      25 國立慶州博物館, "玉城里 古墳群–가地區–"

      26 慶尙北道文化財硏究院, "浦項 鶴川里遺蹟發掘調査報告書 I・II"

      27 嶺南文化財硏究院, "浦項 玉成里 古墳群 II–나地區–"

      28 李殷昌, "武器" 1972

      29 釜山大學校博物館, "東萊福泉洞古墳群 III"

      30 釜山大學校博物館, "東萊福泉洞古墳群 II"

      31 釜山大學校博物館, "東萊福泉洞古墳群 I"

      32 釜山直轄市立博物館, "東萊福泉洞53號墳"

      33 李在永, "有刺利器에대한 一硏究" 嶺南靑年考古學硏究會. 1 : 1989

      34 金榮珉, "有刺利器로 본 4~5세기의 福泉洞古墳群 ,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학연문화사 2000

      35 嶺南大學校博物館, "時至의 文化遺蹟 II~VII"

      36 金龍星, "新羅의 古冢과 地域集團–大邱・慶山의 例" 춘추각 1998

      37 國立慶州文化財硏究, "新羅古墳 基礎學術調査硏究 III–文獻・考古資料–"

      38 朝鮮總督府, "慶州金鈴塚飾履塚發掘調査報告" 1931

      39 國立慶州博物館, "慶州皇城洞遺蹟"

      40 慶州大學校博物館, "慶州皇城洞古墳群 III"

      41 國立慶州博物館, "慶州皇城洞古墳群"

      42 有光敎一, "慶州皇吾里26號墳發掘調査報告 , 朝鮮古蹟硏究會遺稿 I" 東洋文庫 2000

      43 朝鮮總督府, "慶州皇南里第百九號墳皇吾里第十四號墳調査報告" 1937

      44 國立慶州博物館, "慶州月城路古墳群"

      45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黃城洞 575番地 古墳群"

      46 國立中央博物館, "慶州 路東里 四號墳"

      47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舍羅里遺蹟 I–積石木槨墓・石槨墓–"

      48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舍羅里遺蹟 II–木棺墓・住居地–"

      49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舍羅里遺蹟 III–木槨墓・甕棺墓–"

      50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州 德泉里遺蹟 III–木槨墓–"

      51 國立慶州博物館, "慶州 仁旺洞 遺跡"

      52 國立慶州文化財硏究所, "慶州 仁旺洞 古墳群"

      53 國立慶州博物館, "慶州 九政洞 古墳"

      54 嶺南文化財硏究院, "慶山 林堂洞遺蹟 II~IV"

      55 嶺南大學校博物館,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IV–造永 EI號墳–"

      56 嶺南大學校博物館,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 IV–造永 CI・II號墳–"

      57 安在晧, "彌生 前期 中型壺의 編年 石軒 鄭澄元敎授 停年退任記念論叢"

      58 金訓熙, "嶺南地域 蕨手型 有刺利器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59 申東照, "嶺南地域 原三國時代 鐵斧와 鐵矛의 分布定型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60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西邊洞古墳群 I"

      61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盧邊洞古墳群 I–木槨墓–"

      62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佳川洞遺蹟"

      63 嶺南文化財硏究院, "大邱 不老洞古墳群發掘調査報告書–91・93號墳–"

      64 東潮, "古新羅 有刺利器考" 89 : 1978

      65 金榮珉, "儀器性 遺物로 본 福泉洞古墳群의 地域性 , 古代의 南東海岸 國家形成" 福 泉博物館 2006

      66 金榮珉, "伽倻地域 有刺利器의 性格과 意味 , 가야의 정신세계" 金海市學術委 員會. 2007

      67 徐姈男, "三韓・三國時代 鐵器의 儀器的 性格에 대한 일고찰–鐵矛와 有刺利器를 中心으로–" 伽倻文化硏究所 2 : 1997

      68 金基雄, "三國時代의 武器小考" 5 :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9 1.49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2 1.4 2.51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