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범죄자에 대한 性-適合 교정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gender-specific correctional programming for woman offen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9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creasing number of women and girls who are involved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correctional programs has prompted criminal justice professionals, especially probation officers to examine treating processes to meet female's unique characteristics, needs, empowerments and issues in terms of gender. Additionally, understanding of gender differences and needs in learning process, relationship with others, pathway to crime and life circumstance reflect the necessity of using gender-specific correctional programs.
      This paper provides a discussion of gender specific programming and presen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149 female offenders who are under probation supervision in Korea. To put the profiling into perspective, it is helpful to divide 149 woman offenders to 4 groups which consist of swindle, violence, property and teen aged juvenile delinquency. It appears that each group for gender-specific correctional program have their statistics in terms of runaway, smoking, residential district and social-economic characteristics.
      번역하기

      The increasing number of women and girls who are involved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correctional programs has prompted criminal justice professionals, especially probation officers to examine treating processes to meet female's unique charact...

      The increasing number of women and girls who are involved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correctional programs has prompted criminal justice professionals, especially probation officers to examine treating processes to meet female's unique characteristics, needs, empowerments and issues in terms of gender. Additionally, understanding of gender differences and needs in learning process, relationship with others, pathway to crime and life circumstance reflect the necessity of using gender-specific correctional programs.
      This paper provides a discussion of gender specific programming and presen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149 female offenders who are under probation supervision in Korea. To put the profiling into perspective, it is helpful to divide 149 woman offenders to 4 groups which consist of swindle, violence, property and teen aged juvenile delinquency. It appears that each group for gender-specific correctional program have their statistics in terms of runaway, smoking, residential district and social-economic characteristic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범죄자 고유의 특성과 욕구, 강점, 및 문제점에 기인하여 기존 남성중심의 교정처우와는 다른 성별 중심의 교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성과 남성의 차이점을 학습과정, 관계형성 방식, 범죄경로, 생활여건 측면에서 비교하면 여성범죄자를 위한 성-적합 교정 프로그램은 특히 타인 및 가족과의 관계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역사회 교정 측면에서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여성범죄자 149명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에 대한 성-적합 교정모형을 위한 기본원리를 제시하려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전체 여성범죄자를 10대 청소년집단과 사기횡령집단, 폭력집단, 절도집단 네 그룹으로 구분하여 프로파일한 결과 연령과 범죄유형에 따라 가출, 약물, 흡연, 거주지, 경제상황 등의 변수가 집단에 따라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합 교정모형 개발은 기본이념과 안전성(safety), 관계성(connection), 강점(empowerment)을 강조하는 환경여건, 그리고 인지정서행동 변화를 필요로 하는 운영기준, 성-적합 교정모형에 적합한 개별 평가 항목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된 성-적합 교정모형원리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교정 분야는 물론 향후 수강명령과 사회봉사명령과 같은 세부 집행 프로그램에서도 다양한 성-적합 교정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 평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여성범죄자 고유의 특성과 욕구, 강점, 및 문제점에 기인하여 기존 남성중심의 교정처우와는 다른 성별 중심의 교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성과 남성의 차이점을 학습과정, 관계형성...

      여성범죄자 고유의 특성과 욕구, 강점, 및 문제점에 기인하여 기존 남성중심의 교정처우와는 다른 성별 중심의 교정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여성과 남성의 차이점을 학습과정, 관계형성 방식, 범죄경로, 생활여건 측면에서 비교하면 여성범죄자를 위한 성-적합 교정 프로그램은 특히 타인 및 가족과의 관계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지역사회 교정 측면에서 더욱 중요하다 하겠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에서 보호관찰을 받고 있는 여성범죄자 149명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에 대한 성-적합 교정모형을 위한 기본원리를 제시하려는 의도로 진행되었다. 전체 여성범죄자를 10대 청소년집단과 사기횡령집단, 폭력집단, 절도집단 네 그룹으로 구분하여 프로파일한 결과 연령과 범죄유형에 따라 가출, 약물, 흡연, 거주지, 경제상황 등의 변수가 집단에 따라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합 교정모형 개발은 기본이념과 안전성(safety), 관계성(connection), 강점(empowerment)을 강조하는 환경여건, 그리고 인지정서행동 변화를 필요로 하는 운영기준, 성-적합 교정모형에 적합한 개별 평가 항목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화된 성-적합 교정모형원리에 근거하여 지역사회 교정 분야는 물론 향후 수강명령과 사회봉사명령과 같은 세부 집행 프로그램에서도 다양한 성-적합 교정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 평가,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여성범죄의 실태와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26 : 1998

      2 "여자비행청소년의 교정처우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3 "여성범죄의 현황과 원인대책" 6 : 1997

      4 "여성범죄에 관한 연구" 단국대 법학론총 24 2000

      5 "여성 폭력범죄의 특성 및 대책" (23) : 2004

      6 "보호관찰심사분석" 법무부 2002-2003

      7 "미국교정프로그램에 있어 성-인지적 접근 의 도입배경과 프로그램 사례" 한국교정학회 (14) : 2002

      8 "Women of color Processes of victimization and criminalization of black women" 153-156, 1990

      9 "Winning through participating" Press Gang Publishers 1989

      10 "The relational theory of wom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 Implication for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R. Zaplin(Ed.) Female crime and delinquency : Critical perspective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Aspen Publishers 1998

      1 "한국여성범죄의 실태와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26 : 1998

      2 "여자비행청소년의 교정처우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2

      3 "여성범죄의 현황과 원인대책" 6 : 1997

      4 "여성범죄에 관한 연구" 단국대 법학론총 24 2000

      5 "여성 폭력범죄의 특성 및 대책" (23) : 2004

      6 "보호관찰심사분석" 법무부 2002-2003

      7 "미국교정프로그램에 있어 성-인지적 접근 의 도입배경과 프로그램 사례" 한국교정학회 (14) : 2002

      8 "Women of color Processes of victimization and criminalization of black women" 153-156, 1990

      9 "Winning through participating" Press Gang Publishers 1989

      10 "The relational theory of wom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 Implication for the criminal justice system. In R. Zaplin(Ed.) Female crime and delinquency : Critical perspective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Aspen Publishers 1998

      11 "The relational model of wom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 Implications for substance abuse. In S. Wilsnack & R. Wilsnack(Eds.), Gender and alcohol : Individual and social perspective" Rutgers University Press 335-351, 1997

      12 "The female offender : girls, woman and crime" Sage. 1997

      13 "New Directions in Feminist Crimi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Sociology of Law 18" 1-18, 1990

      14 "Moving toward juvenile justice and youth serving systems that address the distinct experience of the adolescent female" Gender Specific Services Work Group Report 1997

      15 "Intermediate Sanctions for Women Offenders. Oregon Criminal Justice Council and the Oregon Department of Corrections." Intermediate Sanctions for Female Offenders Policy Group 1995

      16 "In conflict with the law" 50-75, 1993

      17 "Helping women recover : A program for treating substance abuse addiction." Jossey-Bass 19991992

      18 "Girls, Delinquency and Juvenile Justice, (2nd ed.)." West.Wadsworth. 1998

      19 "Female offenders in the community An analysis of innovative strategies and programs National Institute of Corrections" 1992

      20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1995

      21 "Disparity based on sex : Is gender-specific treatment warranted? Paper presented at the Academy of Criminal Justice Sciences Annual Meeting" Albuquerque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4-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s Service KCI등재
      2016-04-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矯正硏究 -> 교정연구
      외국어명 : Correction Review -> Corrections Review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12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