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19~1922년 황기환의 유럽에서의 한국독립운동 = Hwang Gi-hwan and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Europ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Europe was organized mainly by the Paris Commission formed for the Paris Peace Conference held after the WWI. Hwang Gi-hwan moved to the US in his teens and joined the US army during WWI. After the war, he joined the K...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Europe was organized mainly by the Paris Commission formed for the Paris Peace Conference held after the WWI. Hwang Gi-hwan moved to the US in his teens and joined the US army during WWI.
      After the war, he joined the Korean Representative of the Paris Peace Conference upon request by Kim Gyu-sik. However after 2 months, the chairman and the vice chairman died and he became the effective leader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After the Paris Peace Conference, the Korean Representative was reorganized and incorporated into the Paris Commission and Hwang Gi-hwan asked the Paris Commission for more staff but was rejected because they claimed financial difficulties and he was considered inappropriate by the Commission. Along with Paris, promotional activities were made also in England; however the finance was reduced and the staff were not recruited. Despite lack of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 Hwang Gi-hwan did his best in promoting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he could not understand or speak French, he got help from a few Europeans to publish promotional materials for Europeans; he made complaints to the European newspapers that published false reports regarding Korea and interviewed regarding the horrible situation in Korea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Koreans who did not understand promotional activities in Europe, he published Our Work in Europe. Also he negotiated with French and British government to help Korean workers and students in Europe and helped Korean students study in Europe.
      For 2 years, Hwang Gi-hwan was the effective director of the Paris Commission and the London office and he went to the US when Lee Seung-man asked him to join when Lee was preparing for the Washington conference. The fact that Hwang Gi-hwan went to the US suggests that the US Commission did not take promotional activities in Europe seriously. The US Commission accepted the President Lee’s decision and the promotional activities in Europe were compromised for propaganda in the States. After the Washington Conference, Hwang Gi-hwan made diplomatic and promotional effort both in the US and England for about a year before his death. It was short but passionat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Hwang Gi-hwan did for the Paris Commission in Euro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에서 한국독립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개최된 파리강화회의를 위해조직된 파리위원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0대 후반에 미국으로 건너가 제1차세계대전에 미군 지원병으로 ...

      유럽에서 한국독립운동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개최된 파리강화회의를 위해조직된 파리위원부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0대 후반에 미국으로 건너가 제1차세계대전에 미군 지원병으로 참전하였던 황기환은 전쟁이 끝난 후 김규식의 요청을받고 파리강화회의 한국대표부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그가 참여한지 두 달여 만에위원장과 부위원장의 유고로 한국대표부의 실질적인 책임자가 되었다. 파리강화회의가 끝난 후 한국대표부는 파리위원부로 개편 설립되었고, 황기환은 파리위원부에서 함께 일할 사람을 요청하였지만 재정곤란, 부적합한 인물이라는 이유 등으로거절당하였다. 파리와 더불어 영국에서도 홍보활동을 전개하였는데 재정은 축소되었고 인원도 보충되지 않았다.
      인적·물적 궁핍 속에서도 황기환은 한국독립을 위한 홍보활동에 최선을 다하였다. 프랑스어를 하지 못하였지만, 몇몇 유럽인들의 도움을 받아가며 유럽인 대상 홍보물을 발행하고, 한국 관련 誤報를 수록한 유럽신문들에 항의하고, 한국의 참상과 한국독립운동에 관한 인터뷰를 하였다. 유럽에서의 홍보활동을 이해하지 못하는 한국인들을 위해 구주의 우리 사업도 간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유럽에 온 한국인 노동자들과 유학생을 돕기 위해 프랑스·영국 정부와 교섭하였고, 학생들의 구미행과 유럽에서의 수학을 도왔다.
      2년여 동안 파리위원부와 런던사무소의 실질적인 책임자였던 황기환은 워싱톤회의를 준비하고있던 이승만의 부름을 받고 미국으로 건너갔다. 그의 미국행은 구미위원부에서 對유럽홍보활동을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구미위원부는 대통령 이승만의 결정을 받아들였고, 유럽홍보활동은 미국에서의 선전활동을 위해 희생되었다. 워싱톤회의 후 황기환은 약 1년 동안 미국과 영국을 오가며외교홍보활동을 계속하다 사망하였다. 짧지만 유럽에서 전개되었던 파리위원부의홍보활동은 황기환의 열렬한 한국독립운동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尹善子, "李灌鎔의 생애와 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30) : 7-34, 2004

      2 김도형,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유럽인 연구" 한국학연구소 37 : 535-572, 2012

      3 김규흥, "포상자공적조서"

      4 장규식, "일제하 미국유학생의 서구 근대체험과 미국문명 인식" 한국사연구회 (133) : 141-173, 2006

      5 고정휴, "워싱턴회의(1921-22)와 한국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5 : 155-201, 2003

      6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2005

      7 "신한민보"

      8 Mgr. F. Demange, "드망즈주교일기" 1911

      9 "동아일보"

      10 임경석, "동아시아 언론매체사전 1815~1945" 논형 2010

      1 尹善子, "李灌鎔의 생애와 민족운동" 한국근현대사학회 (30) : 7-34, 2004

      2 김도형, "한국독립운동을 도운 유럽인 연구" 한국학연구소 37 : 535-572, 2012

      3 김규흥, "포상자공적조서"

      4 장규식, "일제하 미국유학생의 서구 근대체험과 미국문명 인식" 한국사연구회 (133) : 141-173, 2006

      5 고정휴, "워싱턴회의(1921-22)와 한국민족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5 : 155-201, 2003

      6 정병준, "우남 이승만 연구" 역사비평사 2005

      7 "신한민보"

      8 Mgr. F. Demange, "드망즈주교일기" 1911

      9 "동아일보"

      10 임경석, "동아시아 언론매체사전 1815~1945" 논형 2010

      11 윌리엄 카, "독일근대사" 탐구당 1993

      12 "독립신문"

      13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14 김도훈, "공립협회(1905~1909)의 민족운동 연구" 1989

      15 "공립신보"

      16 최병현, "강변에 앉아 울었노라: 뉴욕한인교회 70년사" 뉴욕한인교회역사편찬위원회 1980

      17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3" 탐구당 1967

      18 폴 존슨, "『미국인의 역사』 II" 살림 2016

      19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8(임시정부사자료집)" 1974

      20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7(임시정부사자료집)" 1973

      21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삼일운동사 하)"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1972

      22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 2(조선민족운동연감)" 2009

      23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43(서한집 II)" 2011

      24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4(대유럽외교 II)" 2010

      25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3(대유럽외교 I)" 2008

      26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1(파리위원부)" 2007

      27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임시의정원 I)" 2005

      28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7(구미위원부 I)" 2007

      29 국사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6(외무부)" 2007

      30 이 옥, "≪한민족독립운동사≫ 6" 국사편찬위원회 1989

      31 김기승, "≪한국사시민강좌≫ 47" 일조각 2010

      32 Chong sik Lee, "The Politics of Korean Nationalism" University of Califonia Press 1963

      33 고정휴, "1920년대 이후 미주·유럽지역의 독립운동"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2 1.67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