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18세기 초 울산호적대장의 여성 지칭어와 호주의 직역관계- ‘氏’와 ‘召史’를 중심으로 - = The Female Titles in Census Registers of Ulsan and the Relation of Occupational Classifications(職役) in the Seventeenth and the Earlier Eighteenth Centuries - Focused on ‘SSi(氏)’ and ‘Sosa(召史)’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7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of the head of family according to female titles in the 17th and the early 18th centuries utilizing the achievement of the computerization project of census registers of Ulsanbu, thereby examining the r...

      This study analyzes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of the head of family according to female titles in the 17th and the early 18th centuries utilizing the achievement of the computerization project of census registers of Ulsanbu, there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titles and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and the class identification.
      First, the present study grasps the facets of female titles of each Myeon of Ulsan. Based on this analysis, it examines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female titles. Then, it arranged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of the head of family according to the female titles.
      To sum up, whereas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i(氏)’ were clearly distinguished,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osa(召史)’ had an aspect that a variety of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were mixed. In the light of this, it can be assumed that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which were able to use ‘Ssi(氏)’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 commoners under the status system and that the other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osa(召史)’ did not intend to differentiate itself within its hierarchy system from the early 17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also provided a brief description on the year of 1729 as when the new female title, that is ‘Seong(姓),’ emerged. It is revealed that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s using ‘Seong(姓)’ were the class trying to enter to the class that utilized ‘Sosa(召史)’ in the later 17th century and ‘Ssi(氏)’ in the earlier 18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울산부호적대장의 전산화사업의 성과를 활용해 17세기∼18세기 초반의 여성 지칭어에 따른 호주의 직역을 분석해 여성 지칭어와 직역관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계층 구분 의식을...

      본 연구는 울산부호적대장의 전산화사업의 성과를 활용해 17세기∼18세기 초반의 여성 지칭어에 따른 호주의 직역을 분석해 여성 지칭어와 직역관계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계층 구분 의식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시기 별로 울산 각 면의 여성 지칭어를 양상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지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지칭어의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여성 지칭어에 따른 남성 호주의 직역(職役)을 정리해 각 지칭어별 직역을 정리했다.
      그 결과, 씨를 쓰는 직역이 명확하게 구분되는 반면 소사를 쓰는 직역은 여러 직역들이 혼재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17세기 초반부터 씨를 쓰던 직역이 양천제 하에서 다른 양인과 구별되는 계층으로 분리되었고, 나머지 소사를 쓰는 직역들은 혼재해 쓰고 있어, 소사층 내에서 계층을 구분하려는 의식이 약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성(姓)이라는 새로운 지칭어가 등장하는 1729년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성을 사용했던 직역들은 17세기 후반에 소사를 쓰고, 18세기 초반에 씨를 쓰는 층으로 진입을 시도했던 직역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란,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여성호칭 규정과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48) : 191-219, 2003

      2 이종서, "조선후기 울산지역 상급 향리직의 구성과 향리 가계의 변동 -‘향리’의 의미 변화 및 위상 변동과 관련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7) : 81-117, 2014

      3 윤지현, "조선후기 울산 농소지역 양반직역자의 증가 동인 분석" 부산경남사학회 (61) : 143-177, 2006

      4 이종서, "조선후기 울산 鶴城李氏 가계의 향리 이탈과 사족화 – 향리 위상의 변동과 관련하여 -" 한국고문서학회 40 : 81-109, 2012

      5 이준구, "조선후기 신분직역변동연구" 일조각 1993

      6 정석종, "조선후기 사회신분의 붕괴 – 울산호적대장을 중심으로" 9 : 1974

      7 심승구, "임진왜란 중 무과의 운영실태와 기능" 1 : 1997

      8 차재은, "대구 호적의 여성 지칭어 연구­ ―서상면과 해북촌 기혼 여성 지칭어의 통시적 변화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48 (48): 239-271, 2014

      9 "蔚山府戶籍大帳"

      10 이종서, "蔚山府先生案" 울산박물관 2012

      1 김경란, "조선후기 호적대장의 여성호칭 규정과 성격" 한국역사연구회 (48) : 191-219, 2003

      2 이종서, "조선후기 울산지역 상급 향리직의 구성과 향리 가계의 변동 -‘향리’의 의미 변화 및 위상 변동과 관련하여-" 규장각한국학연구원 (67) : 81-117, 2014

      3 윤지현, "조선후기 울산 농소지역 양반직역자의 증가 동인 분석" 부산경남사학회 (61) : 143-177, 2006

      4 이종서, "조선후기 울산 鶴城李氏 가계의 향리 이탈과 사족화 – 향리 위상의 변동과 관련하여 -" 한국고문서학회 40 : 81-109, 2012

      5 이준구, "조선후기 신분직역변동연구" 일조각 1993

      6 정석종, "조선후기 사회신분의 붕괴 – 울산호적대장을 중심으로" 9 : 1974

      7 심승구, "임진왜란 중 무과의 운영실태와 기능" 1 : 1997

      8 차재은, "대구 호적의 여성 지칭어 연구­ ―서상면과 해북촌 기혼 여성 지칭어의 통시적 변화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48 (48): 239-271, 2014

      9 "蔚山府戶籍大帳"

      10 이종서, "蔚山府先生案" 울산박물관 2012

      11 서의필, "18세기 울산지방 향반사회 연구 – 신분변화를 통해 본 사회변동" 3 : 1774

      12 이지은, "18세기 울산 범서면의 신분구조와 그 변화" 부산경남사학회 (60) : 103-133, 2006

      13 朴在寬, "17세기초 社會身分構造의 變化 : 蔚山府己酉式(1609년)戶籍臺帳의 分析을 中心으로"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6

      14 박종현, "17~18세기 울산지역 향임층의 가문구성과 지역 내 위상" 부경역사연구소 (36) : 177-205, 2015

      15 권내현, "17-19세기 여성의 지칭어 변화 : 『단성호적대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61) : 343-37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7 1.01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