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 효과 : 영유아 교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회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120966
포천 :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상담심리대학원 , 임상및상담심리 , 2024. 8
2024
한국어
경기도
; 26 cm
지도교수: 강민철
I804:41065-20000080950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 효과 : 영유아 교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회복...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 효과 : 영유아 교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회복탄력성과 마음챙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영유아 기관에서 재직 중인 만 20세 이상 만 60세 미만의 영유아 교사 324명을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 회복탄력성, 마음챙김, 관련 척도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어서 SPSS 29.0을 통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기술적 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SPSS Process Macro와 선형 회귀 분석, Bootstrapping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 효과,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 효과,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마음챙김의 순차적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측정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직무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직무 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은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회복탄력성과 마음챙김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마음챙김과 심리적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회복탄력성은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은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유의하게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소진의 순차적 매개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따른 심리적 소진을 줄이기 위해 회복탄력성과 마음챙김에 대한 심리치료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핵심 되는 말 : 영유아 교사,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마음챙김, 심리적 소진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