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출산 정책으로써 출산장려금의 정책 효과성 연구: 서울 25개 자치구들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Policy Effectiveness about Childbirth Grant as Policies in Response to Low Birthrate: Focused on 25 Districts(Gu)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2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통계청의 집계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24명으로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1990년대 이후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현황이다. 20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심화된...

      통계청의 집계에 의하면 2015년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1.24명으로 201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이며, 1990년대 이후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현황이다. 201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심화된 저(低)출산 현상은 사회적으로 매우 심각한 현상으로 인식되었으며, 이에 중앙정부 외에도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출산율 제고를 위한 출산장려금과 같은 출산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2014년 출산율이 0.98명으로 지난 2000년 1.26명 이후 계속 감소하여 현재 주요 광역 자치단체들 중에서 출산율이 가장 하위순위에 위치하는 저조한 지역들 중 하나이다.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출산 장려 정책 중 시행초기부터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자체 예산으로 집행되어 자치단체별 차별적인 정책집행 및 정책수혜가 나타나고 있는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검증을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시도하였다. 25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소득수준과 같은 경제적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 출산장려금이 얼마나 출산율 증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다중회귀분석과 같은 실증적 분석방법을 통해 확인한 다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출산장려 정책의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출산장려금 정책은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혼인율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치구별 소득수준, 고령인구비율, 이혼율, 조혼인율, 보육시설수준, 의료시설수준 등의 변수들이 출산율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data complied by the Statistics Korea, the national birthrate in 2015 was 1.24 which was the lowest number since 2012, and birthrate is continuously decreasing since 1990s. The low birthrate which became intensified in earnest since 2...

      According to the data complied by the Statistics Korea, the national birthrate in 2015 was 1.24 which was the lowest number since 2012, and birthrate is continuously decreasing since 1990s. The low birthrate which became intensified in earnest since 2010 is being recognized as a very serious social phenomenon, and birthrate policies as childbirth grant for raising birthrate are being implemented around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n particular, the birthrate of Seoul-si in 2014 was 0.98 that it is currently one of the regions with lowest birthrate among major metropolitan councils as it decreased continuously since 2000.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which is showing discriminatory policy enforcement and benefits by self-governing body as it caused a lot of controversies from the beginning and executed by the budget of local districts(Gu) entity among various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ies around 25 districts(Gu)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childbirth grant on promoting childbirth considering demographical·sociological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as income level around 25 districts(Gu) through actual analysis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childbirth encouragement policy is not making major influence on total fertility rate, the number of babies born, and marriage rate, and variables as income level, elderly population rate, divorce rate, crude marriage rate, level of nursery facility, and level of medical facility are making positive effect on birthrat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석,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정책 효과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1 (21): 149-174, 2012

      2 이충환, "출산장려정책 활성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3 송헌재,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정정책학회 15 (15): 3-27, 2013

      4 허만형, "출산장려금의 정책효과 연구: 제도도입 전후 출산율 증감경향 비교분석" 경인행정학회 11 (11): 387-409, 2011

      5 이정철, "출산장려금 제도의 정책확산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6 박창우, "출산장려금 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추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7 박창우, "출산장려금 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추정" 한국응용경제학회 16 (16): 5-34, 2014

      8 석호원,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43-180, 2011

      9 "출산율제고 정책보고서" 여성가족부 2012

      10 류덕현, "출산율과 여성노동공급에 대한 거시적 실증분석" 한국재정학회 12 (12): 39-74, 2007

      1 이명석, "한국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정책 효과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1 (21): 149-174, 2012

      2 이충환, "출산장려정책 활성화에 따른 효과성 분석 :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3 송헌재, "출산장려금이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정정책학회 15 (15): 3-27, 2013

      4 허만형, "출산장려금의 정책효과 연구: 제도도입 전후 출산율 증감경향 비교분석" 경인행정학회 11 (11): 387-409, 2011

      5 이정철, "출산장려금 제도의 정책확산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6 박창우, "출산장려금 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추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7 박창우, "출산장려금 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추정" 한국응용경제학회 16 (16): 5-34, 2014

      8 석호원, "출산장려금 정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5 (25): 143-180, 2011

      9 "출산율제고 정책보고서" 여성가족부 2012

      10 류덕현, "출산율과 여성노동공급에 대한 거시적 실증분석" 한국재정학회 12 (12): 39-74, 2007

      11 이삼식, "출산율 예측 모형 개발" 한국인구학회 35 (35): 77-99, 2012

      12 홍소정, "출산 장려금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3 백지훈, "출산 보조금 정책이 출산율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14 김승권,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인구학회 27 (27): 1-34, 2004

      15 신효영,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정책 분석 -충청남도 시․군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205-227, 2008

      16 최정미,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금이 출생아수 증가율에 미치는 영향" 20 (20): 138-161, 2011

      17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인구정책 사례집"

      18 이충환, "전국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정책 현황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97-124, 2013

      19 장혜경, "저출산시대의 여성정책 방향" 5 : 50-54, 2004

      20 손홍숙, "저출산과 가족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10 (10): 43-63, 2005

      21 민연경, "저출산 정책과 양성평등문화의 출산율 제고 효과: OECD 18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3 (23): 103-132, 2013

      22 조남훈, "저출산 시대에 대비한 출산・가족 친화적 기업경영의 확산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23 최준욱, "저출산 대응 재정 정책수단의 효과 및 영향분석" 한국조세연구원 2010

      24 보건복지부,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 2012

      25 윤소영, "저출산 가정의 출산율과 여성취업 경험"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59-166, 2005

      26 김태헌,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 한국인구학회 29 (29): 1-23, 2006

      27 "서울시정 출산율제고 관련 정책보고서" 2012

      28 "서울시 서베이"

      29 주효진, "사회·경제적 요인과 정책적 요인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24 (24): 211-228, 2010

      30 홍준현, "도심지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도시 내 지역 간 경제적 격차에 미치는 영향: 서울 3도심과 자치구들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8 (18): 479-505, 2014

      31 김민곤, "경제적 의존도와 지역격차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과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24 (24): 55-82, 2012

      32 이성용,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회 29 (29): 111-137, 2006

      33 변용찬, "결혼행태변화와 출산율의 상관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0

      34 보건복지부, "각 지방자치단체 출산장려 정책" 2012

      35 Ermisch, J., "Time costs, Aspriations and the effect of economic growth on Germany Fertility" 42 (42): 125-143, 1980

      36 Ermisch, J., "There levance of the 'Easterl in Hypothes is' and the 'New home economics' to fertility movements in Great Britain" 33 (33): 39-58, 1979

      37 Dimaggio, P. J., "The iron cage revisited: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48 : 147-160, 1983

      38 Butz, W.P., "The emergence of Countercyclical U.S. Fertility" 69 (69): 318-328, 1979

      39 Leibenstein, H., "The economic theory of fertility decline" 89 (89): 1-31, 1975

      40 Andersson, G, "The Impact of Labour Force Participation on Childbearing Behaviour:Procyclical Fertility in Sweden During the 1980s and 1990s" 16 : 293-333, 2005

      41 Kim, A. Young-Il, "The Impact of Birth Subsidies on Fertility : An Empirical Study of the Allowance for Newborn Children" Sogang University 2011

      42 Bongaarts, John, "The Fertility-Inhibiting Effects of the Intermediate Variables" 13 : 179-189, 1982

      43 Becker, G. S., "The Economic Approach to Human Behavior"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6

      44 Milligan, K., "Quebec’s Baby Bonus: Can Public Policy Raise Fertility?" C.D. Howe Institute 2002

      45 Gustafsson, S., "Postponement of Maternity and the Duration of time Spent at home after First Birth: Panel data analysis comparing Germany, Great Britain, the Netherlands and Sweden" 2002

      46 Sleebos, J. E., "Low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Facts and policy response" OECD 2003

      47 Tolbert, Pamela, S., "Institutional Sources of Change in the Formal Structure of Organizations: The Diffusion of Civil Service Reform, 1880-1935" 28 : 22-39, 1983

      48 Schmitt, C., "Gender specific effects of unemployment on family formation evidence form a cross national view" 2004

      49 Brewster, Karin L.,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26 : 271-296, 2000

      50 Barro, R., "Fertility Choice in a model of economic growth" 57 (57): 481-501, 1974

      51 Easterlin, R., "Family Economic Behavior : Problems and Prospects" 1973

      52 Rindfuss, R., "Education and the Changing Age Pattern of American Fertility: 1963-1989" 33 (33): 277-290, 1996

      53 Hadelshi, H., "Economic Well-being and Fertility in France; Nuits, 1744-1792" 63 (63): 489-505, 2003

      54 Drago, R., "Did Australia’s Baby Bonus Increase the Fertility Rate?" Melbourne Institute 2009

      55 Palomba R, "Demographic changes, values and attitudes of young Italians" 1997

      56 Cigno, A., "Children and Pensions" 5 (5): 175-183, 1992

      57 Rindfuss, R., "Child Care Availability and Fertility in Norway: Pro-natalist Effects" 2004

      58 MacDonald, K.,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human fertility" 21 : 223-246, 1999

      59 Willis, R., "A new approach to the economics of theory of frtility behavior" 81 (81): 14-64, 1973

      60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

      61 Todaro, M., "A Model of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69 : 486-499, 1969

      62 통계청, "2012년∼ 2014년 서울시 자치구별 인구구성현황 조사"

      63 통계청, "2012년∼ 2014년 서울시 자치구별 경제사회현황 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9 1.1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