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배경 및 목적) 모듈화 이론(Modularity Theory)은 최초 경영학 분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초기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방식이었으나, 후기에는 일종의 공업 디자인 방법으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66425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5-166(1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배경 및 목적) 모듈화 이론(Modularity Theory)은 최초 경영학 분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초기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방식이었으나, 후기에는 일종의 공업 디자인 방법으로...
(연구 배경 및 목적) 모듈화 이론(Modularity Theory)은 최초 경영학 분야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초기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고방식이었으나, 후기에는 일종의 공업 디자인 방법으로 제조업에 많이 응용되었다. 모듈화 이론은 시스템을 여러 단위인 모듈러(Modular)로 나누고, 그 모듈러를 다른 시스템에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공업화 건조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듈러는 대규모로 표준화되어 생산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디자인(Modular Design)이 지닌 미학적 본질은 표준화와 맞춤화 사이의 연결에 있다. 이 개념은 건축 디자인 분야로도 확장되어 모듈러 빌딩(Modular Building)으로 추진되었는데, 최근 등장한 지오 필릭 건축(Geo-philic Architecture) 조형에서 모듈러 디자인의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지오 필릭건축이 지형과 주변 환경의 조화를 강조하는 '맞춤형 디자인'과 관련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듈러 디자인을 이론적 기반으로 지오 필릭 건축 조형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해석적 연구와 사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먼저, 모듈러 건축의 발전사와 지오 필릭 건축의 개념과 특징을 정리한 다음, 지오 필릭 건축 조형과 모듈러 디자인의 융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모듈러 건축 발전의 맥락과 관련 이념을 정리함으로써 지오 필릭 건축 조형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양자 간의 응용 범위와 타당성을 탐구하였다. 이 연구는 모듈러 디자인의 영향을 받은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미를 중점적으로 살펴본다. 셋째, 수집된 디자인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지오 필릭 건축의 모듈러 조형 생성을 도해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듈러 조형 생성 과정을 바탕으로 지오 필릭 건축의 모듈러 조형 특성을 해석하였다. (결과) 첫째, 건축 조형의 요소·단위·조합·질서의 구성 체계가 명확해졌다. 지오 필릭 건축 조형과 모듈러 디자인의 융합이 검증되었다. 둘째, 병치(倂置)·평행 배열·폴딩·착란 중첩 등의 조합형식들이 지오 필릭 건축의 다양한 조형을 생성하는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지오 필릭 건축과 지형의 복잡한 관계를 바탕으로, 모듈러 디자인의 구상은 이 문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셋째, 공간의 가변성, 건축과 경관의 모호성 및 조형의 질서적 미의식을 논술하였다. (결론) 첫째, 지오 필릭 건축의 조형 디자인은 모듈러 사유를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모듈러 사유는 조형 디자인에 미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듈러는 지오 필릭 건축 조형의 혁신적인 디자인에 대한 참고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듈러 디자인을 도입함으로써 지오 필릭 건축 디자인에 더 많은 영감과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유치원의 공간구성 특성과 학부모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 사립 유치원 사례를 중심으로 -
인구감소시대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생활권 연결’ 관점의 지역균형발전 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