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자 예비체육교사의 젠더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87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질적연구는 여자 예비체육교사들의 젠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개인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페미니스트 연구 관점(Cook & Fonow, 1991)을 통해 심층적으로 ...

      본 질적연구는 여자 예비체육교사들의 젠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것이 개인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페미니스트 연구 관점(Cook & Fonow, 1991)을 통해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대학 체육교육과에 재학 중인 11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현상학적 인터뷰 방법(Seidman, 2006)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Charmaz, 2006)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의 초기에 학과의 보수적 문화와 수직적 상하관계, 다른 남학생들과의 상대적 비교로 인해 연구참여자들은 자신감을 잃고 박탈감을 느끼고 있었다. 또 남성중심의 문화와 그 안에서 또다시 형성되는 여성들 사이의 갈등은 그들이 결과적으로 학과의 문화에 순응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은 여자 체육교사가 가질 수 있는 장점과 가능성에 대해 인지함과 동시에 남학생을 지도하는데 대한 두려움을 안고 있었으며, 그것의 돌파구를 “남성성”의 추구로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여자 예비체육교사들의 젠더인식에 있어 상당한 정체성 혼란과 괴리를 엿볼 수 있었으며, 이는 체육교육과에 잠재한 남성중심의 문화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gender perception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Feminist research standpoint proposed by Cook and Fonow(1991) used a...

      Purpose: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and analysis on the gender perception of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Feminist research standpoint proposed by Cook and Fonow(1991) used as theoretical framework to see the structure of societal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towards participants. Methods: Eleven participants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t A university were purposefully selected and data collection involved in-depth phenomenological interviews(Seidman, 2006). Grounded theory was used in the analysis of the data(Charmaz, 2006). Results: The finding of the study revealed the conservative culture, vertical relationship, and relative comparison with male students in the early college life influenced participants to lose confidence and feel deprivation. Also, androcentric culture and conflict among females resulted participa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department culture. Although participants acknowledged strength and possibilities as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y had fear of teaching male students that resulted pursue a masculinity.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howed the conflict and gap in gender identity and perception among female preservice teachers that seemed mainly influenced by androcentric culture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Ⅳ.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논의
      • Ⅳ.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창수, "한국 교육에서의 젠더 평등과 공평: 여성 연구에 대한 개념 확장의 필요성"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219-245, 2004

      2 정명수, "학생과 교사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차이와 체육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43-56, 2011

      3 최재성, "학교교육 현장에 나타난 성차별주의" 또 하나의 문화 1995

      4 유현옥, "페미니즘 교육사상" 학지사 2004

      5 나윤경,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여성학습자만을 위한 교수 방법인가?" 2 (2): 55-76, 1999

      6 박재정,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성이 편중된 체육수업을 경험한 학생의 인식" 10 (10): 97-121, 2003

      7 김윤희, "체육수업에서의 양성평등에 관한 학생의 인식과 체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63-80, 2007

      8 김정구, "체육수업 요인별 적용이 여학생들의 수업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49-64, 2010

      9 류민정, "체육수업 시간에는 여자 선생님이 더 좋아요?: 학생이 인식하는 운동흥미, 수업노력과 교사 피드백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2 (22): 1999-2007, 2011

      10 이남미, "체육대학 신입생 길들이기의 사회문화적 배경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19-43, 2009

      1 허창수, "한국 교육에서의 젠더 평등과 공평: 여성 연구에 대한 개념 확장의 필요성" 한국교육사회학회 14 (14): 219-245, 2004

      2 정명수, "학생과 교사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 차이와 체육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43-56, 2011

      3 최재성, "학교교육 현장에 나타난 성차별주의" 또 하나의 문화 1995

      4 유현옥, "페미니즘 교육사상" 학지사 2004

      5 나윤경,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여성학습자만을 위한 교수 방법인가?" 2 (2): 55-76, 1999

      6 박재정, "초등학교에서 교사의 성이 편중된 체육수업을 경험한 학생의 인식" 10 (10): 97-121, 2003

      7 김윤희, "체육수업에서의 양성평등에 관한 학생의 인식과 체험"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4 (14): 63-80, 2007

      8 김정구, "체육수업 요인별 적용이 여학생들의 수업참여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49-64, 2010

      9 류민정, "체육수업 시간에는 여자 선생님이 더 좋아요?: 학생이 인식하는 운동흥미, 수업노력과 교사 피드백을 중심으로" 국민체육진흥공단 부설 한국스포츠개발원 22 (22): 1999-2007, 2011

      10 이남미, "체육대학 신입생 길들이기의 사회문화적 배경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2 (22): 19-43, 2009

      11 박세윤, "체육교사를 향한 학생들의 “다른” 시선: 성별에 따른 체육교사의 (비)선호요인 범주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01-123, 2010

      12 최미영, "체육관련 학과 내 소외 전공자들의 역할 갈등 및 중도탈락 원인 분석: 댄스스포츠 특기자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50 (50): 145-158, 2011

      13 박창범, "체육계열학과 여학생의 학과적응 경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 (20): 315-331, 2007

      14 강신욱, "체육계 대학생의 선후배간 체벌 실태 조사 및 체벌 경험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연구" 한국체육학회 43 (43): 79-90, 2004

      15 배종희, "중등 예비체육교사의 교사관심사와 교직전문성과의 관계" 교육연구원 30 (30): 215-234, 2014

      16 김무영, "잠재적 교육과정으로서 체육 예비교사 문화의 비판적 이해" 한국여성체육학회 21 (21): 67-81, 2007

      17 김정구, "여학생들과 체육교사의 체육수업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12 (12): 39-50, 2007

      18 신기철, "여자 초등예비교사가 체육 강좌에서 겪는어려움과 대처 방법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1 (21): 89-112, 2014

      19 최문선, "사회과 예비교사의 젠더인식과 교사교육사회과 예비교사의 젠더인식과 교사교육"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0 (50): 31-51, 2011

      20 이창섭, "고등학교 여학생의 신체활동 저해요인의 종합적 이해" 한국체육교육학회 17 (17): 57-76, 2013

      21 Belenky, M. F. et al., "Women’s ways of knowing: The development of self, voice, and mind" Basic Books, Inc 1986

      22 Glaser, B. G., "Theoretical sensitivity: Advances in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Sociology Pr 1978

      23 Carrington, B., "Role models, school improvement and the 'gender gap'-do men bring out the best in boys and women the best in girls?" 34 (34): 315-327, 2008

      24 Maxwell, J.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An interactive approach" Sage Publications 2005

      25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2

      26 Kirk, 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culture:Critical issues in the contemporary crisis" Falmer 43-66, 1990

      27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s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Teachers College Press 2006

      28 Scraton, S., "Equality, co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ing" 139-153, 1993

      29 Charmaz, K.,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A practical guide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SAGE 2006

      30 Fonow, M. M., "Beyond methodology: Feminist scholarship as lived research" Indiana University Press 1991

      31 Glesne, 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Pearson/Allyn & Bacon 2006

      32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15-,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