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궁예의 미륵관심법을 통한 정국운영과 그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57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isting view about Gungye government was in argument on if the government is political power unions among powerful families. Especially, main trend was an opinion where life and government of Gungye were understood from viewpoint of political power...

      Existing view about Gungye government was in argument on if the government is political power unions among powerful families. Especially, main trend was an opinion where life and government of Gungye were understood from viewpoint of political power unions among powerful families. Accordingly, ‘Maitreya Buddha’ came to the forefront as part of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is was applied to analyze function and character of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This viewpoint is well disclosed in interpretation of Gwangpyongseong which was a representative government organization in Gungye era. That is, there is contradiction in opinion about Gwangpyongseong, one is that Gwangpyongseong is an organization to represent powerful families, the other is that it played a role to assist autocratic royal authority of Gungye like Jipsabu in Silla. But such existing analysis interpreted characteristic of Gungye government where ‘Maitreya Buddha’ came to the forefront, as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or ‘individual tendency’. So it is pointed out that important factor is overlooked in understanding Gungye and Gungye government. Accordingly, the study tried to analyze in what form ‘Maitreya Buddha’ thoughts and national direction as ‘Buddhist nation’ which were core events in Gungye government were reflected to life of Gungye and Gungye government. Through this, it could be drawn that ‘Maitreya Buddha’ of Gungye had been continuously strengthened in the life of Gungye, not dramatic event in the year 911 for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this affected identity and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Taebong, ‘Maitreya Buddh's La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궁예의 세력 확장과 미륵불 사상
      • Ⅲ. 궁예의 세력 확장 과정에서 호족과의 관계
      • Ⅳ. 궁예 미륵관심법과 참소정치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궁예의 세력 확장과 미륵불 사상
      • Ⅲ. 궁예의 세력 확장 과정에서 호족과의 관계
      • Ⅳ. 궁예 미륵관심법과 참소정치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추만호, "「궁예전」,어떻게 읽을 것인가" 2 : 1997

      2 신호철, "후삼국시대 호족연구" 개신 2002

      3 이재범, "후삼국시대 궁예정권 연구" 혜안 2007

      4 이기백, "한국의 인간상 2" 1965

      5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7

      6 이기백, "한국사 5" 탐구당 1996

      7 장지훈, "한국 고대 미륵신앙 연구" 집문당 1997

      8 조인성,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2007

      9 강문석, "철원환도 이전의 궁예정권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57) : 241-271, 2005

      10 박경준, "전륜성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35 : 1996

      1 추만호, "「궁예전」,어떻게 읽을 것인가" 2 : 1997

      2 신호철, "후삼국시대 호족연구" 개신 2002

      3 이재범, "후삼국시대 궁예정권 연구" 혜안 2007

      4 이기백, "한국의 인간상 2" 1965

      5 변태섭, "한국사통론" 삼영사 2007

      6 이기백, "한국사 5" 탐구당 1996

      7 장지훈, "한국 고대 미륵신앙 연구" 집문당 1997

      8 조인성, "태봉의 궁예정권" 푸른역사 2007

      9 강문석, "철원환도 이전의 궁예정권 연구" 한국역사연구회 (57) : 241-271, 2005

      10 박경준, "전륜성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35 : 1996

      11 신호철, "신라말 고려초 歸附豪族의 정치적 성격" 8 : 1985

      12 김수태, "신라말 고려전기 청주김씨와 법상종" 1 : 1997

      13 곽승훈, "신라 하대 후기 미륵하생신앙의 성행과 그 의의" 15 : 2000

      14 최성은, "나말려초 중부지역 석불조각에 대한 고찰 -궁예 태봉(901~918)지역 미술에 대한 시고 -" 한국역사연구회 (44) : 29-64, 2002

      15 신성재, "궁예정권의 철원 천도와 전쟁사적 의미" 한국사연구회 (158) : 1-36, 2012

      16 최규성, "궁예정권의 지지세력" 19⋅20 : 1986

      17 이슬, "궁예정권의 성립과 지배체제" 인하대학교 2006

      18 조인성, "궁예의 세력형성과 건국" 75 : 1993

      19 김두진, "궁예의 미륵세계" 일조각 10 : 1992

      20 김두진, "궁예의 미륵관심법사상과 그 의미" 한국학연구소 29 : 279-308, 2007

      21 김용선, "궁예의 나라 태봉 그 역사와 문화" 일조각 2008

      22 이재범, "궁예의 나라 태봉" 일조각 2008

      23 신호철, "궁예의 (弓裔) 정치적 성격 - 특히 불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1982

      24 조인성, "궁예 - 미륵불을 자처한 전제군주" 일조각 31 : 2002

      25 김두진, "고려초의 법상종과 그 사상" 일조각 1981

      26 채수환, "高麗太祖 王建의 勢力實態에 關한 考察" 5 : 1999

      27 "高麗史"

      28 김성구, "長阿含經"

      29 유경아, "王建의 勢力成長과 對弓裔關係" 7 : 1991

      30 趙仁成, "泰封의 弓裔政權 연구" 서강대학교 1991

      31 전덕재, "泰封의 地方制度에 대한 考察" 신라문화연구소 27 (27): 151-186, 2006

      32 최연식, "後高句麗 불교의 재검토" 보조사상연구원 (40) : 121-161, 2013

      33 신호철, "後三國 建國勢力과 淸州 地方勢力" 11 : 1993

      34 정선용, "弓裔의 勢力形成 過程과 都邑 選定" 97 : 1997

      35 양경숙, "弓裔와 그의 彌勒佛 思想" 3 : 1993

      36 정청주, "弓裔와 豪族勢力" 10 : 1986

      37 이재범, "弓裔政權의 鐵圓定都 時期와 專制的 國家經營" 한국사학회 (80) : 5-30, 2005

      38 최규성, "弓裔政權의 性格과 國號의 變更" 19 : 1987

      39 조인성, "弓裔政權의 中央政治組織 : 이른바 廣評省體制에 對하여" 33 : 1986

      40 최연식, "康津 無爲寺 先覺大師碑를 통해 본 弓裔 행적의 재검토" 2011

      41 "三國遺事"

      42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1.181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