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tudy on Discharge Preparatory Self-Supporting Program of the Youth in Facility Byeon Eun Yeong Major in Child·Youth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yongji Univerts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368493
서울 :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08. 8
2007
한국어
362.7 판사항(22)
서울
ⅷ, 46 p.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Discharge Preparatory Self-Supporting Program of the Youth in Facility Byeon Eun Yeong Major in Child·Youth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yongji Univerts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ABSTRACT
A Study on Discharge Preparatory Self-Supporting Program of the Youth in Facility
Byeon Eun Yeong
Major in Child·Youth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Myongji Univertsit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tatus of the self-supporting program for the discharge preparation of the youth in facility, and understand the status of the self-supporting program for the activation plan and reform plan of an independable psychological, financial and social-adaptative and support system as a social member on a facility, facility youth and national political level, and seek a future direction through foreign case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at carrying out a in-depth interview to the youth preparing for discharge from the child welfare facility, and alleviating their psychological unrest and financial trouble by proper psychological, financial, social adaptative and support system after their discharge, and supporting their social adaptability.
For the self-supporting program research of the facility, a theory on interpersonal relation and a mentor and career counselling as psychological factors was explored. Also as a financial factor, a theory on lease deposit and life fund was explored, and as a social adaptative factor, a theory on the community and volunteer service, and those about job experience and counselling for going on to a higher school. And a theory on support system, the support system of social welfare and administration and facility was explored.
The research subject was selected focusing on the youth living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located in Seoul city, and of 8 juveniles of the interviewable facility, an in-depth technique interview was conducted in 90 or 120 minutes over 2 or 3 times. They have expected their self-support 3 years ahead, and got through their self-supporting programs. The interviewed content was recorded under their informed consent, and the recorded content was repeatedly heard, and it was recorded as express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interview content was focused on the discharge preparatory self-supporting program operated by the current facility.
The findings indicated in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self-support of the self-support program for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is not operated by program along with a concrete suggestion compared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and the part to a mentor and counselling is not satisfactory.
Second, the financial self-support of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is all held responsible by the country in advanced countries , while Korea does not have correct information, and has trouble preparing for a concrete self-support.
Third, for the social independence of a self-support program to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the advanced countries have the children accommodated in the child facility experience life at a region for a fixed period before discharge, and take training at the same time, facilitating their necessary knowledge ability and social self-support as a social man. However, our country does not properly use an organized step-wise program, focusing on some facilities.
Fourth, the self-support program support system for the discharge preparatory youth in the child welfare facility, the advanced countries are all held responsible for all expenses, while our country uses the proposal of the facility itself, and rests on the contributions or sponsorship money from a child welfare association or other joint fund-raising. Also the facility youth do not catch the support system correctly.
Through this research into the self-support program of the youth in facility, this could see the difficulties of psychological, financial, social adaptative adaptability and support system to the youth preparing for discharge from facility.
The research of the self-support program for the youth in facility is expected to be a cornerstone for the domestic subsequent research for the self support of the youth living as a social member after discharge from the facility.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시설 청소년의 퇴소준비 자립프로그램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아동·청소년전공 변은영 본 연구는 시설 청소년의 퇴소준비를 위한 자립프...
【국 문 초 록】
시설 청소년의 퇴소준비 자립프로그램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아동·청소년전공
변은영
본 연구는 시설 청소년의 퇴소준비를 위한 자립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이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립 할 수 있는 심리적· 재정적· 사회적응·지원체계의 활성화 방안과 개선방안을 시설과 시설 청소년 그리고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자립 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하고 외국과의 사례를 통해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들에게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그들이 퇴소 후에도 심리적· 재정적· 사회적응· 지원체계의 자립을 적절하게 하여 심리적인 불안감과 재정적인 어려움을 감소시키며, 사회적응을 잘 할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시설의 자립 프로그램 연구를 위해서 심리적 요소로 대인관계와 멘토, 진로상담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였다. 또한 재정적 요소로는 전세금과 생활자금에 대한 이론을 내용으로 탐색하였고, 사회적응 요소로는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에 관한 이론 및 직장 체험 그리고 진학지도에 관한 것들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지원체계에 대한 이론은 사회복지 행정 및 시설의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아동 복지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중에서 면접이 가능한 시설의 청소년들 8명에 대한 심층 면접 기법으로 2~3회에 걸쳐서 90분~120분간 실시하였다. 이들은 자립을 3년 이내로 앞두고 있으며, 자립 프로그램을 현재 실시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면접한 내용을 녹음하였으며 녹음내용을 여러 번 반복하여 들으면서 연구 참여자가 표현한 그대로의 언어로 녹취하였다. 면접내용은 현재 시설에서 진행하는 퇴소 준비 자립프로그램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 프로그램의 심리적 자립은 선진국에 비해 자립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과 함께 프로그램이 진행이 되고 있지 않고, 특히 멘토와 상담에 대한 부분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 프로그램의 재정적 자립은 선진국은 국가가 모든 것을 책임지고 있는 반면에, 한국의 경우는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도 않고, 구체적인 자립준비를 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셋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프로그램의 사회적 자립은 선진국의 경우 시설 입소 아동이 시설을 퇴소하기 전에 일정한 기간 동안 지역에서 생활 체험을 하고, 더불어 필요한 훈련을 병행하게 하여, 사회인으로서 필요한 지식 능력을 높여 사회적 자립을 촉진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시설에서 체계화된 단계별 프로그램이 적절하게 사용되지 않고, 몇 몇 시설에서만 중점적으로 하고 있다.
넷째, 아동 복지 시설의 퇴소 준비 청소년에 대한 자립프로그램 지원 체계는 선진국이 국가가 모든 비용에 대해서 책임지고 모든 것을 지급하는 것에 반해, 우리나라는 시설 자체의 프로포잘을 이용하여 아동 복지 연합회나 기타 공동 모금회 및 후원금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설 청소년들도 지원체계에 대한 것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설 청소년의 자립 프로그램의 연구를 통하여 시설에서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에게 심리적· 재정적· 사회적응· 지원체계의 어려움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시설 청소년의 자립 프로그램의 연구는 시설을 퇴소한 후 사회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자립을 위한 국내 후속연구를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