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츠노미야 타로 일기』를 통해 본 봉오동전투 = The Bongo-dong Battle(鳳梧洞戰鬪) in 『Utsunomiya Taro Di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59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ongo-dong Battle(鳳梧洞戰鬪) in 1920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ttles in the War of Independence. Compared to its interest and importance, Bongo-dong Battle still lacks research. In particular, military criminal records and the scale of ...

      The Bongo-dong Battle(鳳梧洞戰鬪) in 1920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battles in the War of Independence. Compared to its interest and importance, Bongo-dong Battle still lacks research. In particular, military criminal records and the scale of participation are still controversial. The situation of the Bongo-dong Battle was examined through 『Utsunomiya Taro Diary』 left by Utsunomiya Taro, the commander of the Joseon Army at the time. First, I checked the existence of the Japanese military support unit through 「Hong Beom-do Diary」. The process of Japanese troops' retreat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Utsunomiya Taro Diary』. Second, it is presumed that the Japanese reinforcements were military police(憲兵) or police. Through 『Utsunomiya Taro Diary』, it is understood that the Japanese military's "increase squad" existed in addition to the pursuit team(追擊 隊) of Yasukawa Major(安川少佐). Third, the question of the credibility of 「Bongo-dong Battle Report(鳳梧洞附近戰鬪詳報)」 was dealt with. Through 『Utsunomiya Taro Diary』, it is possible to guess the situation in which the Japanese army was disadvantageous in the Bongo-dong Battle.
      Regarding the Bongo-dong battle, the Korean data and Japanese data should be cross-verified. In this context, interest in and discovery of Japanese data, including 「Bongo-dong Battle Report」 and 『Utsunomiya Taro Diary』, should continu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봉오동전투는 그 관심과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부분들이 남아있다. 특히 군사적으로전과 문제나 참전 규모 등은 여전히 논란이 많다. 본고에서는 당시 조선군사령관이었던 우츠노미...

      봉오동전투는 그 관심과 중요성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부분들이 남아있다. 특히 군사적으로전과 문제나 참전 규모 등은 여전히 논란이 많다. 본고에서는 당시 조선군사령관이었던 우츠노미야 타로가 남긴 『우츠노미야 타로 일기』를 통해 봉오동전투의 상황을 살펴보았다. 첫째, 「홍범도일지」에 보이는 일본군 ‘후원병’과 일본군 상호 교전에 대해 확인해 보았다. 봉오동전투와 관련된개인 일기와 증언록 등을 참조해 보면, 야스카와 추격대 외에 일본군 증원부대가 실재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군의 퇴각과정은 『우츠노미야 타로 일기』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하다. 둘째, 일본군 증원부대는 헌병이나 경찰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우츠노미야 타로 일기』를 통해서 야스카와 소좌의 추격대 외에 일본군 ‘증원대’가 존재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10월 ‘간도출병’ 상황을참조해 보면, 공식 기록에서 확인 가능한 일본 정규군과 정원 외로 활동하던 헌병을 비롯한 경찰조직이 밀접하게 협조하며 참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봉오동부근전투상보」의 신빙성 문제를 다루어 보았다. 본문 속에 서술된 것처럼 야스카와 추격대가 독립군을 상대로 ‘치열한 교전’을벌이거나 ‘다대한 손해’를 입히기는 어려웠을 것으로 여겨진다. 『우츠노미야 타로 일기』를 통해서 봉오동전투에서 일본군이 불리했던 정황을 짐작해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陸軍省, "陸軍現役將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大正9年 9月1日)"

      2 김주용, "홍범도의 항일무장투쟁과 역사적 의의" 한국학연구소 (32) : 467-490, 2014

      3 장세윤, "홍범도의 독립전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4 서인한, "홍범도 장군의 무장투쟁의 전략 전술과 유격전" 2013

      5 반병률, "홍범도 장군" 한울아카데미 2014

      6 "홍범도 일지"

      7 신용하,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1 : 1986

      8 조필군, "항일무장독립전쟁의 군사사학적 논의 -1920년 동북만주지역을 중심으로 -" 육군군사연구소 (134) : 257-291, 2012

      9 신효승, "한말 일제초 홍범도 의병의 활동과 전략 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윤병석, "한국독립군의 봉오동승첩 소고" 4 : 1989

      1 陸軍省, "陸軍現役將校同相当官実役停年名簿(大正9年 9月1日)"

      2 김주용, "홍범도의 항일무장투쟁과 역사적 의의" 한국학연구소 (32) : 467-490, 2014

      3 장세윤, "홍범도의 독립전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7

      4 서인한, "홍범도 장군의 무장투쟁의 전략 전술과 유격전" 2013

      5 반병률, "홍범도 장군" 한울아카데미 2014

      6 "홍범도 일지"

      7 신용하, "홍범도 의병부대의 항일무장투쟁" 1 : 1986

      8 조필군, "항일무장독립전쟁의 군사사학적 논의 -1920년 동북만주지역을 중심으로 -" 육군군사연구소 (134) : 257-291, 2012

      9 신효승, "한말 일제초 홍범도 의병의 활동과 전략 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0 윤병석, "한국독립군의 봉오동승첩 소고" 4 : 1989

      11 최성주, "최운산, 봉오동의 기억" 필로소픽 2020

      12 김춘선, "중국조선족사료전집 -력사편 항일투쟁사- 20" 연변인민출판사 2015

      13 장세윤, "중국동북지역 민족운동과 한국현대사" 명지사 2005

      14 강용권, "죽은 자의 숨결 산 자의 발길 -만주항일유적지 답사기-" 장산 1996

      15 이상열, "일제 식민지 시대 하에서의 한국경찰사에 관한 역사적 고찰" 한국행정사학회 (20) : 77-96, 2007

      16 황선익, "일본 防衛硏究所 소장 조선 주둔 일본군 관계 사료의 구성과 성격 -‘滿洲-朝鮮’ 史料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83) : 263-306, 2015

      17 박창욱, "봉오동전투와 청산리전투 연구" 111 : 2000

      18 신주백, "봉오동전투, 청산리전투 다시 보기" 127 : 2019

      19 이상훈, "봉오동부근전투상보를 통해 본 봉오동 전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2) : 7-53, 2020

      20 조필군, "봉오동ㆍ청산리 독립전쟁의 군사사학적 고찰" 미래군사학회 10 (10): 111-137, 2021

      21 김춘선, "발로 쓴 청산리전쟁의 역사적 진실" 52 : 2000

      22 윤상원, "무장부대 통합운동과 대한독립군단: 1920년대 초 만주와 연해주 무장부대들의 동향" 역사문화연구소 (24) : 107-140, 2006

      23 장석흥, "만주 독립군의 형성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한국근현대사학회 (66) : 41-64, 2013

      24 조재곤, "러일전쟁 이후 의병탄압과 협력자들" 한국학연구소 37 : 427-464, 2012

      25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독립군과 광복군 그리고 국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7

      26 장세윤, "독립군 봉오동전투의 실상과 역사적 의의(2011)" 2017

      27 김영환, "독립군 군사기지 ‘봉오동’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평가" 2022

      28 조선군사령부, "간도출병사" 경인문화사 2019

      29 "鳳梧洞附近戰鬪詳報"

      30 "獨立新聞"

      31 "每日申報"

      32 金正明, "朝鮮獨立運動 2" 原書房 1967

      33 宇都宮太郞關係資料硏究會, "日本陸軍とアジア政策3 -陸軍大將宇都宮太郞日記-" 岩波書店 2007

      34 "宇都宮太郞日記"

      35 장세윤, "「홍범도 일지」를 통해 본 홍범도의 생애와 항일무장투쟁" 5 : 1991

      36 신효승, "‘보고’에서 ‘석고화한 기억’으로 ―청산리 전역 보고의 정치학" 역사문제연구소 (124) : 236-259, 2018

      37 김연옥, "[간도출병사]를 통해 본 1920년 강안(江岸)수비대의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72) : 55-89, 2020

      38 서민교, "3ㆍ1운동 100주년에 다시 보는 당시 조선주둔 일본군 사령관의 일기" 77 : 2019

      39 장세윤, "1920년 봉오동전투와 청산리독립전쟁의 주요 쟁점 검토" 재외한인학회 (54) : 31-67, 2021

      40 장성규, "1920년 ‘혼춘사건’과 일본군의 ‘간도출병’ 재검토" 한양대학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59 1.723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